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Readiness Inventory for Preschooler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3 no.1, 2015년, pp.29 - 47  

방소영 (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황혜정 (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definition of school readiness specific to the contex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school readiness tes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nabl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to determine the general readiness of preschoolers and provide sup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교준비도의 검사 영역은 일반적 지식, 언어적 지식, 수리적 지식, 소근육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별로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문항통과율은 각각의 문항에 유아의 정답을 응답한 비율을 산출한 것이다. 검사 문항에 따라 점수가 0점 혹은 1점이거나 0점부터 2점까지 부여되는 경우도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1점 이상의 경우 모두 해당 질문에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여 각 문항에 대한 통과율을 살펴보았다[19]. 검사 영역의 문항변별도를 살펴보기 위해서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의 학교준비도 질문 영역 총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위 27%인 상위집단과 하위 27%인 집단을 선별하여 각 문항별로 총점 상하집단 간의 평균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구분이 27%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아, 상위 27% (96명) 집단과 하위 26.
  • 또한 영역 내 문항의 신뢰도와 문항양호도에서 낮은 문항을 제외했을 경우의 신뢰도 그리고 영역 내 신뢰도를 저해하는 문항을 살펴봄으로써 검사 영역의 문항을 확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응답 방법에 따라 문항의 적절성과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학교준비도를 구성하는 문항으로 적합한지를 판단하고자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29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학교준비도 검사 1차 시안을 개발하기 위해 학교준비도를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하고 만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학교준비도 검사의 영역과 평가 방법을 모색하였다. 두 차례의 예비조사와 전문가 검증 과정을 거쳐 본조사에 사용 할 학교준비도 검사를 설정하였으며, 문항이 특성에 맞는 신뢰도 분석을 통해 문항을 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교준비도를 취학 전의 유아가 초등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로 하는 인지 및 일반적 지식, 언어적 발달, 신체적 발달, 사회 정서적 발달 및 학습적 성향 요인 등의 능력을 갖춘 정도라고 정의하고, 취학 전 유아의 지식과 기능, 적응, 성향, 태도 등 유아의 전반적인 준비상태를 파악 할 수 있는 학교준비도 검사를 개발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학교준비도 수준을 파악하고 유아 개인에게 요구되는 교육적인 중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교준비도의 정의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념화하여 이를 측정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육현장에서 학교준비도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유아의 전반적인 준비수준을 파악하여 개인 특성에 맞은 지원을 제공 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간략히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교준비도 두 가지 형태의 문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검사 영역과 질문 영역의 분석은 다르게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 역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교준비도의 정의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념화하여 이를 측정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육현장에서 학교준비도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유아의 전반적인 준비수준을 파악하여 개인 특성에 맞은 지원을 제공 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간략히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일반적으로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개발에서 문항 변별도가 낮다고 판단되어지는 문항은 삭제되어지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준비도 검사는 선별의 목적을 지닌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구에 참여한 전체 유아가 모두 정답을 답했을 지라도 해당 문항이 전체 영역의 신뢰도를 저해하지 않는다면 의미 있는 문항일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문항간의 상관정도에 따른 신뢰도를 고려하여 문항 구성을 판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달 수준이란? 학교생활의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발달 수준은 준비도라는 개념으로 설명 할 수 있는데, 특별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정신적·신체적 준비상태 혹은 어느 과제를 뛰어나게 잘 하거나 숙련된 상태를 의미한다[34]. 우선 학습준비도는 개별 유아가 특정 학습을 수행할 능력이 있는지에 대한 발달의 정도를 의미하는 좁은 의미를 지니지만[7, 11, 14], 학교준비도(school readiness)는 학문적인 영역뿐 아니라 학교에서 요구하는 과업이나 교육과정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한 지적, 신체적, 사회적 발달을 포함하는 의미하는 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8, 35, 39, 40].
초등학교 입학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유아는 성장을 하면서 다양한 변화를 맞게 되며, 각각의 변화에 적응하거나 대응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공교육의 시작인 초등학교 입학은 유아 개인에게는 급격한 환경의 변화이며 새로운 과제로 다가오기 때문에 유아 각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경험은 유아의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긍정적인 경험은 학교생활에 있어 성취감과 자존감을 길러주고 새로운 환경이나 문제에 직면 했을 때 적응하고 혹은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유아에게 긍정적인 경험이 학교생활에 주는 장점은? 공교육의 시작인 초등학교 입학은 유아 개인에게는 급격한 환경의 변화이며 새로운 과제로 다가오기 때문에 유아 각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경험은 유아의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긍정적인 경험은 학교생활에 있어 성취감과 자존감을 길러주고 새로운 환경이나 문제에 직면 했을 때 적응하고 혹은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ng, S. Y., & Hwang, H. J. (2013). The difference in awareness among parents of preschoolers, parents with school-aged children, child car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readiness of children to attend elementary school. Korea Journal of Child Studies, 34(2), 139-160. http://dx.doi.org/10.5723/KJCS.2013.34.2.139 

  2. Bang, S. Y., & Hwang, H. J. (2013, May). Study on extraction of school readiness elementary.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26th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Spring Symposium, Seoul, Korea. 

