$\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A Study on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19 no.2, 2015년, pp.159 - 178  

남진영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에 진술되는 학교수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정리하고,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 교육과정까지 진술된 학교수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정의적 영역 목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진술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scusses on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Firstly,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chool mathematics studied in Korea are investigated. Secondly,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from the 1st curricul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연구에서 다룬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조사하고,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 교육과정까지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다룬 정의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학계에서 수행된 연구에서는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과 함께 수학불안, 자아효능감, 자기조절, 학습지향성 등이 다루어지고 있었지만 교육과정의 목표에서는 이러한 특성들이 잘 나타나지 않았다.
  • 인지적 성취에 비해 정의적 성취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현실을 고려할 때, 이러한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목표 진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PISA, TIMSS를 포함하여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분류하고,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에 제시된 정의적 영역 목표를 분석한 후, 외국 교육과정의 사례를 통하여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 태도 함양을 위한 목표는 학교급별로 차별화된 목표와 이를 위한 구체적인 세부 목표가 제시된다. 싱가포르에서는 수학의 성공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수학 개념, 기능, 과정과 함께 메타인지와 태도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것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메타인지는 자신의 사고를 모니터링하면서 스스로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것으로, 홍콩의 자기-조절 기능과 유사하다.
  • 이 장에서는 외국의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에서 진술하는 정의적 영역 목표를 살펴보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외국의 교육과정은 정의적 영역 목표가 비교적 상세하게 진술되어 있는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의 교육과정을 살펴본다.
  • 또한, 현재 교육과정에 언급되지 않은 수학불안, 자아효능감, 자기조절력, 학습지향성 등도 포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을 원칙으로 하는 정의적 영역 세부 목표 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급별로 차별화되고 점차적으로 심화되는 목표를 제시한다.
  • 예컨대‘수학 학습자로서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가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없고, 학교급별 세부 목표도 제시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영역 목표가 구체화되어 제시되어 있는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의 교육과정 목표를 살펴보았다.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에서는 학년군 또는 학교급별로 정의적 영역 목표를 차별화하여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었고, 정의적 특성도 흥미, 자신감, 가치 인식 이외에 자기조절력, 학습지향성, 소집단 활동(토론)에 기여하며 타인의 기여를 이해하고 가치롭게 여기는 등 다양하게 다루고 있었다.
  • 이에 학계의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정의적 특성을 조사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무엇을 측정하는가? 우리나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중 흥미, 가치 인식, 자신감을 측정하고,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인 PISA에서는 학교에 대한 참여(engagement with and at school), 동인과 동기(drive and motivation), 수학에 대한 자아 신념, 성향, 수학 활동에의 참여(mathematics self-belief, dispositions and participation in mathematics activities)를 측정한다(임해미, 2014). 학교에 대한 참여에는 ‘지각 등 시간 엄수 부족, 결과 및 결석, 소속감, 학교에 대한 태도’가, 동인과 동기에는 ‘끈기, 문제해결에 대한 개방성, 통제 위치(locus of control), 동기(내적 동기, 도구적 동기)’가, 수학에 대한 자아 신념, 성향, 수학 활동에의 참여에는 ‘자아효능감, 자아 개념, 수학 불안감, 수학 관련 활동 참여, 수학 학습 계획, 중요한 사람들의 수학적 견해 인식’이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그렇다 하여도 전반적으로는 학생들이 수학을 학습함으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도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길러, 여러가지 현상과 문제를 수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인지적 영역과 “수학 학습자로서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라는 정의적 영역의 함양이다.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은 1956년 제1차 교육과정 고시 이후 어떤 개정을 하였나?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은 1956년 제1차 교육과정 고시 이후 개정을 거듭하여왔다. 제3차 교육과정과 같이 세계적인 수학교육의 흐름을 반영하기 위한 개정도 있었고, 2007개정 교육과정과 같이 이전 교육과정의 시행 가운데 드러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개정도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적 창조력을 갖춘 21세기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정 작업이 진행 중이고, 개정 교육과정은 금년(2015년) 하반기에 고시될 예정이다(교육부,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강순자, 김용구, 정인철, 임근광 (2006). 수학영재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1), 41-55. 

  2. 강승호 (1992) 학습자의 학년수준과 성별에 따른 정의적 특성 차이와 학업성취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6(1), 57-110. 

  3. 강신포, 김판수, 유화전 (2003). 초등학교 수학 영재 및 일반 아동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학교수학, 5(4), 441-457. 

  4. 계영희, 김종명 (1997). 수학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의 성별차이에 관한 정의적 태도. 수학교육, 36(2), 95-106. 

  5. 권나영, 전미현, 황규찬 (2014).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 주도권과의 관계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8(4), 475-492. 

  6. 교육과학기술부 (2012).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수학','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 '더불어 함께하는 수학'의 구현을 위한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발표.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2. 1. 11. 

  7. 교육부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육성을 위한 방향 제시. 교육부 보도자료, 2015. 9. 24. 

  8. 교육부 (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발표: 배움을 즐기는 수학교육 추진. 교육부 보도자료, 2015. 3. 16. 

  9. 김경희, 임은영, 신진아 (2013).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초.중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종단분석과 예측. 교육평가연구, 26(5), 981-1014. 

  10. 김부미, 김수진 (2012).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및 특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4), 1229-1252. 

  11. 김선희 (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4), 481-498. 

  12. 김선희 (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학교수학, 15(1), 61-75. 

  13. 김선희, 김기연 (2011). 수학 교육의 정의적 목표에 대한 재고. 수학교육학연구, 21(2), 149-163. 

