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청을 이용한 쌀가루 Sourdough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Sourdough fermented with Omija Extract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1 no.6 = no.75, 2015년, pp.218 - 228  

변종범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이진실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미자청을 쌀가루에 첨가해 sourdough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제빵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도되었다. 오미자청, 비발효 쌀가루, 쌀가루 sourdough의 pH와 총산도, 효모와 유산균수, 팽창률, 호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쌀가루 sourdough의 pH는 발효 시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총산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효모, 유산균수는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오미자청 쌀가루 sourdough의 최고 팽창률은 80%, 쌀가루로만 발효시킨 쌀가루 sourdough의 최고 팽창률은 52%인 것으로 나타났다(p<0.05). RVA에 의한 오미자청 쌀가루 sourdough의 호화 특성은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최종점도와 setback 값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오미자청 쌀가루 sourdough를 이용 시 노화 지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오미자청을 쌀가루 sourdough 발효 시 첨가해 줄 경우, 풍부한 효모와 유산균으로 인해 보다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sourdough 제조가 가능할 뿐 아니라, 팽창률이 높아 제빵 시 이용할 경우 쌀가루의 단점은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sourdough fermented with Omija extract were investigated. Rice sourdough was made with a 3 stage fermentation process. pH & total titratable acidity, numbers of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and dough expansion rate were measured. In add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효모와 유산균이 풍부한 오미자 추출액을 첨가해 쌀가루 sourdough를 제조하고, 이의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쌀가루의 개선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오미자청을 쌀가루에 첨가해 sourdough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제빵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도되었다. 오미자청 쌀가루 sourdough는 3차례에 걸쳐 발효를 시켰으며, 최종 3차 sourdough를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오미자청, 발효 전 쌀가루 및 쌀가루 sourdough의 pH와 총산도, 효모와 유산균수, 팽창률, 호화 및 점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가루를 첨가해 빵을 만들 경우 첨가제가 더 많이 필요한 이유는 쌀 단백질의 어떤 단점 때문인가? 쌀은 글루텐이 없어 셀리악병 환자에게는 유리하지만, 쌀 단백질은 물로 반죽할 경우 점탄성이 없어 제빵 시 가스 보유력이 낮아 빵의 부피가 작고 기호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쌀가루를 첨가해 빵을 만들 경우, 검류나 제빵 개량제 등이 없이는 상품성이 떨어져 첨가제가 기존 빵에 비해 더 많이 들어가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Gallagher E et al 2003; Gujral HS & Rosell CM 2004).
Sourdough는 무엇인가? Sourdough란 자연의 효모와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반죽으로 전통적으로 제빵 시 팽창 제로서 사용을 해 왔으며(Gänzle MG2014), B.C.
글루텐이 원인이 되는 병은? 특히 제과제빵 업계에서는 보다 건강 지향적인 상품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밀가루는 오랫동안 제과제빵 업계에서 사용이 되어온 식재료로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글루텐이 셀리악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밀가루를 대체 하기 위한 곡물로 쌀, 옥수수, 수수, 기장, 메밀, 아마란스, 퀴노아 등을 이용한 빵 제품들이 제빵업계 시장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Vogelmann SA et al 2009). 이중에서도 쌀은 세계 3대작물의 하나로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고,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글루텐이 없는 곡류로 밀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소재로 쌀을 이용한 가공제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금준석 2010; 신말식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신말식 (2010). 미래의 녹색 식품산업을 주도할 쌀 가공산업의 활성화.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9(1):16-37. 

  2. 금준석 (2010). 쌀의 영양과 쌀 가공식품.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9(1): 38-54. 

  3. AACC (1995).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9th ed. Method 02-52: pH and TTA determinations.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4.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Methods 27,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5.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69-74. USA. 

  6. An HL, Heo SJ, Lee KS (2009).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sourdough starters using Korean wheat. Korean J Culinary Res 15(4):37-46. 

