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가정의 사회적 배제, 가정자원 및 탄력성의 구조방정식 모형
Social Exclusion, Family Resources, and Resilience of Low-Income Famili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2 no.6, 2014년, pp.587 - 600  

김미영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박미석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resources on social exclusion and the resilience of low-income families.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categorized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 into five dimensions: work, housing, health,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Furt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저소득가정의 빈곤경험과 탄력성 관계에서 가정 내 자원의 매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점은 연구 모형적 논의와 함께, 가정 내 자원을 독립된 변인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사회적 관계망과의 연계를 통해 실천적 측면에서 개발할 수 있는 성질로 접근하는 것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시간순서를 적용하여 가정 내 자원 수준의 변화, 즉 시간자원관리 교육, 의사소통 교육, 관리행동 교육을 통해 저소득가정의 탄력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보거나 사회적 지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서적, 정보적 지원 안에서 가정체계의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문제인식, 관리행동 필요성 인지 수준의 변화와 탄력성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를 통해 보다 실천적 개입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동기요소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 따라서 저소득가정을 지원하는 정책 및 서비스 현장에서 빈곤의 이해 및 정책적 개입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는 현재, 본 연구는 저소득가정의 사회적 배제, 가정자원 및 탄력성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적 배제와 탄력성 사이에서 가정자원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빈곤가정의 탄력성과 관계있는 요소 도출은 가정체계 안에서 가족의 다양한 관리행동을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가정자원의 잠재력이나 개발 방향을 이해하게 하고, 보다 실질적으로 소득보전 중심의 빈곤정책을 넘어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빈곤은 우리의 생활을 위협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의지나 인식의 주체자인 인간과 환경 안에서 상호작용하면서 부정적인 기제뿐만 아니라 또 다른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그 가능성을 가족이 내외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정자원에서 탐색하였는데, 사회적 배제와 탄력성 사이에서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가정자원의 매개 효과가 확인되어 통합적인 빈곤정책 설계에서의 활용 방안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또한 이러한 접근은 본 연구에서 정한 종속변인인 자립 동기로서의 탄력성을 향후 긍정적인 적응 혹은 삶의 질 향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개발 연구에서도 중요한 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를 통해 저소득가정이 경험하고 있는 빈곤의 다양한 양상을 분석하고, 내적·외적 요인들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그 결과가 가정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탄력성으로 접근하였다.
  • 따라서 다양한 빈곤 위협을 받고 있는 가정일지라도 탄력성과 같은 산출까지의 경로에서 가정자원은 다양한 결과에 대한 중요한 영향변인이 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가정자원의 구성요소들을 가정 내 자원과 가정 외 자원으로 분류하였고, 저소득가정이라는 연구 단위를 고려하여 체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고 탄력성 향상과 연결하여 정책적으로 개발시킬 수 있는 자원을 추출하여 사회적 배제와 탄력성 사이에서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배제를 통한 빈곤경험, 가정자원, 탄력성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설정한 모형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연구 결과가 갖는 실천적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여러 가지 부분에서 추후 보완과 후속 연구가 요구되지만, 본 연구는 상호적이고 역동적인 성질로 이해할 수 있는 사회적 배제, 가정자원 및 탄력성의 관계를 고찰하여 빈곤가정을 위한 실천적 측면에 새로운 접근을 제시하였다. 빈곤은 우리의 생활을 위협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의지나 인식의 주체자인 인간과 환경 안에서 상호작용하면서 부정적인 기제뿐만 아니라 또 다른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살펴본 사회적 배제, 가정자원, 탄력성의 관계를 토대로 Figure 1과 같은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 내외부에 존재하면서 가정의 문제를 해결하고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활용되거나 활용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가정자원이 사회적 배제와 탄력성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질 수 있을지를 살펴볼 것이다.
