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림스타트에 관한 분야별 연구동향 분석: 2008~2020년
Analysis of the Field-specific Research Trends on Dream Star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4, 2021년, pp.111 - 128  

최은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과) ,  황혜정 (경기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former research papers regarding Dream Start according to academic field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ir services and to present additional directions. Methods: The 66 research papers regarding Dream Start from 2008 to 2020 were analyz...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30)

  1. 강은정, 임성은 (2011). 건강영향평가를 통한 아동 복지서비스 개선: 청주시 드림스타트 센터사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1), 115-130. 

  2. 김극명 (2011). 드림스타트 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선화 (2010). 드림스타트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정화, 송미령 (2014).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유무에 따른 영유아 발달 및 부모양육스트레스의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123-141. doi:10.14698/jkcce.2014.10.6.123 

  5. 김효진, 송미령 (2020). 빈곤가정의 학령기 자녀를 둔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궤적 및 예측요인: 드림스타트사업 참여자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4(1), 69-87. doi:10.21459/kccr.2020.24.1.69 

  6. 아동권리보장원 아동권리본부 지역아동복지부 (2009). 드림스타트 사업소개. https://www.dreamstart.go.kr/contents/sub01_01_01.asp에서 2021년 3월 10일 인출 

  7. 방소영, 최선희, 이수현, 황혜정 (2013). 저소득 가정 부모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의 비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157-179. 

  8. 보건복지부 (2010). 2011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9. 보건복지부 (2013). 2013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0. 보건복지부 (2015). 2015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1. 보건복지부 (2019). 2019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2. 보건복지부 (2021). 2021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3. 손선옥, 정익중, 이봉주, 강경화 (2009). 통합적 아동복지서비스 수행평가지표 개발 연구: 드림스타트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6, 29-54. 

  14. 송미령, 홍승애 (2020). 저소득층 가정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 문제행동 간의 상호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6), 340-348. doi:10.5762/KAIS.2020.21.6.340 

  15. 유해숙, 이현숙 (2014). 드림스타트사업의 효과성과 활성화 방안. 벤처창업연구, 9(2), 175-186. doi:10.16972/apjbve.9.2.201404.175 

  16. 이상균 (2017). 드림스타트, 지난 10년의 성장과 향후 10년을 위한 과제. 한국아동복지학, 1(59), 115-150. doi:10.24300/JKSC.2017.09.59.115 

  17. 장은정, 김현자 (2016). 드림스타트사업 관련 연구경향. 방과후아동지도연구, 13(2), 13-24. 

  18. 장종화, 이상엽 (2012). 농촌지역 드림스타트사업의 프로그램 우선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 AHP 방법론의 적용. 한국자치행정학보, 26(1), 45-62. 

  19. 조경진, 최정수, 박수경, 안선희 (2013). 저소득가정의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준비도 비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51-72. 

  20. 조용남 (2015). 드림스타트 정책추진 과정 연구. 아동과 권리, 19(3), 389-422. 

  21. 조용남 (2019). 저소득 가정 영유아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드림스타트대상 아동의 2년간의 변화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117), 1-20. doi:10.37918/kce.2019.07.117.1 

  22. 조용란, 장종화 (2010). 드림스타트 사업의 추진 실태와 발전방향: 비교론적 시각 및 서산시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14(2), 205-236. doi:10.18397/kcgr.2010.14.2.205 

  23. 주상현, 조현호 (2009). 지방공공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발전방안: 드림스타트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3(2), 287-308. doi:10.18398/kjlgas.2009.23.2.287 

  24. 최인영 (2018). 제주시 드림스타트 사례관리 양육자의 변화 경험: 희망의 끈을 잡고 일어서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홍순혜, 정소연, 유영림, 김정인, 한정은 (2019). 드림스타트 사업의 성과, 성공요인 및 한계: 경기도 G시 사례에 대한 초점집단인터뷰 활용 질적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5, 89-122. doi:10.24300/jkscw.2019.03.65.89 

  26. 홍승애, 송미령 (2019). 드림스타트 실무자의 조직건강성 인식 연구. 보건과 복지, 21(1), 7-25. doi:10.23948/kshw.2019.03.21.1.7 

  27. 황혜정 (2014). 위스타트(We Start) 언어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육아정책연구, 8(1), 153-179. 

  28. Choi, J. Y., Ryu, D., Van Pay, C. K., Meacham, S., & Beecher, C. C. (2021). Listening to Head Start teachers: Teacher beliefs, practices, and needs for educating dual language learn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4, 110-124. doi:10.1016/j.ecresq.2020.08.005 

  29. Kim, C., & Kara, C. H. (2021). The efficacy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training as an early childhood mental health intervention in head start program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30(2), 112-124. doi:10.1037/pla0000154 

  30. United States (2016). Strengthening Head Start for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Washington, DC: Committee on Education and the Workfor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