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 -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andscape Elements and Construction of Eupseong (county se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1 no.2, 2015년, pp.319 - 341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초록

조선시대의 읍성 취락은 중앙 정부가 지방의 각 고을에 계획적으로 건설한 행정 타운으로서 우리나라의 전통 도시를 대변한다. 읍성에는 객사, 동헌과 내아, 질청을 비롯한 다양한 행정 및 통치 시설들이 들어서 있었고 일반 백성들의 민가가 들어서 있는 경우도 많았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주요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그 결과를 지적원도(1913)에 재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적 재현을 위한 복원 대상 시기를 설정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조선 읍성 경관의 완성기를 19세기 전반기로 규정하고, 이 시기 전국의 읍성 분포 및 주요 읍성 경관 요소의 전국적 보편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파악하였다. 이 작업을 토대로,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사례로 읍성 경관 완성기의 읍성 내 주요 경관 요소와 그들의 위치, 전체적 공간 구성을 1910년대의 지적원도 위에 나타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upseong (county seat) represents the Korean historic city which had constructed intentionally by central government during Joseon Dynasty. There were variety of government or county offices which named as Gaeksa, Dongheon, Nea, Jilcheong, and so on. Also, there are houses of the people in many Eup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읍성 경관의 복원 작업을 위해, 무엇보다 ‘복원 대상 시기’를 설정하는 문제가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고 본 이유는? 조선시대 중에서도 구체적으로 어느 시기의 읍성 경관을 복원할 것인가? 어떤 시점의 읍성 경관이 복원 가치를 지니는가? 이 질문은 구체적으로 몇 세기에 존재했던 읍성 경관을 상정하고 복원작업을 진행할 것인지를 묻는 것이다. 복원 대상 시기를 언제로 설정할 것인가에 따라 읍성 경관을 이루는 경관 요소의 종류, 다양한 경관 요소들의 의미와 상징성, 그 해석은 달라질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복원된 읍성 경관의 가치도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읍성 경관의 복원 작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복원 대상 시기’를 설정하는 문제가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1872년 군현지도의 장점은? ≪1872년 군현지도≫는 읍지나 지리지가 제공할 수 없는 정보, 가령 성곽의 실재 여부, 읍성 내부에 있었던 주요 건물들의 모습, 건물들 간의 상대적 위치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특별한 장점이다. 물론 이들 고지도는 일종의 심상지도로서 각 건물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읍성이 건설되기 시작한 때는? 읍성의 축성과 중수 사실을 기록한 다수의 옛 문헌들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읍성은 여말선초부터 축성되기 시작하여 15세기를 지나면서 전국적으로 건설된다. 읍성의 전국적 축성 배경에 대해서는 『세종실록』 에 매우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차용걸, 1977; 심정보,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