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alyzing Research Trend of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0 no.1, 2016년, pp.67 - 83  

조혜정 (한국과학창의재단) ,  김인수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 당면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수학 학습에서의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심각한 불균형으로 인식되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정의적 영역 측정 도구 개발, 정의적 영역 개선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11년간(2005~2015년)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Korea Citation Index) 등재(후보) 학술지에 실린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논문 103편을 분석하고 관련된 논의와 이슈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방향 설정 및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연구 편수가 특별히 증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사회적 관심도에 비해 학계의 관심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 방법은 통계를 이용한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연구 대상으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 대상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 주제는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정의적 영역 인식 변화, 정의적 영역 측정 및 분석이 고르게 이루어졌으며, 특히 프로그램(활동, 문제해결 등) 적용에 따른 정의적 영역 변화(효과)에 대한 분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배경 요인들이 함께 고려된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인식 변화를 위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실효성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해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의 소통 공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rrecting an imbalance between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mathematics in schools is recognized as a crucial issue with regards to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research and studies about affective aspects have been increasing and themes relating to affective aspects were div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최근 11개년 간(2005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Korea Citation Index) 등재(후보) 학술지에 실린 연구 논문 중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연구들을 수집하여 종합・분석하였다. 국내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결과를 종합해봄으로써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연구 방향 설정 및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결과를 종합해봄으로써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연구 방향 설정 및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수행되었다. 이에 한국학술지 인용색인(KCI: Korea Citation Index) 등재(후보) 학술지에 실린 논문만을 대상으로 최근 11개년 간(2005년부터 2015년까지) 게재된 10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시기,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주제에 따라 동향을 분석 하여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여 그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최근 11개년 간(2005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Korea Citation Index) 등재(후보) 학술지에 실린 연구 논문 중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연구들을 수집하여 종합・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결과를 종합해봄으로써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연구 방향 설정 및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수행되었다. 이에 한국학술지 인용색인(KCI: Korea Citation Index) 등재(후보) 학술지에 실린 논문만을 대상으로 최근 11개년 간(2005년부터 2015년까지) 게재된 10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시기,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주제에 따라 동향을 분석 하여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부는 수학교육 5개년 정책 방향으로서 무엇을 발표했는가? 최근 교육부는 ‘배움을 즐기는 수학 교육 추진’이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학생 개개인의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는 행복한 교육을 실현하고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수학 학습 성공 경험 부여 등 수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을 위한 수학교육 5개년 정책 방향으로서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을 발표(‘15.3)하였다.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의 정의는 무엇인가?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은 학생이 학습과정에서 갖는 감정, 느낌, 흥미, 학습 태도, 신념, 동기 등을 종합 적으로 말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김선희, 2013). 지금까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는 주로 요소별로 구분하고 각각을 통계적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데 치중해왔다.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심각한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 왜 수학교육에서 최대 과제인가? 우리나라 학생들이 수학교과의 TIMSS, PISA와 같은 국제학업성취도평가에서 인지적 영역 성취도는 최상위 이지만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 가치 인식 등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는 내용이 언론과 학계에서 빈번히 거론되고 있다. 이에 수학 학습에서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심각한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최대 과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공민숙.강윤수 (2014). GeoGebra를 활용한 극한 지도가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697-716. (Kong, M.-S., Kang, Y.-S. (2014), Effects of Teaching of Limit Using GeoGebra to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4), 697-716.) 

  2. 권나영.전미현.황규찬 (2014).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 주도권과의 관계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8(4), 475-492. (Kwon, N.-Y., Jeon M.-H., Hwang, K.-C. (2014), Affective Charateristics in Mathematics and Relational Analysi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nitiative in Mathematics Learning,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4), 475-492.) 

  3. 권덕용 (2007). 놀이 활동을 이용한 수학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과 수학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4(2), 71-91. (Kwon, D.-Y. (2007), The Effects of Mathematical Learning through the Play Activities on Computation Abilities and Mathematical Attitudes of Low-Achieving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4(2), 71-91.) 

  4. 권정은.최재호 (2008).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49-163. (Kwon, J.-E., Choi, J.-H. (2008), An Analysis of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Focussing o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in Korea-, Jo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2(2), 149-163.) 

  5. 김리나.신항균 (2015). 초등학생의 수학불안 요인 분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6(1), 83-101. (Kim, R.-N., Shin, H.-G. (2015), An Analysis of Causes of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6(1), 83-101.) 

  6. 김문희.권혁진 (2009). 문제중심학습이 중.상위권 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2), 171-193. (Kim, M.-H., Kwon, H.-J. (2009),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s of the Middle and High Class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2(2), 171-193.) 

