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채 종자에서 기름을 착유한 후 부산물인 유채박을 토양에 처리하여 토양 내 선충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보면, 유채박을 혼합한 토양이 OM, $Av.P_2O_5$, Ca, Mg, CEC 등의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유기물함량은 무처리 토양보다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채박의 glucosinolate 함량은 제주재래종 유채박이 $199.97{\mu}mol/g$로 선망 유채박의 함량보다 $76.62{\mu}mol/g$ 더 많았으며, 특히 progoitrin,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및 sinigrin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유채박의 선충밀도 감소에 효과가 있으며 '선망' 유채박보다 제주재래종 유채박이 선충밀도를 더 줄여주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rapeseed meal in controlling soil nematode. Two different rapeseed meals (Jeju local rape varieties and 'Sunmang' variety) were mixed with the soil to control nematodes environmentally. When soil physical properties in the rapeseed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0). 이에 본 실험에서는 유채종자로부터 기름을 착유하여 식용으로 쓰고 착유 후 얻어진 유채박을 선충방제에 이용하고자 기주식물로 토마토(cv. Rutgers)를 선정하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내 유리온실에서 재배하여 유채박의 뿌리 및 토양에 기생하는 뿌리혹선충에 대한 밀도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충방제를 위한 방법 중 살선충제 처리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sp lycopersici), 풋마름병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수확되는 과실수량이 60~80% 감소하기도 한다. 선충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윤작, 객토, 태양열 소독, 담수처리, 토양훈증, 살선충제 처리 등을 이용하는데, 살선충제 처리의 경우 제한된 공간에 약효보다 약해 등의 부작용이 많고 농민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며, 또한 연작으로 인한 선충서식 부위가 깊어져서 살선충제의 효과가 제대로 미치지 못하여 밀도회복이 빨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omas, 1978). 위와 같은 이유로 선충방제는 효과가 지속적이고 환경에 안정적이어야 하는데, 유채의 박에는 다량의 glucosinolate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Karcher et al.
국내재배지에서 큰 피해를 주는 뿌리혹선충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 2000; Kim and Choi, 2001). 가지, 감자, 고추, 당근, 수박, 오이, 토마토, 호박 등을 기주식물로 하는 땅콩 뿌리혹선충, 당근 뿌리혹선충, 고구마 뿌리혹선충 등 3종이 국내재배지에서 큰 피해를 주고 있다 (Choi and Choo, 1978). 국내의 시설하우스 재배지에는 연작으로 인해 오이, 참외, 토마토 등의 거의 모든 작물들이 큰 피해를 받고 있으며, 뿌리혹선충의 감염으로 연간 약 30~40%의 수량감소를 가져온다(Lee, 2003).
시설재배의 특징은? 시설재배는 집약적인 재배특성으로 인하여 화학비료와 퇴비의 사용량이 많고, 친환경 농업을 위해 투입된 미숙퇴비는 결국 선충의 먹이가 되어 선충의 밀도를 높이는 원인이 되며, 뿌리혹선충은 작물의 뿌리에 기생하여 작물의 생육을 저해하게 된다 (McSorley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nnett, R., J. Ludwig-Muler, G. Kiddle, W. Hilgenberg and R. Wallsgrove. 1995. Developmental regulation of aldoxime formation in seedlings and mature plant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ssp. pekinensis) and oilseed rape (Brassica napus): Glucosinolate and IAA biosynthetic enzymes. Planta 196:239-244. 

  2. Brown, P.D. and M.J. Morra. 1996. Hydrolysis products of glucosinolates in Brassica napus tissues as inhibitors of seed germination. Plant and Soil. 181:307-316. 

  3. Cho, M.R., S.Y. Na and M.S. Yiem. 2000. Biological control of Meloidogyne arenaria by Pasteuria penetrans. J. Asia-Pacific Entomol. 3:71-76. 

  4. Choi, Y.E. and H.Y. Choo. 1978. A study on the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affecting economic crops in Korea. Korean J. Plant Protec. 17:89-98 (in Korean). 

  5. Collins, H.P., A. Alva, R.A. Boydston, R.L. Cochran, P.B. Hamm, A. McGuire and E. Riga. 2006. Soil microbial, fungal, and nematode responses to soil fumigation and cover crops under potato production. Biol Fertil Soils 42:247-257. 

  6. Jeong, J.H., B.W. Sin and C.H. Yoo. 2001. Effects of the successive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s on soil properties and rice yield. J. Korea Soc. Soil Sci and Fert. 34(2):129-133 (in Korean). 

  7. Jun, H.S. and W.C. Park. 2001.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mparison with infested status of nematode (Meloidogyne, spp.) in plastic house continuously cultivated oriental melon in Songju. Korean J. Environ. Agric. 20:127-132 (in Korean). 

  8. Karcher A., H.A. Melouk and Z. EI Rassi. 1999. High-performance liquid phase separation of glycosides. 5. Determination of individual glucosinolate in cabbage and rapeseed by laserinduced fluorescence capillary electrophoresis via the enzymatically released isothiocyanate aglycon. J. Agri. Food Chem. 47:4267- 4274. 

  9. Kim, D.G. and S.K. Choi. 2001. Effects of incorporation method of nematicides on reproduction of meloidogyne arenaria. Korean J. Appl. Entomol. 40:89-95 (in Korean). 

  10. Kim, H.K., K.C. Ma, M.S. Kim, G.P. Bang, J.K. Kim and M.S. Park. 2010. Environmentally-friendly control of soil nematode by crashed-rape (Brassica napus) seed. Korean J. Environ. Agric. 29(3):282-286 (in Korean). 

  11. Lee, J.G. 2003. Occurrence, ecology and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under greenhouse cultivation system. Ph.D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 Korea. (in Korean). 

  12. Ludwig-Muler, J., B. Schubert, K. Pieper, S. Ihmig and W. Hilgenberg. 1997. Glucosinolate content in susceptible and resistant chinese cabbage varieties during development of clubroot disease. Phytochemistry 44(3):407-414. 

  13. Hur, B.K., L.Y. Kim, I.S. Jo, Y.S. Park, K.T. Um and M.S. Kim. 1986. Effects of organic matter resources on the soil improvement and crop growth. J. Korean Soc. Soil Sci. Fet. 28:7-12 (in Korean). 

  14. McSorley, R., M. Ozores-Hamton, P.A. Stanly and M. Conner. 1999. Nematode management, soil fertility and yield in organic vegetable production. NMTROPICA 29(2):206-213. 

  15. Mithen, R., B.G. Lewis, R. Heaney and G.R. Fenwick. 1987. Glucosinolates of wild and cultivated Brassica species. Phytochemistry 26:1969-1973. 

  16.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e Science. 2000. Method of soil and crop plant analysis.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1. Method of Tomato Culture. 

  18. Southey, J.F. 1986. Laboratory methods for with plant and soil nematodes.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Encyclopaedia Britannica, London, UK. p. 202. 

  19. Thomas, S.H. 1978. Population densities of nematodes under seven tillage regimes. J. Nmatology 10(1):24-27. 

  20. Grsic-Rausch, S., B. Kirchheim, K. Pieper, M. Fritsch, W. Hilgenberg and J. Ludwig-Muler. 1999. Induction of auxin biosynthetic enzymes by jasmonic acid and in clubroot diseased Chinese cabbage plants. Physiol. Plant. 105:521-531. 

  21. Grsic-Rausch, S., P. Kobelt, J.M. Siemens, M. Bischoff, and J. Ludwig-Muler. 2000.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nitrilase during symptom development of the clubroot disease in Arabidopsis. Plant Physiol. 122:369-3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