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교 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기자녀 부모, 학령기자녀 부모와 유아교사, 초등교사의 인식차이
The Difference in Awareness among Parents of Preschoolers, Parents with School-Aged Children, Child Car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Readiness of Children to Attend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2, 2013년, pp.139 - 160  

방소영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황혜정 (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parents of preschoolers, parents of school aged children,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esting on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attending elementary school. Firstly, the results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교준비도에 관한 국내 연구는 준비도 검사도구 개발과 관련된 소수의 연구와 준비도에 대한 요소나 인식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결과를 활용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유아의 준비도를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찾기 쉽지 않기 때문에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 개발로 이어지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취학 준비도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유아기 자녀가 있으며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내본 경험이 없는 부모와 취학경험이 있는 부모,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준비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준비도가 어떠한 내용을 가지고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취학 준비도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유아기 자녀가 있으며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내본 경험이 없는 부모와 취학경험이 있는 부모,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준비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준비도가 어떠한 내용을 가지고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자녀 부모와 학령기자녀 부모,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취학 준비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문항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준비도에 대한 개념이 다르기 때문이고 본인의 사회적 위치에 따라 다르게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진학을 위한 준비수준을 평가하는 준비도 검사에 대해 자녀의 취학지도 경험이 없는 유아기자녀 부모와 자녀의 취학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학령기자녀 부모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간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준비도 및 학교준비도에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설문지를 구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학교준비도에 대한 인식의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논의 하고자한다.
  • 또한 부모들은 교사에 비해 검사도구의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자녀의 준비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 외의 다른 교육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아 초등학교 취학을 위한 준비는 중요하지만 이것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있는 검사 자체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수준도 낮은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부모교육을 통해 학교준비도의 올바른 개념 및 범주를 살피고 부모와 교사가 무엇을 어떻게 제공하는 것이 유아에게 효과적인지를 모색함으로써 조금씩 개선 가능하리라 본다.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학교준비도에 대한 인식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 비교함으로써 학교준비도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제한점을 갖는데, 우선 선택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을 모두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응답자가 개방형 질문에 선택적으로 응답하다보니 심층적인 응답을 끌어내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im(2003)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준비도의 요소를 무엇으로 추출하였나? Kim(2003)은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준비도의 요소를 지식, 적응, 기능, 성향 규칙 및 태도 등 5가지로 추출하고 이에 맞게 우리나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요소별 내용을 세부화 하였다. Kim(2003)의 연구 및 그 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아교사, 학부모, 초등학교 교사의 초등학교 준비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연구에서는 세 집단 모두 적응적인 부분이 준비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학부모의 경우 실제로는 지식의 요소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하였다(Chi, Jung, Jung, An & Park, 2006).
준비도를 구성하는 내용은 주로 어떤 측면에서 논의하는가? 준비도를 구성하는 내용으로는 대개 신체적, 인지적, 정서․사회적 측면에서의 논의가 주를 이루어왔다. 즉 학교 입학에의 결정요인, 적응을 위한 전제적 조건으로서, 신체적으로는 신장, 체중과 같은 간접적 요인과 함께 독립성과 자주성이 갖춰져야 하고, 인지적으로는 의사소통 기술, 읽고 쓰는 능력, 학습기술과 전략 등이 갖춰져야 하며, 사회적으로는 협동과 공유 능력, 행동 규준에 대한 지식과 행동 관리 능력, 동기, 자기평가, 또래관계 등이 갖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Pandis, 2001).
행동주의적 입장에서 준비도를 설명하면? 성숙주의론적 입장에서 준비도는 성숙단계에 따른 준비여부에 의한 것으로 유아에게 제공되는 모든 활동은 유아가 이를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이 준비되었을 때 제공해야 한다고 본다. 행동주의론적 입장에서는 준비도를 강화 가능성과 유기체 요구와의 합치 결과로 보고 외적인 자극에 의해 특정학습이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행동주의자들은 유아의 능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준비도를 향상시키고자한다. 마지막으로 구성주의적 입장에서는 발달적 성숙의 단계를 인정하되 개체와 인지구조를 자극하는 환경과의 상호작용 역시 중요하다고 본다(Gordon, 198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 65-79. 

  2. Chi, S. A., Jung, D. H., Jung, H. E., Ahn, J. S., & Park, E. Y. (2006). A comparis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ents', and elementary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readines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0(11), 227-249. 