  • 이와 같이 사회적 배제는 사회적 상황이나 연구자의 관심에 따라 영역이 세분화되고 다양해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를 저소득가정이 경험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빈곤경험으로 정의하고, 노동, 주거, 교육, 건강 및 사회참여라는 다섯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저소득가정 빈곤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이상에서 제시한 사회적 배제, 가정자원, 탄력성은 각각의 고유한 정의를 가지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과정, 상호작용, 관계 등의 변화 가능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특히 앞 절에서 살펴본 빈곤가정의 탄력성에 대한 연구들은 저소득가정이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와 위기를 이해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탄력성을 갖도록 도와주는 보호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37, 56]. 사회적 배제와 탄력성 사이에서 가정자원의 매개효과를 직접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기는 하지만, 앞서 살펴본 연구들을 통해 사회적 배제, 가정자원, 탄력성이라는 변인 간 관계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b)The higher the mean score, the higher was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
  • 2-1. 저소득가정의 가정 내 자원 수준이 높을수록 탄력성 수준은 높아질 것이다.
  • 3-1. 저소득가정의 가정 내 자원은 사회적 배제와 탄력성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다.
  • 2-2. 저소득가정의 가정 외 자원 수준이 높을수록 탄력성 수준은 높아질 것이다.
  • 연구 가설 2. 저소득가정의 가정자원 수준이 높을수록 탄력성 수준 또한 높아질 것이다.
  • 연구 가설 3. 저소득가정의 가정자원은 사회적 배제와 탄력성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다.
  • 1-1. 저소득가정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높을수록 가정 내 자원 수준은 낮을 것이다.
  • 1-2. 저소득가정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높을수록 가정 외 자원 수준은 낮을 것이다.
  • 연구 가설 1. 저소득가정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자원 수준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력성은 무엇인가? 회복력, 복원력 등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는 탄력성은 힘들고 부정적인 상황으로부터의 성공적인 적응과 어떤 변화의 과정을 만들 수 있는 성질의 집합으로 설명된다[27]. 특히 고위험 상황이 항상 전제하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적응의 개념과 구별되는 점으로, 탄력성은 향후 고위험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연구할 때 중요한 내용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36].
사회적 배제, 가정 내 자원 변인은 각각을 설명하는 하위 영역들에 대한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항목의 수를 조정하는 항목 합산을 시도하였는데 이유는 무엇인가? 단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한 항목이 많았던 사회적 배제, 가정 내 자원 변인은 각각을 설명하는 하위 영역들에 대한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항목의 수를 조정하는 항목 합산을 시도하였다. 이는 모델의 복잡성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항목 합산의 구체적인 과정은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요인 추출, 추출된 요인들에 대한 신뢰도 분석 재실시, 확인적 요인분석, 각 구성 개념의 관측 변수화 순으로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구성한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사회적 배제, 가정자원, 탄력성 간의 관계를 토대로 설정한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Hobfoll은 가정자원 구성요소로 무엇을 제시하였나? Hobfoll [11]은 빈곤이 가족의 경제적 자원 및 정서, 행동,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자원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가정자원 구성요소로 주거공간, 사회경제적 지위, 개인성격 및 능력, 결혼여부, 연령, 관계만족도, 시간, 돈, 사회적지지 및 관계 등을 제시하였다[53]. 자원의 성질을 가정 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한 연구들는 가정체계의 산출을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접근하면서 가정자원은 많은 변화 속에서 가족의 적응을 돕는 보호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4, 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Chang, J. Y., & Yang, S. K. (2007). Irregulation of employment and social exclusion perspective.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7(1), 1-22. 

