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Oenococcus oeni의 접종 시기가 국내 MBA 포도의 와인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Oenococcus oeni Inoculation Time on the Quality of MBA Wine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1 no.6 = no.75, 2015년, pp.229 - 241  

이정창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  최용근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  윤재윤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  김형주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  이동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  정석태 (농촌진흥청) ,  이원재 (농촌진흥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Oenococcus oeni의 동시접종(co-incculation)이 국내 MBA(Muscat Baily A) 와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번 실험을 위해 시료와인이 5가지로 구분되었다. 실험결과는 S+O.Co 와인처럼 Oeococcus oeni의 동시접종이 와인생산 시간의 단축과 고품질의 와인생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른 시료 와인들과 비교해 봤을 때, S+O.Co 와인은 가장 많은 Oeococcus oeni의 생균수를 보유했으며, 사과산 함량은 빠른 속도로 상당량이 감소되었으나, 젖산은 빠른 속도로 매우 많은 양이 증가되었다. Oeococcus oeni와 효모의 동시접종은 알코올 발효와 젖산 발효를 14일에서 16일이면 동시에 끝낼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Oeococcus oeni가 동시 접종된 와인이 품질 향상, 와인양조 과정의 시간적 단축, 생산성 증대 효과를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inoculation with Oenococcus oeni on the final quality of domestic MBA(Muscat Baily A) wine. For experiment five types of wine samples were classified for the experimen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inoculation with Oenococcus oeni concurrently (i.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5가지 접종시기로 구분하여 5가지 와인을 제조하였다. 5가지 제조와인의 비교 분석을 통해 와인 품질의 향상, 와인양조과정의 시간적 단축 효과, 생산성 증대로 와인산업의 경제적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Oeococcus oeni의 동시접종이 국내 MBA 와인의 품질과 와인양조의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진행을 위해 Oeococcus oeni의 접종시기에 따라 5가지 시료로 구분하였으며, pH, 알코올 농도, 효모와 Oeococ- cus oeni의 생균수, 사과산과 젖산함량 변화, 휘발성 화합물, 관능검사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젖산 발효과정에 관여하는 대표적 젖산균으로 알려진 Oenococcus oeni를 선택하였고, 해외 와인생산국의 양조용 품종처럼 국내 MBA 품종에도 Oenococcus oeni의 접종 시기에 따라 동시접종이 적용 가능한지를 실험했다. 이를 위해 5가지 접종시기로 구분하여 5가지 와인을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젖산균을 알코올 발효 초기에 동시 접종하는 와인 생산지역 및 품종은? 프랑스 보르도(Bordeaux) 지역의 메를로(Merlot) 포도품종(Antalick G et al 2013), 스페인 라만차(La mancha)와 리오하(Rioja) 지역의 템프라니뇨(Tempranillo) 포도품종(Cañas PMI et al 2012), 호주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의 클레어 밸리(Clare Valley)에서 생산되는 쉬라즈(Shiraz) 포도품종 (Abrahamse CE & Bartowsky EJ 2012),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파를(Paarl) 지역의 피노타지(Pinotage) 포도품종(Lerm E et al 2010) 등을 비롯한 와인생산지역에서는 젖산균을 알코올 발효 초기에 동시접종함으로써 와인의 품질 향상과 와인산업의 효율성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와인산업은 젖산균 접종을 이용한 젖산 발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와인에서 발효과정 중 젖산발효의 특징은? 와인에서 발효는 수많은 단계의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복잡한 과정으로 알코올 발효과정과 젖산 발효과정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Azzolini M 2010). 알코올 발효(Al- cohol fermentation, AF)는 와인발효 초기에 알코올을 생산하며, 젖산발효(Malo lactic fermentation, MLF)는 사과산을 젖산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와인품질에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Peynaud E 1984). 기본적으로 젖산 발효는 자발적 젖산 발효를 통해 자연적으로 일어나지만, 젖산균을 발견할 확률이 와이너리 자연환경에 따라 불규칙적이어서 자발적인 젖산 발효의 성공 가능성이 높지 않고, 예측하기도 쉽지 않다(Peynaud E 1984).
젖산 발효가 가지고 있는 위험성은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젖산 발효는 자발적 젖산 발효를 통해 자연적으로 일어나지만, 젖산균을 발견할 확률이 와이너리 자연환경에 따라 불규칙적이어서 자발적인 젖산 발효의 성공 가능성이 높지 않고, 예측하기도 쉽지 않다(Peynaud E 1984). 자발적 젖산 발효가 일어난다고 해도 젖산균이 사과산을 젖산으로만 변화시키는 것 이외에 포도당이나 다른 유기산 및 기타 성분을 발효시켜 알코올, 초산 등 우리가 원하지 않는 성분들이 생성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Alexandre H et al 2004). 또한, 자발적 젖산 발효 기간은 40일에서 60일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에 와인의 생산성과 효율성 약화로 선호되지 않고 있다(Peynaud E 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brahamse CE, Bartowsky EJ (2012). Timing of MLF in Shiraz grape must and wine: influence on chemical composition.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8:255-265. 

  2. Alexandre H, Costello PJ, Remize F, Guzzo J, Guilloux-Benatier M (2004). Saccharomyces cerevisiae-Oenococcus oeni interactions in wine. Int J Food Microbiol 93(2):141-154. 

  3. Andrew L, Susan E (2013). Chemistry of Wine Flavor, American Chemical Society, 124-177, Washington, DC. 

  4. Antalick G, Perello MC, de Revel G (2013). Co-inoculation with yeast and LAB under winery conditions: Modification of the aromatic profile of merlot wines. S Afr J Enol Vitic 34(2):223-232. 