  14. 김선희, 김기연, 이종희 (2005). 중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정서적 특성 비교. 수학교육, 44(1), 113-124. 

  15. 김수진, 김경희, 박지현 (2014).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683-701. 

  16. 김수진, 동효관, 박지현, 김지영, 진의남, 서지희, 김민정 (2013). TIMSS 2011 결과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 현황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7-2. 

  17. 김은형, 백석윤 (2008).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25-148. 

  18. 김혜숙, 함은혜 (2014). PISA 2012 수학 교과의 정의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27(5), 1311-1335. 

  19. 남미선, 박만구 (2008). 서술 및 면담 평가를 통한 수학학습 부진아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2(2), 229-252. 

  20. 박경미, 나귀수, 박영은 (2014). 탈북학생의 수학적 태도 및 수학 학습 인식에 대한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4(4), 499-514. 

  21. 박경미, 이환철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및 연구 현황.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개토론회 자료집 (pp. 3-15.), 5월 1일. 서울: 건국대학교 법학관. 

  22. 박선화 (2015). 수학 교과 핵심역량과 수학과의 성격 및 목표 시안. 2015 개정 수학과 교육 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개토론회 자료집 (pp, 19-40). 5월 1일. 서울: 건국대학교 법학관. 

  23.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I 2010-9. 

  24. 박수희, 노영순 (2011). 자아개념과 태도 및 학습습관이 수학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2), 199-213. 

  25.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 19-31. 

  26. 박지현, 김윤민, 최승현 (2014). 수학에 대한 자신감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4(2), 145-164. 

  27. 변창진 (1993) 교과 교육에서의 정의적 특성의 사정. 교육이론과 실천, 3, 35-57. 

  28. 설정현, 백석윤 (2007). 수학동화 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2), 137-160. 

  29. 안귀덕 (1997).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의 회고와 전망. 교육심리연구, 11(1), 33-48. 

  30. 양명희 (2003). 수학에 대한 태도의 발달경향성 및 학습자 유형 분석. 교육심리연구 17(3), 149-163. 

  31. 이봉주, 송미영 (201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초.중.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성차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1), 65-84. 

  32. 이종희, 김기연, 김수진 (2011).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국가의 수학-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및 측정 동일성 검증. 학교수학, 13(2), 307-321. 

  33. 이종희, 김선희 (2010).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의 차이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4), 759-785. 

  34. 이종희, 김선희, 김수진, 김기연, 김부미, 윤수철, 김윤민 (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수학교육, 50(2), 247-261. 

  35. 이종희, 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7. 

  36. 임성환, 황우형 (2010). 초등학교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귀인성향과 수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수학교육논문집, 24(2), 415-444. 

  37. 임해미 (2014). PISA 2012 수학 소양을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성취 특성 분석. PISA 2012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pp.29-8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RM 2014-13, 

  38. 정혜영, 이경화 (2006). 초등학생용 수학에 대한 태도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아동학회지 27(5), 49-65. 

  39. 주영주, 이종희, 김선희 (2011). 수학교과에서 남.녀 집단 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영향력 차이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5(3), 1019-1041. 

  40. 주영주, 이종희, 유나연 (2012). 중학생의 수학 교과에 대한 자신감, 긍정적 태도, 교수활동,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규명과 남.녀 집단 간의 영향력 차이 검증. 중등교육연구, 60(4), 963-986. 

  41. 최계현, 한혜숙 (2013).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52(3), 423-442. 

  42. 최승현 (2014). 국외 우수 사례를 통한 수학과 정의적 특성 함양 고찰: 싱가포르와 캐나다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014 춘계학술대회 프로시딩, 77-80. 

  43. 최승현, 황혜정 (2014a).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수학교육논문집, 28(1), 19-44. 

  44. 최승현, 황혜정 (2014b).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성취 실태: 국내 중등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28(2), 235-253. 

  45. 최영기, 도종훈 (2004). 수학영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6(4), 361-372. 

  46. 한혜숙, 최계현 (2011).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4), 491-518. 

  47. 한혜숙, 최계현 (2012).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차이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6(4), 363-381. 

  48. 황우형, 이유나 (2009).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수학교육논문집, 23(1), 1-38. 

  49. 카타기리 시게오 (2004). 수학적인 생각의 구체화와 지도 수학의 진정한 학력 향상을 지향하여. 이용률, 정동권(2013) 옮김. 서울: 경문사. 

  50. Education Bureau, Hong Kong (2002). Mathematics education: key learning area curriculum guide (Primary 1 - Secondary 3). http://www.edb.gov.hk/ 에서 2015년 4월 인출 

  51. Education Bureau, Hong Kong (2007). Mathematics curriculum and assessment guide (Secondary 4-6). http://www.edb.gov.hk/ 에서 2015년 4월 인출 

  52.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03).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general upper secondary education. http://www.oph.fi/ 에서 2015년 4월 인출. 

  53.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04).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http://www.oph.fi/ 에서 2015년 4월 인출. 

  54.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2a). Additional mathematics (O and N(A) level)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http://www.moe.gov.sg/에서 2015년 4월 인출. 

  55.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2b). N(T)-level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http://www.moe.gov.sg/에서 2015년 4월 인출. 

  56.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2c). O- & N(A) level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http://www.moe.gov.sg/에서 2015년 4월 인출. 

  57.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2d). Primary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http://www.moe.gov.sg/에서 2015년 4월 인출. 

  58.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2e). Secondary mathematics syllabuses. http://www.moe.gov.sg/에서 2015년 4월 인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