  3. Bracken, B. A., & Nagle, R. J. (2006).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of preschool children (4th ed.). New York, NY: Routledge. 

  4. Brinkaman, S., Silburn, S., Goldfeld, S., Oberklaid, F., Sayer, M., & Fraser, A. (2006, July). Does the AEDI really predict readiness for school learning? Measuring its concurrent,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Paper presented at the 19th Biennial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ural Development (ISSBD), Melbourne, Australia. 

  5. Chi, S. A., Jung, D. H., Jeong, H. E., Ahn, J. S., & Park, E. Y. (2006). A comparis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ents', and elementary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readines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5), 227-249. 

  6. Choi, H. J. (2003).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7. Choi, O. H. (2001). Study on the learning readiness of the first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learning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8. Crnic, K., & Lamberty, G. (1994). Reconsidering school readiness: Conceptual and applied perspectiv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5(2), 91-105. http://dx.doi.org/10.1207/s15566935eed0502_2 

  9. Davies, M., & North, J. (1990). Teacher's expectations of school entry skills. Austral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15(4), 44-46. 

  10. Emig, C. (2000). School readiness: Helping communities get children ready for school and schools ready for children [ERIC Number: ED444712]. Retrieved May 6, 2013, from http://eric.ed.gov/?idED444712 

  11. Good, C. V. (1973). Dictionary of education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12. Hains, A. H., Fowler, S. A., Schwartz, I. S., Kottwitz, E., & Rosenkoetter, S. (1989). A comparison of preschool and kindergarten teacher expectations for school readiness. Early Childhood Reacher Quarterly, 4(1), 75-88. http://dx.doi.org/10.1016/S0885-2006(89)90090-2 

  13. Janus, M., & Offord, D. (2000). Readiness to learn at school. ISUMA Canadian Journal of Policy Research, 1(2), 71-75. 

  14. Kagan, S. L., Moore, E., & Bredekamp, S. (1995). Reconsidering children's early development and learning: Toward common views and vocabulary.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Goals Panel. 

  15. Kagan, S. L., & Neuman, M. J. (1998). Lessons from three decades of transition research.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8(4), 365-379. 

  16. Kim, J. K., & Yeo, K. E. (1978). The mentally retarded child discrimination: Screening test for 1st graders. Seoul: Jahaeng Association. 

  17. Kim, K. C. (1993).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in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M. J. (2009). Parent's recognition on the readiness for school to entrance into an elementary school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kindergarten special class and lower special class of elementary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N. H. (2005). The development of a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0. Kim, O. N. (2000). Practical guidance for young children. Seoul: Hyungseul Publishing. 

  21. Kim, Y. S. (2002). A study on extraction of school readiness elements for elementary first grader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Studies, 9(2), 193-209. 

  22. Kim, Y. S. (2003). A study on extraction of school readiness elements for elementary first gra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3. Kwon, Y. R., Kim, A. I., Kwak, H. K., & Jang, M. J. (1998). Validation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helps early childhood learning readines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2), 1-19. 

  24. Lee, J. B., Kim, Y. B., Hyun, J., & Ryu, D. H. (2000). Analytic research on the affective an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5. Lee, O. S. (2000). Effects of the balanced literacy program on develop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S. M. (2000). The basis of factor analysis. Paju: Kyoyookbook. 

  27. Lee, Y. S., & Kim, S. I. (1981). The study of learning readiness of kindergarten children (III).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8. Lewit, E. M., & Baker, L. S. (1995). School readiness. Critical Issues for Children and Youths, 5(2), 128-139. 

  29. Maxwell, K., Ridley, D. M., & Bryant, D. M. (2000). North Carolina school readiness assessment. Retrieved May 31, 2013, From http://fpg.unc.edu/projects/north-carolina-school-readiness-assessment 

  30. National Education Goals Panel. (1999). The National Education Goals report: Building a nation of learners, 1999.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1. Park, H. J., Kang, H. W., & Chang, M. L. (1987). A development of learning readiness test for preschoolers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RR 87-39].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2. Park, K. S., Youn, J. R., & Park, H. J. (1987). Development of 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3. Park, Y. J. (2007). The school readiness inventory for kindergartene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34. Perry, B., Dockett, S., & Tracy, D. (1998). Ready to learn: Exploring the concept of school readiness and its implications. Paper presented at the 7th Australia and New Zealand Conference on the First Years of School, Canberra, Australia. 

  35. Rhee, U. H. (1979). A preliminary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the school readiness tes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7(1), 49-60. 

  36. Squires, J. H. (2000). Off to kindergarten: A booklet for parents, caregivers, and schools [ERIC Number: ED454964]. Retrieved May 6, 2013, from http://eric.ed.gov/?idED454964 

  37.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8. Wheeler, M. J. (2006). A comparison of school readiness for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environ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NY, USA. 

  39. Yun, M. H. (1994). Learning readiness and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4(1), 5-29. 

  40. Yun, M. H. (1995).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udy of learning readines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1), 117-142. 

  41. Yun, M. H. (1995). Validation of the learning readiness tests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5), 333-3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