  5. Azzolini M, Tosi E, Vagnoli P, Krieger S, Zapparoli G (2010). Evaluation of technological effects of yeast-bacterial co-inoculation in red table wine production. Ital J Food Sci 3(22): 257-263. 

  6. Barrowshy E (2005). Oenococcus oeni and malolactic fermentation moving into the molecular arena. Aust. J Grape Wine Res 11:174-187. 

  7. Bauer R, Dicks LMT (2004). Control of malolactic fermentation in wine. A review. S Afr J Enol Vitic 25(2):74-88. 

  8. Boido E, Medina K, Faria L, Carrau F, Versini G, Dellacassa E (2009). The effect of bacterial strain and aging on the secondary volatile metabolites produced during malolactic fermentation of Tannat red wine. J Agr Food Chem 57:6271-6278. 

  9. Canas PMI, Martiin FP, Romero EG, Prieto SS, Herreros MLP (2012). Influence of inoculation time of an autochthonous selected malolactic bacterium on volatile and sensory profile of Tempranillo and Merlot wines. Int J Food Microbiol 156:245-254. 

  10. Cho SH, Choi HJ (2009).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selection attribute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of wine consumer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1):240-253. 

  11. Colombie S, Malherbe S, Sablayrolles JM (2005). Modelling alcoholic fermentation in enological conditions: Feasibility and interest. Am J Enol Vitic 56(3):238-245. 

  12. Genisheva Z, Mussatto SI, Oliveira JM, Teixeira JA (2013). Malolactic fermentation of wines with immobilized lactic acid bacteria-influence of concentration, type of support material and storage conditions. Food Chem 138:1510-1514. 

  13. Gerbaux V, Briffox C, Dumont A, Sibylle K (2009). Influence of inoculation with malolactic bacteria on volatile phenols in wines. Am J Enol Vitic 60:233-235. 

  14. Gil JV, Mateo JJ, Jimenez M, Pastor A, Huerta T (1996). Aroma compounds in wine as influenced by apiculate yeasts. J Food Sci 61: 1247-1249. 

  15. Gomez-Minguez MJ, Cacho JF, Ferreira, V, Vicario, IM, Heredia, FJ (2007). Volatile components of Zalema white wines. Food Chem 100:1464-1473. 

  16. Henick KT, Park YH (1994). Considerations for the use of yeast and bacterial starter cultures: SO2 and timing of inoculation. Am J Enol Vitic 45:464-469. 

  17. Hernandez-Orte P, Cersosimo M, Loscos N, Cacho J, Garcia-Moruno E, Ferreira V (2009). Aroma development from non-floral grape precursors by wine lactic acid bacteria. Food Res Int 42:773-781. 

  18. Hornsey I (2007). The chemistry and biology of winemaking, R Soc Chem, 203-237, Cambridge. 

  19. ISO Standard 11035 (1994). Sensory analysis.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of descriptors for establishing a sensory profile. 

  20. Jackson RS (2008) Wine Science, Elsevier, 358-402, California. 

  21. Jeon HM, Park MY (2009). A study on wine selection attributes by wine use behavoir -Focused on wine retail shop customers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2): 121-135. 

  22. Jung CL, Yong KC, Jung SP, Heehoon J, Dong HY, Taeboo C, Sang MK, Hyung JK (2012). Effect of pectinase in grape (red glove) production and quality of red wi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2):264-270. 

  23. Jung JW (2013). A study on the wine purchaser's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the taste of food.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5):225-233. 

  24. Larsen JT, Nielsen JC, Kramp B, Richelieu M, Bjerring P, Riisager MJ, Arneborg N, Edwards CG (2003). Impact of different strain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on malolactic fermentations by Oenococcus oeni. Am J Enol Vitic 54:246-251. 

  25. Lerm E, Engelbrecht L, du Toit M (2010). Malolactic fermentation: The ABC's of MLF. S Afr J Enol Vitic 31(2):186-212. 

  26. Liu J-WR, Gallander JF (1983). Effect of pH and sulfur dioxide on the rate of malolactic fermentation in red table wines. Am J Enol Vitic 34:44-46. 

  27. Liu SQ (2002). Malolactic fermentation in winebeyond deacidification. J Appl Microbiol 92: 589-601. 

  28. Lonvaud FA (1999). Lactic acid bacteria in the quality improvement and depreciation of wine. A Van Leeuw 76:317-331. 

  29. Maicas S, Gonzaalez-Cabo P, Ferrer S, Pardo I (1999b). Production of Oenococcus oeni biomass to induce malolactic fermentation in wine by control of pH and substrate addition. Biotechnol Lett 21:349-353. 

  30. Maicas S, Pardo I, Ferrer S (1999c). Continuous malolactic fermentation in red wine using free Oenococcus oeni.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15:737-739. 

  31. Mendoza LM, Manca de Nadra MC, Fariias ME (2010). Antagonistic interaction between yeasts and lactic acid bacteria of oenological relevance: Partial characterization of inhibitory compounds produced by yeasts. Food Res Int 43: 1990-1998. 

  32. Mesas JM, Rodriiguez MC, Alegre MT (2011).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musts and wines of three consecutive vintages of Ribeira Sacra. Lett Appl Microbiol 52:258-268. 

  33. Peynaud E (1984). Knowing and Making Wine, A Wiley-Interscience, 93-136, Paris. 

  34. Prathyusha K, Suneetha V (2011). Bacterial pectinases and their potent biotechnological application fruit processing/juice production industry: A review. Journal of Phytology 3:16-19. 

  35. Salinas MR, Alonso GL, Esteban-Infantes FJ (1994). Adsorption-thermal desorption gas chromatography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wine aromas. J Agric Food Chem 42:1328-1331. 

  36. Zoecklein BW, Fugelsang KC, Gump BH, Nury FS (1995).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 Hall, 97-114,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