  2. Choi, J. S., Kang, Y. S., & Kim, J. W. (2009). The effect of the social exclusion level against underprivileged people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inclu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1, 309-341. 

  3. Do, N. H. (2009). Resilience of adolescents in youth-headed family : Social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 Dunst, C. J., & Leet, H. E. (1987). Measuring the adequacy of resources in households with young children. Child : Care, Health and Development, 13(2), 111-125. 

  5. Edin, K., & Kissane, R. J. (2010). Poverty and the American family : A decade in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3), 460-479.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10.00713.x 

  6. Edwards, A. (2007). Working collaboratively to build resilience : A CHAT approach. Social Policy and Society, 6(2), 255-264. http://dx.doi.org/10.1017/S1474746406003514 

  7.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1995). Public welfare services and social exclusion : The development of consumer-oriented initiatives in the European Union. Dublin, Ireland :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8. Fraser, M. W., & Galinsky, M. J. (1997). Toward a resiliency based model of practice. In M. W. Fraser (Ed.),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265-275). Washington, DC : NASW Press. 

  9. Garfinkel, I., & McLanahan, S. (2002). Strengthening fragile families (Working paper 02-14-FF). Princeton, NJ : Center for Research on Child Wellbeing. 

  10. Hills, J. (2002). Does a focus on 'social exclusion' change the policy response? In J. Hill, J. Le Grand, & D. Piachaud (Eds.), Understanding social exclusion (pp. 226-243). New York, NY : Oxford University Press. 

  11. Hobfoll, S. E. (1989). Conservation of resources : 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4(3), 513-524. http://dx.doi.org/10.1037/0003-066X.44.3.513 

  12. Hong, S. H., Kim, H. Y., Kim, S. H., Yoon, S. Y., & Koh, S. K. (2008). Family resource management for healthy family. Seoul : Shinjeong Press. 

  13. Jacelon, C. S. (1997). The trait and process of resili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1), 123-129.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7.1997025123.x 

  14. Jack, G. (2000). Ecological influences on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30(6), 703-720. http://dx.doi.org/10.1093/bjsw/30.6.703 

  15. Jin, M. S. (2005). A study on the social exclusion on the housing poverty class : Focusing on the residents of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complex in Pyonghwa-dong, Jeonju. Journal of Regional Studies, 13(3), 87-112. 

  16. Jones, C., & Applied Research Branc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anada. (2002). Poverty, social capital, parenting and child outcomes in Canada : Final report. Hull, Canada : Applied Research Branc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anada. 

  17. Kang, J. H. (2012). The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will of independence of residents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Korea. 

  18. Kang, S. W., Kim, A. N., Park, N. H., Kim, E. H., & Yoo, J. Y. (2005). A study on social exclusion indicators and their application in social policy in Korea.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 Kim, A. N. (2007). An empirical analysis on social exclusion in Korea. Social Theory, 32, 227-330. 

  20. Kim, E. J. (2006). Low-income single mother's family's empowerment by self-help group 'Big Moms Clubs.' Social Workers, (9), 53-55. 

  21. Kim, J. H. (2012). Mechanism of social exclusion of unprivileged divorcees through their social exper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Korea. 

  22. Kim, K. S., & Noh, H. J. (2011). Poverty in Korea : Multidimensional approaches and reproductive mechanism. Seoul : Press of Sharing House. 

  23. Kim, M. G., Yum, J. H., Choi, H. S., Jung, H. S., Kim, S. A., Kim, E. B., et al. (2012). Qualitative panel data on low-income households (2012).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4. Kim, M. O. (2001). A study o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and adaptation of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5. Kim, O. S., & Lee, K. Y. (2010). Family resource management. Seoul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6. Kim, Y. S. (2007). Coping resources for life-events stress and depression of low-income single mothers :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spiritual well-being and family resour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7. Knowles, L. L. (2009). Resilience of urb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ro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MI, USA. 

  28. Kwon, S. Y. (2012). A study on the impaction on the social exclusion to the self-sufficiency program of the poor female-headed household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9. Kwon, Y. K., & Jung, S. H. (2012). Mother's parenting styles and the resilience of children. Studies on Korean Youth, 23(4), 219-243. 

  30. Lee, S. E., & Jeon, S. N. (2012). The effects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on reducing social exclu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3(3), 151-179. 

  31. Lee, S. H. (2007). Focussing on the working poor in Jeonju : Dissolution of the social network for the new poor and the counter strategies. Discourse 201, 10(4), 239-273. 

  32. Lee, S. H. (2010). New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and community's poverty. Open Jeonbuk, 8, 21-24. 

  33. Lee, S. J. (2006). Resilience and protective factor on adolescents experienced family viol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Korea. 

  34. Lim, J. H. (2011).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family lif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1), 279-304. 

  35. Magrab, P. R. (1998, January). Social exclusion and children : A brief review of selected literature. Paper presented to OECD Expert Seminar on Childhood Social Exclusion. 