  7. 김부미 (2014).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유형 및 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6(1), 157-180. (Kim, B.-M. (2014),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Academic Motivation Types and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6(1), 157-180.) 

  8. 김부윤.정두영.정원경 (2005). 문제중심학습(PBL)을 통한 수학적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9(1), 253-269. (Kim, B.-Y., Jeong, D.-Y., Jeong, W.-K. (2005), A Study on the Students' Attitudes to Mathematics via PBL,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9(1), 253-269.) 

  9. 김선희 (2009). 예비교사 교육에서 수학 학습 일지 쓰기의 적용,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9(2), 289-306. (Kim, S.-H. (2009), Journal Writ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2), 289-306.) 

  10. 김선희.김기연 (2011b). 수학 교육의 정의적 목표에 대한 재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1(2), 149-163. (Kim, S.-H., Kim, K.-Y. (2011b), Reconsideration on the Affective Goal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2), 149-163.) 

  11. 김선희 (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5(1), 61-75. (Kim, S.-H. (2013), Many-sided Analysis on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al Learning,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5(1), 61-75.) 

  12. 김선희 (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 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4(4), 481-498. (Kim, S.-H. (2014), Analysis of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of Japan, Taiwan, Hongkong, Finland, and Chin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4(4), 481-498.) 

  13. 김수진.김현경.박지현.진의남.안윤경.서지희 (2012). 수학과학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11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m, S.-J. and others, Findings for TIMSS for Korea :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Seoul: K o r e 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2) 

  14. 김수진.김경희.박지현 (2014).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683-701. (Kim, S.-J., Kim, K.-H., Park, J.-H. (2014), The effect of mathematics achievement on changes in mathematics interest and valu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8(3), 683-701) 

  15. 김영국 (2007). 수학 기피유형의 분류 및 수학 성취 수준과의 상관성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7(1), 33-50. (Kim, Y.-K. (2007), Math-disliking Type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athematical Achievements and Them-Focused on the 8th Grader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7(1), 33-50.) 

  16. 김응환.최성은 (2006). 활동중심 수업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2), 209-227. (Kim, E.-H. Choi, S.-E. (2006), A study of the effect of activity oriented class aboutthe character of the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yof the mathematic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9(2), 209-227.) 

  17. 김화수 (2010). 4D 프레임을 활용한 공간도형탐구 담화에 나타난 과학적 소양,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595-618. (Kim, H.-S. (2010), Scientific Qualifications Reflected in the Exploration of Space Geometry Utilizing 4D Frame,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3(4), 595-618.) 

  18. 나귀수 (2005). PISA 2003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소양의 특징,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5(2), 147-176. (Na, G.-S. (2005), A Profile of Mathematical Literacy on Korean Students in PISA 2003,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5(2), 147-176.) 

  19. 박만구.김은혜.황성환.이동희 (2013), 기초셈하기 G-러닝 콘텐츠의 효과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2), 225-243. (Park, M.-G., Kim, E.-H., Hwang, S.-H., Lee, D.-H. (2013),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Basic Computational Skills Using G-Learning Content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7(2), 225-243.) 

  20. 박선영.김원경 (2011),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0(3), 285-308. (Park, S.-Y., Kim, W.-K.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verseas, J .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3), 285-308.) 

  21. 박성선 (2013). 초등학교 영재교육대상자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23(6), 947-963. (Park, S.-Y. (2013), A Study on Elementary Gifted Children's Mathematical Belief,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3(6), 947-963.) 

  22.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6(1), 19-31. (Park, J. (2007), The Tren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variables toward Mathematics and Its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s,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1), 19-31.) 

  23. 박형서 (2006). 비행기 만들기 체험 활동 중심의 수학.과학.기술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실과교육연구, 12(2), 239-255. (Park, H.-S. (2006), Development of a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tegrated Hands-on Program for an Airplan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2(2), 239-255) 

  24. 방정숙.선우진 (2014).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대한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6(2), 335-353. (Pang, J.-S., Sunwoo, J. (2014),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6(2), 335-353) 

  25. 서정은 (2012). 인지-초인지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교수 프로그램이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능력.태도.귀인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7(3), 93-119. (Seo, J.-E. (2012), Effects of instruction program with cognitive-metacognitive model on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attitudes.attribution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7(3), 93-119.) 

  26. 설정현.백석윤 (2007). 수학동화 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2), 137-160. (Seol, J.-H., Paik, S.-Y. (2007), An Analysis on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al Fairy Tale Writing Activities, Jo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1(2), 137-160.) 

