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성능 리튬 이차 전지를 위한 황화 주석 저마늄 (SnxGe1-xS) 나노입자 연구
Tin Germanium Sulfide Nanoparticles for Enhanced Performanc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8 no.1, 2015년, pp.31 - 37  

차은희 (호서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영운 (호서대학교 그린에너지공학과 대학원) ,  임수아 (호서대학교 그린에너지공학과 대학원) ,  임재욱 (포스코 ICT 전략기획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삼성분 칼코게나이드 화합물인 황화 주석 저마늄 ($Sn_xGe_{1-x}S$) 합금 나노입자를 메틸 주석 $(Sn(CH_3)_4$, tetramethyl tin, TMT) 메틸 저마늄 $(Ge(CH_3)_4$, tetramethyl germanium, TMG), 황화수소 ($H_2S$, hydrogen sulfide) 혼합 가스의 레이저 광분해 반응법으로 합성할 수 있으며, 이때 반응기 안의 가스 혼합비율에 따라 나노입자의 주석과 저마늄의 조성비를 조절할 수 있었다. 조성비를 가변시킨 나노입자는 모두 결정성을 갖게 만들 수 있었으며, 리튬 이온 전지의 음극소재로서 우수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조성비에 따라 특성을 조사결과, 황화저마늄은 70 사이클 후 최대 1200 mAh/g의 가장 높은 방전용량을 갖는 것과, 주석 성분 함량이 클수록 높은 충방전률에서 용량 유지가 더 잘 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우수한 효율의 황화물 합금 나노입자의 새로운 대량 합성법은 고성능 에너지 변환 소재 실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osition-controlled ternary components chalcogenides germanium tin sulfide ($Sn_xGe_{1-x}S$)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a novel gas-phase laser photolysis reaction of tetramethyl germanium, tetramethyl tin, and hydrogen sulfide mixture. Subsequent thermal annealing of as-grow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응용기 안에 가스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나노입자의 성분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었고,28) 생성된 비정질의 나노입자를 열처리하여 orthorhombic (사방정계) 상의 결정성을 갖는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이미 우수한 특성이 알려진 GeS 에 Sn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이들 나노입자의 리튬 이온 전지 음극소재로서의 좀 더 우수한 특성을 얻고자 함이다. 또한 지금까지 SnxGe1-xS 합성법은 보고된 바가 없으므로 합성법을 최초로 개발하는 것도 큰 의미 있는 연구라고 판단된다.
  • 이렇게 합성된 나노입자의 LIB 소재로써의 응용성을 고찰하고자 반쪽전지를 제작하여 리튬 이온의 충방전 특성을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Fig.

가설 설정

  • 1 C. (b) Cycling performance as the C rate is increased from 0.1C to 5.0C. The discharge and charge capacities are marked by the filled squares and hollow circles, respective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마늄 (Ge) 나노구조체는 어느 분야에 응용되는가? 저마늄 (Ge) 나노구조체의 응용성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2) 광결정,3) 태양전지,4) 광 검출기,5) 리튬 이온 전지 (Lithium ion battery, LIB)6-24) 등과 같이 광범위하다. 특히 Ge이 리튬 이온 전지 음극 활물질로 기대되는 이유는 Li4 .
Ge이 리튬 이온 전지 음극 활물질로 기대되는 이유는? 저마늄 (Ge) 나노구조체의 응용성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2) 광결정,3) 태양전지,4) 광 검출기,5) 리튬 이온 전지 (Lithium ion battery, LIB)6-24) 등과 같이 광범위하다. 특히 Ge이 리튬 이온 전지 음극 활물질로 기대되는 이유는 Li4 . 4Ge구조일 때 이론용량이 1600 mAh/g으로 높은 충전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Ge이 Si (이론용량 = 4200 mAh/g) 보다는 작은 충전용량을 갖고 있지만 Si보다 400배 빠른 리튬 이온 확산도와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Ge 나노구조체가 리튬 이온 전지 음극 활물질로 활용되기 힘든 이유는? 25,26) 따라서 Ge 나노구조체는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탄소계 음극 활물질 (이론용량 = 372 mAh/g)을 대체 할 수 있는 물질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Ge은 충방전 시 Li 이온의 삽입/이탈 과정에서 큰 부피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그로 인해 전지용량과 수명의 감소를 야기하기 때문에 응용성에 한계가 문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D. Wang, Q. Wang, A. Javey, R. Tu, H. Dai, H. Kim, P. C. McIntyre, T. Krishnamohan and K. C. Saraswat, Appl. Phys. Lett. 83, 2432 (2003). 