  36. Mohaupt, S. (2008). Review article : Resilience and social exclusion. Social Policy and Society, 8(1), 63-71. http://dx.doi.org/10.1017/S1474746408004594 

  37. Mullin, W. J., & Arce, M. (2008). Resilience of families living in poverty.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1(4), 424-440. http://dx.doi.org/10.1080/10522150802424565 

  38. Nam, S. H., Moon, S. W., & Lee, K. J. (2012). Development of social indicators by means of KOWEPS data.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9. Olson, D. H. L. (1985). Family inventories : Inventories used in a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cross the family life cycle. St. Paul, MN : Department of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40. Olsson, C. A., Bond, L., Burns, J. M., Vella-Brodrick, D. A., & Sawyer, S. M. (2003). Adolescent resilience :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olescence, 26(1), 1-11. http://dx.doi.org/10.1016/S0140-1971(02)00118-5 

  41. Park, J. H. (2009).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resilience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2. Park, J. Y. (2011). The impa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single parents and their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43. Poggi, A. (2003). Measuring social exclusion using the capability approach (Unpublished paper). Retrieved March 14, 2012, from http://www.uia.mx/humanismocristiano/seminario_capability/pdf/16.pdf 

  44. Richardson, L., & Le Grand, J. (2002) Outsider and insider expertise : The response of residents of deprived neighborhoods to an academic definition of social exclusion. CASE Paper 57. London, UK : Centre for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London School of Economics. 

  45. Rutter, M. (1987).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7(3), 316-331. http://dx.doi.org/10.1111/j.1939-0025.1987.tb03541.x 

  46. Seccombe, K. (2002). "Beating the odds" versus "changing the odds" : Poverty, resilience and family polic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2), 384-394.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2.00384.x 

  47. Sen, A. (2000). Social exclusion : Concept, application, and scrutiny. Social development papers no. 1. Manila, Philippines : Office of Environment and Social Development, Asian Development Bank. 

  48. Seo, J. W. (2006). An introductory study on the social capital to human ecolog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3), 1-14. 

  49. Shin, H. J. (2010). A study on social exclusion factors influencing on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6(1), 315-342. 

  50. Simmons, L. A., Braun, B., Wright, D. W., & Miller, S. R. (2007). Human capital, social support, and economic well-being among rural, lowincome mothers :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8(4), 634-652. http://dx.doi.org/10.1007/s10834-007-9079-2 

  51. Sobolewski, J. M., & Amato, P. R. (2005). Economic hardship in the family of origin and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ul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1), 141-156. http://dx.doi.org/10.1111/j.0022-2445.2005.00011.x 

  52. Song, D. Y. (2003). A study of developing comprehensive policies for low-income single-parent households : Using a concept of social exclu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4, 295-319. 

  53. Southwick, S. M., Litz, B. T., Charney, D., & Friedman, M. J. (2011).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 Challenges across the lifespan. New York, N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Statistics Korea. (2012). 2012 Household survey. Retrieved March 20, 2013, from http://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0106&inputYear2012 

  55. Swanson, J. A., Olson, C. M., Miller, E. O., & Lawrence, F. C. (2008). Rural mothers' use of formal programs and informal social supports to meet family food needs : A mixed methods study.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9(4), 674-690. http://dx.doi.org/10.1007/s10834-008-9127-6 

  56. Vandergriff-Avery, M., Anderson, E. A., & Braun, B. (2004). Resiliency capacities among rural low-income families. Families in Society : The Journal of Contemporary Social Services, 85(4), 562-570. http://dx.doi.org/10.1606/1044-3894.1841 

  57. Van Horn, M. L., Bellis, J. M., & Snyder, S. W. (2001). Family Resource Scale-revised : Psychometrics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family resources in a sample of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19(1), 54-68. http://dx.doi.org/10.1177/073428290101900104 

  58. Wagle, U. (2002). Rethinking poverty : Definition and measurement.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54(171), 155-165. http://dx.doi.org/10.1111/1468-2451.00366 

  59.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2), 165-178. 

  60. Walsh, F. (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NY : Guilford Press. 

  61. Wicks, C. R. (2005). Resilience :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measur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oma Linda University, Loma Linda, CA, USA. 

  62. Yoon, J. H. (2005). The study of causes and mechanism that exclude contingent workers from social insurance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