  7. An HL Lee KS (2009). Study on the quality s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sourdough starters from added domestic wheat flours. Korean J Culinary Res 19(6):996-1008. 

  8. Arendt EK, Ryan LAM, Dal Bello F (2007). Impact of sourdough on the texture of bread. Food Microbiol 24(2):165-174. 

  9. Birch AN, Petersen MA, Hansen AS (2013). The aroma profile of wheat bread crumb influenced by yeast concentration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Lwt-Food Sci Technol 50(2):480-488. 

  10. Chae DJ (2006). A study on the optimum bakery condition for sourdough bread using lactic acid bacteria. Ph. D Thesis, Kyung Hee University 49-55, Seoul. 

  11. Chavan RS, Chavan SR (2011). Sourdough technology-A traditional way for wholesome foods: a review. Compr Rev Food Sci F 10(3):170-183. 

  12. Chiotellis E, Campbell GM (2003). Proving of bread dough II: Measurement of gas production and retention. Food Bioprod Process 81(3): 207-216. 

  13. Choi BS, Hwang SY, Kang KO (2009). Effect of wheat germ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ngwhabyu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4):641-649. 

  14. Choi SH, Lee S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bread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naturally fermented rice starters. Korean J Culinary Res 20(2):100-119. 

  15. Corsetti A, Gobbetti M, Balestrieri F, Paoletti F, Russi L, Rossi J (1998).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effects on bread firmness and staling. J Food Sci 63(2):347-351. 

  16. Corsetti A, Settanni L (2007). Lactobacilli in sourdough fermentation: A review. Food Res Int 40(5):539-558. 

  17. Doerry W (1998). Sourdoughs and breads. Technical Bulletin, American Institute of Baking. 20(7):1-3. 

  18. Gallagher E, Kunkel A, Gormley TR, Arendt EK (2003). The effect of dairy and rice power addition on loaf and crumb characteristics, and on shelf life (intermediate and long-term) of gluten-free breads stored in a modified atmosphere. Eur Food Res Technol 218(1):44-48. 

  19. Gandikota S, MacRitchie F (2005). Expansion capacity of doughs: methodology and applications. J Cereal Sci 42(2):157-163. 

  20. Ganzle MG (2014). Enzymatic and bacterial convertsions during sourdough fermentation. Food Microbiol 37:2-10. 

  21. Gobbetti M, Simonetti MS, Corsetti A, Santinelli F, Rossi J, Damiani P (1995). Volatile compound and organic acid production by mixed wheat sour dough starters: Influence of fermentation parameters and dynamics during baking. Food Microbiol 12:497-507. 

  22. Gobbetti M, Rizzello CG, Di Cagno R, De Angelis M (2013). How the sourdough may affect the functional features of leavened baked goods. Food Microbiol 37:30-40. 

  23. Gujral HS, Singh N (1999). Effect of additives on dough development, gaseous release and bread making properties. Food Res Int 32(10):691-697. 

  24. Gujral HS, Rosell CM (2004). Functionality of rice flour modified with a microbial transglutaminase. J Cereal Sci 39(2):225-230. 

  25. Hansen A, Schieberle P (2005). Generation of aroma compounds during sourdough fermentation: applied and fundamental aspects. Trends Food Sci Tech 16(1):85-94. 

  26. Huys G, Danil HM, De Vuyst L (2013). Taxonomy and diversity of sourdough yeasts and lactic acid bacteria. In: Gobbetti M, Ganzle MG (Eds.). Handbook of Sourdough Biotechnology. Springer Science Business Media, New York, NY. 105-154. 

  27. Jeong HS, Joo NM (2003). Optimiz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for the processing of Omijapyun( Omija jell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4): 429-438. 