  2. T. Hanrath and B. A. Korgel, J. Am. Chem. Soc.126, 15466 (2004). 

  3. X. Meng, R. Al-Salman, J. Zhao, N. Borissenko, Y. Li and F. Endres, Angew. Chem. Int. Ed. 48, 2703 (2009). 

  4. B. Sun, G. Zou, X. Shen and X. Zhang, Appl. Phys. Lett. 94, 233504 (2009). 

  5. L. Cao, J. -S. Park, P. Fan, B. Clemens, M. L. Brongersma, Nano Lett. 10, 1229 (2010). 

  6. C. K. Chan, X. F. Zhang and Y. Cui, Nano Lett. 8, 307 (2008). 

  7. M. -H. Park, K. Kim, J. Kim and J. Cho, Adv. Mater. 22, 415 (2010). 

  8. X. -L. Wang, W. -Q. Han, H. Chen, J. Bai, T. A. Tyson, X. -Q. Yu, X. -J. Wang and X. -Q. Yang, J. Am. Chem. Soc. 133, 20692 (2011). 

  9. G. Jo, I. Choi, H. Ahn and M. J. Park, Chem. Commun. 48, 3987 (2012). 

  10. D. -J. Xue, S. Xin, Y. Yan, K. -C. Jiang, Y. -X. Yin, Y.-G. Guo and L. -J. Wan, J. Am. Chem. Soc. 134, 2512 (2012). 

  11. K. H. Seng, M. H. Park, Z. P. Cuo, H. K. Liu and J. Cho, Angew. Chem. Int. Ed. 51, 5657 (2012). 

  12. Y. Xiao, M. Cao, L. Ren and C. Hu, Nanoscale 4, 7469 (2012). 

  13. L. P. Tan, Z. Lu; H. T. Tan; J. Zhu; X. Rui; Q. Yan and H. H. Hng, J. Power Sources 206, 253 (2012). 

  14. F. -W. Yuan, H. -J. Yang and H. -Y. Tuan, ACS Nano 6, 9932 (2012). 

  15. M. -H. Park, Y. Cho, K. Kim, J. Kim, M. Liu and J. Cho, Angew. Chem. Int. Ed. 50, 9647 (2011). 

  16. A. M. Chockla, M. G. Panthani, V. C. Holmberg, C. M. Hessel, D. K. Reid, T. D. Bogart, J. T. Harris, C. B. Mullins and B. A. Korgel, J. Phys. Chem. C 116, 11917 (2012). 

  17. N. G. Rudawski, B. L. Darby, B. R. Yates, K. S. Jones, R. G. Elliman and A. A. Volinsky, Appl. Phys. Lett. 100, 083111 (2012). 

  18. K. H. Seng, M. -H. Park, Z. P. Guo, H. K. Liu and J. Cho, Nano Lett. 13, 1230 (2013) 

  19. T. Song, H. Cheng, H. Choi, J. -H. Lee, H. Han, D. H. Lee, D. S. Yoo, M. -S. Kwon, J. -M. Choi, S. G. Doo, H. Chang, J. Xiao, Y. Huang, W. I. Park, Y. -C. Chung, H. Kim, J. A. Rogers and U. Paik, ACS Nano 6, 303 (2012). 

  20. J. Wang, N. Du, H. Zhang, J. Yu and D. Yang, J. Mater. Chem. 22, 1511 (2012). 

  21. J. Gu, S. M. Collins, A. I. Carim, X. Hao, B. M. Bartlett and S. Maldonado, Nano Lett. 12, 4617 (2012). 

  22. C. H. Kim, H. S. Im, Y. J. Cho, C. S. Jung, D. M. Jang, Y Myung, H. S. Kim, S. H. Back, Y. R Lim, C. -W. Lee, J. Park, M. S. Song and W.-I. Cho, J. Phys. Chem. C 116, 26190 (2012). 

  23. C. Yan, W. Xi, W. Si, J. Deng and O. G. Schmidt, Adv. Mater. 25, 539 (2012). 

  24. E. Mullane, T. Kennedy, H. Geaney, C. Dickinson and K. M. Ryan, Chem. Mater. 25, 1816 (2013). 

  25. M. R. St. John, A. J. Furgala and A. F. Sammells, J. Electrochem. Soc. 129, 246 (1982). 

  26. J. Graetz, C. C. Ahn, R. Yazami and B. Fultz, J. Electrochem. Soc. 151, A698 (2004). 

  27. Y. Kim, H. Hwang, K. Lawler, S. W. Martin and J. Cho, Electrochim. Acta 53, 5058 (2008). 

  28. Y.J. Cho, H. S. Im, Y. Myung, C. H. Kin, H. S. Kim, S. H. Back, Y. R. Lim, C. S. Jung, D. M. Jang, J. Park, E. H. Cha, S. H. Choo, M. S. Song and W. I. Cho, Chem. Comm. 49, 4661 (2013) . 

  29. J. C. Cho, H. S. Im, H. S. Kim, Y. Myung, S. H. Back, Y. R. Lim, C. S. Jung, D. M. Jang, J. Park, E. H. Cha, W. I. Cho, F. Shojaei and H. S. Kang, ACS Nano 7, 9075 (2013). 

  30. H. S. Im, J. C. Cho, Y. R. Lim, C. S. Jung, D. M. Jang, J. Park, F. Shojaei and H. S. Kang, ACS Nano 7, 11103 (2013). 

  31. C. S. Fuller and J. C. Severiens, Phys. Rev. 96, 21 (1954). 

  32. R. A. Huggins, J. Power Sources 51-82, 13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