  3. Choi, O. H. (2001). Study on the learning readiness of the first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learning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 Korea. 

  4. Choi, H. C. (1995). Learning Readiness Inspection misuse Study : Gesell Readiness Test, Journal of student guiadance, 21, 83-103. 

  5. Crenson, G. A. (2001). Chidren Entering School Ready to Learn : School Readniss Baseline Information. Preliminary Report, School Year 2000-01. Maryland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Bailimore. (ERIC Document Reprodution Service No. FD 450 920) 

  6. Crinic, K., & Lamberty, G. (1994). Reconsidering School Readness : conceptual and Applied Perspectiv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5(2), pp. 99-105. 

  7. Gordon, N.J. (1982). Encyclopedia of educational research. Readniss(Vol 3). In H.E. Mitzel (Eds.). N,Y. : The Free Press. 

  8. Gredler, G. R. (1992). School readiness : Assessment and educational issues. Brandon, VYT : Clinical Psychology Publishing Company, Inc. 

  9. Hill, N. E. (2001). Parenting and academic socialization as they relate to school readiness : The roles of ethnicity and family incom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 686-697. 

  10. Huffman, L. C., Mehlinger, S. L., & Kerivan, A. S. (2000). Risk Factors for Academic and Behavioral Problems at the Beginning of School. In Off to a good start : Research on the risk factors for early school problems and selected federal policies affecti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their readness for school. Chapel Hill :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1. Im, I. D., Ko. J. R.& Lee. H. S., (1968). Learning Readiness Inspection conducted Guidelines ; For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Seoul; Cent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12. Janus, M., & Duku, E. K. (2006). School readness as the outcome of early child development : Relation to family factor. ISSBD. International Conference Kit. 

  13. Kagan, Sheron L. (1990). Readiness 2000 : Rethinking rhetoric and respon-sibility. Phi Delta Kappan, Dec, 272-279. 

  14. Kim, Y. S. (2003). Study on extraction of school readiness elements for elementary first gra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5. Kim, J. K., & Yeo, K. E. (1978). The mentally retarded child Discrimination : Screening test for 1st graders. Seoul : Society of Jahaeng. 

  16. Kwon, Y. R. (1998) Validation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helps Early Childhood Learning Readin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2), 1-19. 

  17. Lee, K. S. (1986). The Relationship of Home Environment Variables and Basic Learning Skil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Y. S., & Kim, S. I. (1981). The Study of Learning Readiness of Kindergarten Children. (III).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134. 

  19. Lee, E. H. (1979). Research for standardization of school readines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17(1), 49-60. 

  20. Palemo, F., Hanish. L. D., Martin, C. L., Fabes, R. A., & Reiser, M. (2007). Preschooler's academic Readiness : What role does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play?. Early Childhood Reacher Quaterly, 22, 407-422. 

  21. Park, H. J., Kang, H. W., & Chang. M. L. (1987). A Development of learning Readiness Test for Preschoolers.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RR 87-39. 

  22. Park, H. S. (2004). Teachers' Recognition and Level of Demand Regarding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leaning Readiness for Educational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o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3. Park, J. S. (1980). A report on Promoting Readiness Theory.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5-18. 

  24. Park, Y. J. (2007). The School Readiness Inventory for Kindergartener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5. Pandis, M. (2001). School Readniss or School's Readiness?. "Thinking Classroom" Intenational Reading Association and Open Society Institute, 3, pp. 23-28. 

  26. Pestalozzi, Johann H (1898). How Gertrude Teaches Her Children, trans. Lucy Holland and F.C. Turner. 

  27. Lee, J. H., Jung, S. A.,& Lee, M. J. (2003). Analysis of Problems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Private Kindergarten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Mirae Education Research, 10(2), 341-364. 

  28. Snow, C. B., Burns, M. S., & Griftin, P. (1998).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 National Research Council. 

  29. Woo, H. K., & Kwon. H. J. (2010). A Case Study on the Meanings of Preschoolers, Parents and Childcare Teachers' School Readiness and Postponement of Entering School . Korean Journal of Child Psychotherapy. 5(1), pp. 23-50. 

  30. Yun, M. H. (1994). Learning Readiness and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4. pp. 5-29. 

  31. Yun, M. H. (1995).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udy of Learning Readines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3(1). pp. 117-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