  28. Jeong HC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tetrastichum barley powder. Gyeongju 22(1):27-42. 

  29. Kaditzky S, Seitter M, Hertel C, Vogel R (2008). Performance of Lactobacillus sanfranciscensis TMW 1.392 and its levansucrase deletion mutant in wheat dough and comparison of their impact on bread quality. Eur Food Res Technol 227(2):433-442. 

  30. Katina K, Arendt E, Liukkonen KH, Autio K, Flander L, Poutanen K (2005). Potential of sourdough for healthier cereal products. Trends Food Sci Tech 16(1):104-112. 

  31.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rye mixed bread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and sourdoug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1): 87-94. 

  32. Kim SI, Sim KH, Ju SY, Han YS (2009).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Korean J Food & Nutr 22(1):41-47. 

  33. Kline L, Sugihara TF (1971). Microorganisms of the San Francisco sourdough bread process. II.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described bacterial species responsible for souring activity. Appl Environ Microb 21(3):459-465. 

  34. Koh KJ (2008).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Schizandra chinensis. MS Thesis, Sangju University 1-2, Sangju. 

  35. Ktenioudaki A, Butler F, Gallagher E (2010). Rheological properties and baking quality of wheat varieties from various geographical regions. J Cereal Sci 51(3):402-408. 

  36. Meulen R, Scheirlinck I, Schoor A, Huys G, Vancanneyt M, Vandamme P, De Vuyst L (2007). Population dynamics and metabolite target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laboratory fermentations of wheat and spelt sourdoughs. Appl Environ Microb 73(15):4741-4750. 

  37. Mo HW, Jung YH, Jeong JS, Choi KH, Choi SW, Park CS, Choi MA, Kim ML, Kim M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3):441-449. 

  38. Oh CH, In MJ, Oh NS (2008). Characteristics of rice sourdough for Jeungpyun prepared by mixed cultur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5):660-665. 

  39. Oh CH, Oh NS(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by rice sourdoug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9):1215-1221. 

  40. Oh SL, Kim SS, Min SY,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oi Technol 22(1):76-81. 

  41. Park SS (2014). Biochemical characterizaion and biological sctivity of Schizandra chinensis (Turcz.) Baill fermented by Lactobacillus fermentum MieV L1106. MS Thesis, Dong-A University 8, Busan. 

  42. Poutanen K, Flander L, Katina K (2009). Sourdough and cereal fermentation in a nutritional perspective. Food Microbiol 26(7):693-699. 

  43. Sin EH, Jeong SJ (2013). Optimization of bread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ria & yeast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Culinary Res 9(3):130-140. 

  44. Suihko ML, Makinen V (1984). Tolerance of acetate, propionate and sorbat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Torulopsis holmii. Food Microbiol 1(2):105-110. 

  45. Therdthai N, Zhou W, Jangchud K (2007). Modeling of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on proving rate of rice-flour-based dough. Lwt-Food Sci Technol 40(6):1036-1040. 

  46. Tieking M, Ganzle GG (2005). Exopolysaccharides from cereal-associated lactobacilli. Trends Food Sci Tech 16(1):79-84. 

  47. Torrieri E, Pepe O, Ventorino V, Masi P, Cavella S (2014). Effect of sourdough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n quality and shelf life of bread. Lwt-Food Sci Technol 56(2):508-516. 

  48. Valmorri S, Tofalo R, Settanni L, Corsetti A, Suzzi G (2010). Yeast microbiota associated with spontaneous fermentation of traditional wheat sourdough breads of Abruzzo region(Italy). Anton Leeuw Int JG 97(2):119-129. 

  49. Vogelmann SA, Seitter M, Singer U, Brandt MJ, Hertel C (2009). Adapt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to sourdoughs prepared from cereals, pseudocereals and cassava and use of competitive strains as starters. Int J Food Microbiol 130(3):205-212. 

  50. Yang Y, Tao WY (2008). Effects of lactic acid fermentation on FT-IR and pasting properties of rice flour. Food Res Int 41(9):937-9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