  27. 송상헌.방정숙.임재훈.강옥기.강현영.권나영 외(2013).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연보 수학 교육학 연구 방법, 서울:경문사. (Song, S.-H. and others, A Study method on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Yearbook 2013, Seoul: Kyungmoon, 2013) 

  28. 송정범.이태욱 (2011).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 교과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5(1), 11-22. (Song, J.-B., Lee, T.-W. (2011), The Effect of STEM Integration Education Using Educational Robo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1), 11-22.) 

  29. 송정화.이종희 (2007). 그래프에서 교사와 학생의 의미 구성에 대한 사례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9(3), 375-396. (Song, J.-H., Lee, C.-H. (2007), A Case Study on the Making the Meaning of a Teacher and a Student in a Graph,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9(3), 375-396.) 

  30. 안윤경.김선희 (2011).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감정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1(3), 295-311. (Ahn, Y.-K., Kim, S.-H. (2011), The Variation of Emotion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3), 295-311.) 

  31. 연보라.김홍찬 (2012). 새터민 청소년의 수학학습 실태 및 적응 요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467-486. (Yeon, B.-R., Kim, H.-C. (2012), An Analysis on the State of Adjustment on Mathematical Education for Adolescent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5(3), 467-486.) 

  32. 위정현.조두영 (2010). 수학 교과에서 G러닝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0(6), 37-45. (Wi, J.-H., Cho, D.-Y. (2010), The Effect of G-Learning Towards a Student's Affective Domain in Math Subject,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10(6), 37-45.) 

  33. 이경언 (2015). 수학 은유 분석을 통한 대학생들의 학교 수학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9(1), 51-72. (Lee, K.-E, (2015), A Survey on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School Mathematics by analysis of metaphor about mathematic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1), 51-72.) 

  34. 이종희.김선희 (2010a).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의 차이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4), 759-785. (Lee, C.-H., Kim, S.-H. (2010a), Analysis on Differences between Affective Achievemen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4(4), 759-785.) 

  35. 이종희.김수진 (2010b).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2(2), 219-237. (Lee, C.-H., Kim, S.-J. (2010b),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on Mathematics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ISA2003,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2(2), 219-237.) 

  36. 이종희.김선희.김수진.김기연.김부미.윤수철.김윤민 (2011a).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0(2), 247-261. (Lee, C.-H. and others (2011a),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 affective inventory in Mathematical Learning, J .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2), 247-261. 

  37. 이현영.정예원 (2011). 쓰기활동을 적용한 대학수학 미분방정식 수업,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7(2), 141-161. (Lee, H.-Y., Joung, Y.-W. (2011), Applicable writing activities for differential equation courses in university,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7(2), 141-161.) 

  38. 이희정.박천건.허난 (2012). 학생의 배경 요인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TIMSS 2007 자료를 활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85-603. (Lee, H.-J., Park, C.-G., Huh, N. (2012), Effect of Contextual Variabl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Analysis of TIMSS 2007 Using Path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5(3), 585-603.) 

  39. 전수빈.장환영.이효정(2015). 수석교사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31(4), 113-137. (Jeon, S.-B., Jang, H.-Y., Lee, H.-J. (2015),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Master Teacher Policy,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4), 113-137.) 

  40. 최계현.한혜숙 (2013).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2(3), 423-442. (Choi, K.-H., Han, H.-S.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3), 423-442.) 

  41. 최승현.박상욱.황혜정 (2014).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23-43. (Choi, S.-H., Park, S.-W., Hwang, H.-J. (2014),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1), 23-43.) 

  42. 하수현.박정숙.주미경 (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9(1), 67-83. (Ha, S.-H., Park, J.-S., Joo, M.-K. (2010),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5 Years,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1), 67-83.) 

  43. 하정숙.박종호 (2010). 동료 멘토링이 초등학교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사칙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1(2), 93-109. (Ha, J.-S., Park, J.-H. (2010), The Effect of Peer Mentoring on Four Rules of Arithmetics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Mathematics Dis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1(2), 93-109.) 

  44.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BD15120005. (KOFA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roduction to 2015 National Math Education Curriculum, BD15120005, 2015.) 

  45. 한혜숙.최계현 (2011).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4), 491-518. (Han, H.-S., Choi, K.-H. (2011),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affective domain and analysis of condition in mathematics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4(4), 491-518.) 

  46. 황우형.이유나 (2009).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3(1), 1-38. (Hwang, W.-H., Lee, Y.-N.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Regular Students in Perfectionism and the Affective Traits, J .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1), 1-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