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경험과 생활만족도
Family Life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School-Aged Children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3 no.1, 2015년, pp.107 - 117  

박미석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variety of family life experiences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school-aged children. Data were drawn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in 2010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들의 여러 가지 생활경험을 살펴보고, 그것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한 정보는 향후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 추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자료 중 실천적 개입과 연결할 수 있는 변수인 가족공유시간, 여가활동, 소득, 건강상태, 방과 후 교육 등을 선택하여 가정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정의 일반적 특성과 다양한 가정생활경험 중 그들의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0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가정만을 추출하여 총 95가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 차이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 다문화가정 자녀의 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 방안으로 여가교육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이 강조되기도 하였고, 특히 학령기 자녀와 부모 모두를 고려한 개입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학령기 이전과는 다른 양육지식과 정보가 필요한 학령기의 다양한 욕구를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하였다[22, 35, 36].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대인적 차원의 가족요인 중심으로 접근하였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생활경험이라는 측면으로 변인 도출의 범위를 확대하여 그러한 변인들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실제적 개입의 영역을 다양하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 첫째,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다양한 가정생활경험을 이해하고, 그것이 가정생활만족도와 갖는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가데이터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의 근거를 마련한 점에서는 의의가 있으나, 교육부가 제시한 2013년 기준 다문화가정 학생 수가 초등학생 3만 9,423명, 중학생 1만 1,235명임을 감안한다면, 95개라는 제한된 표본 수는 단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c)The answers for the category of “Type of after-school education” were overlappin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의 추세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은 2013년 현재 75만명 내외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녀 연령을 보았을 때, 만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의 비율이 여전히 가장 높기는 하지만, 점차 고학년 자녀의 수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25]. 특히 고학년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의 증가는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정책 2차 기본계획수립에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었을 만큼 중요한 변화로 간주되고 있다[24].
다문화가정 내 이주 어머니들은 한국 사회로의 통합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를 무엇으로 보고있는가? 무엇보다 다문화가정 내 이주 어머니들은 한국 사회로의 통합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를 자녀로 꼽는데, 많은 이주여성들은 자녀 출생에 따른 엄마로서의 경험이 한국생활적응의 지지대가 된다고 하였다[40]. 이에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들이 사회에서 소외당하지 않고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자녀들을 제대로 교육시켜야한다는 강한 신념을 가지고 적절한 교육환경 조성과 과외활동 제공 등의 심적ㆍ물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경향이 있다[9].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상승시켜야 하는 능력은 무엇인가?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 향상 역시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 가정의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대부분은 이주 여성, 부부, 아동등 대상별 생활만족도 수준이나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등에 주로 주목해 왔는데, 선행연구에서 다룬 변인들을 재구성하면 개인, 가족, 지역사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다문화가정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환경으로는 한국어수준 및 언어소통능력 등이 공통적으로 강조되었고, 결혼동기, 자아존중감, 경제적 수준, 건강, 가족가치관 등도 제시되었다[5, 11, 20, 30, 38]. 이러한 변인들이 생활만족도에 갖는 효과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발성과 신뢰 등의 동기로 형성된 결혼관계일수록, 가족중심의 가족가치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건강할수록, 경제적 문제로 인한 갈등이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하였으며, 특히 자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생활만족도를 촉진하고 이는 생활의 다양한 위기 상황에서도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e, K. H. (2013).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41, 33-54. 

  2. Cha, S. L. (2011). The leisure of multi-cultural family in marriage migrant women's view.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1), 51-70. 

  3. Chang, O. J. (2010). A study on an educational program for school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3), 77-99. 

  4. Cho, H. S., & Moon, H. J. (2010). A sense of self-ident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 mother`s behaviors and the children's school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5), 87-102. 

  5. Choi, J. H. (2012). A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ve variables of international women as marriage immigrants. Kor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7(4), 153-171. 

  6. Choi, S. B. (2011).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of a student in a multicultural family and related variable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9(2), 261-287. 

  7. Choi, S. H., Sohn, M., & Ahn, Y. M. (2011). Association among family environment, health problems and health-risk behaviors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8(5), 609-618. 

  8. Hong, J. M. (2008).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9. Jun, H. J., Pae, S. Y., & Kwak, K. J.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 support for children'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Family and Culture, 20(3), 161-186. 

  10. Jun, K. S., & Song, M. K. (2011). A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djustment level by multicultural children's national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1), 305-330. 

  11. Kang, S. J., & Sohn, S. M. (2011). A case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perception of fou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ith infant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6), 161-188. 

  12. Kang, Y. J., & Moon, J. W. (2005). Family related factors'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among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16(1), 283-315. 

  13. Kim, G. D., & Park, M. S. (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adaptation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he Cheonan city and Asan city. Journal of Social Science, 48(1), 97-121. 

  14. Kim, J. H., Oh, J. A., Yoon, C. M., & Lee, J. H. (2009). Married immigrant women's child-rearing experiences including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2(1), 46-60. 

  15. Kim, J. H., & Park, O. I. (2008). Comparative analysis on 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rural and urban immigrated women.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18(1), 127-160. 

  16. Kim, J. R., & Chung, W. H. (2012).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2(3), 87-102. 

  17. Kim, S. H. (2011).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blem of educati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4), 17-33. 

  18. Kim, Y. S., Chu, Y. S., & Fang, M. H. (2012). Research on the blind spot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19. Kwon, M. H.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adolescents' family-leisure activity and family func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7(1), 519-526. 

  20. Lee, H. S. (2013). Awareness to the experience of rural married migrant women's life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0(1), 71-103. http://dx.doi.org/10.0000/ jecd/2013.20.1.0071 

  21. Lee, J. B., Kim, H. W., & Oh, S. B. (2009).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us and needs of educa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t school.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2. Lee, S. R., & Park, J. S. (2010). A study on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school age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1), 1-14. 

  23. Lee, Y. J. (2009). A study on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psychosocial adjustment of a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2), 103-119. 

  2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 Dynamic multicultural families, sharing society. Retrieved December 11, 2012, from http://enews.mogef.go.kr/view/search/view.jsp 

  2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4). Statistics on multicultural families. Retrieved May 1, 2014, from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policy02_05a.jsp?funcview¤tPage0&key_type&key&search_start_date&search_end_date&class_id0&idx691668 

  26. Nam, B. H., & Jung, C. S. (2010).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Focused on woman marriage migrants. Paper presented at the 48th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Seoul, Korea. 

  27. Nam, E. Y., Park, S. J., & Kim, Y. B. (2010). A study on leisure activity and Korean culture accultur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Education and Culture Research (Inha Unversity), 16(1), 169-195. 

  28. Park, E. H., & Cho, I. J. (2012).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8(2), 29-54. 

  29. Park, K. R., & Lee, J. M. (2011). The factors of school life adjustmen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2), 89-99. 

  30. Park, M. S. (2011).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immigrant women's self-esteem and resilience: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y happines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5), 393-402. http://dx.doi.org/10.5392/JKCA.2011.11.5.393 

  31. Park, M. S., & Kim, M. Y. (2012). Family resourc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6(3), 35-51. 

  32. Rho, M. S., & Kim, S. O.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Focused on families with school ag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4), 89-107. 

  33. Seo, B. J., & Park, S. T. (2012).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ulti culture family's marital relationships on children's adaptation of school life. Journal of Pubic Welfare Administration, 22(1), 127-155. 

  34. Shin, J. H. (2010). Exploring pathways from acculturation attitudes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5. Shin, K. L. (2011). Research for the factors of the leisure education for improving school life adaptation and leisure awareness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Education and Culture Research (Inha University), 17(1), 313-336. 

  36. Shin, S. H., & Won, J. S. (2009). The effects of a self-esteem enhancement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8(4), 492-500. 

  37. Un, S. K. (201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bicultural children: Focused on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3, 37-74. 

  38. Won, S. J., & Song, I. U. (2011). The effect of personal, cultural, and social factor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2), 95-113. 

  39. Yang, S. M. (2007). Variables impacting the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life happiness of the women marriage migrants family's children in rural.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2(4), 559-576. 

  40. Yoon, M. S., & Lee, H. K. (2011). A study on the foreign mothers' adaptation through parenthood experiences in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2, 103-135. 

  41. Yun, M. S., Lee, J. H., & Kim, J. R. (2011). Analysis on leisure viewpoint of immigrant femal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6), 337-349. http://dx.doi.org/10.5392/JKCA.2011.11.6.3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