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단횡단을 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연구: TPB를 중심으로
A Study for Pedestrian's Safety: Relating to TPB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 2015년, pp.180 - 194  

장경 (단국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로 상에서 차량은 강자이고 보행자들은 약자의 처지이다. 본 논문은 보행자의 안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먼저, 본 논문은 인구 모수들과 TPB(계획된 행동의 이론)의 변수들(도로에서 보행자의 길 건너는 행동에 있어서의 태도, 개인적 가치, 인지된 행동 통제, 등), 길을 건너고자 하는 의도, 건너는 동안의 인지된 위험, 그리고 과거 교통사고의 경험 사이의 연관성을, 대학생 샘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TPB 변수들을 고려한 보행자 연구는 한국에서 통상 수행되지 않았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도로를 건너는 보행자의 위험한 행동에 있어서, 인간의 인지 실패/오류, 충동성, 시간관, 그리고 확률적/수학-논리적 판단 능력이,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그 비중이 아주 크지는 않지만,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인간 생명은 매우 소중하므로, 보행자의 사고에서 인간의 그러한 심리적 요인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한다면, 보행자의 사고를 예방하고 그 불행을 줄이는 데에, 더 나아가 사고와 관련된 경제적 손실과 보험 지출을 줄이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roads vehicles are the bossy, while pedestrians are the frangible. The current paper has a purpose for contributing to pedestrian's safety. First, it studies the association between demographic parameters and TPB(Theory of Planned Behavior)'s variables(pedestrian's attitude toward crossing behav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동이나 행동의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인명의 직접적 손실을 연구(실험/측정)하기 어려우므로 보통 행동에 대한 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기도 한다. 행동이나 행동의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앞에서 논의한 TPB변수 외에 충동성과 습관[11], 연령[10][5], 분노[9], 스트레스, 성실성 및 정서적 안정성[12]같은 인구적/심리적 변수를 운전자 교통사고 연구에 활용하기도 한다. TPB이론에 의거한 변수들이 보행자 사고와 관련된 분산을 얼마나 설명하는지는 기존 연구[5][6][7]에 나타나있다.
도로교통공단의 2013년판 교통사고 통계분석에 따를 때 보행 중 사망자수는 어떠한가? 도로교통공단의 2013년판 교통사고 통계분석을 보면 보행 중 사망자수는 2027명, 부상자수는 51693명으로, 사망자수는 교통사고 사망자 전체수에 비하면 대략 38%{=(2027/5천만)*10만/10.78}이고, 세계적으로는 65%[7, p. 811]로, 국내외적으로 보행자는 도로 위에서 약자 “을”로서 피해를 큰 피해를 입고 있다. 보행자들은 어떻게 사고를 당하게 되는지를 검토해 볼 때, 교통 약자로서 운전자 “갑”이 잘못하면 어쩔 수 없이 피해를 당하는 측면이 있기도 하지만, 보행자로서도 방어적으로 조심한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보행자로서 교통사고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하는가? 811]로, 국내외적으로 보행자는 도로 위에서 약자 “을”로서 피해를 큰 피해를 입고 있다. 보행자들은 어떻게 사고를 당하게 되는지를 검토해 볼 때, 교통 약자로서 운전자 “갑”이 잘못하면 어쩔 수 없이 피해를 당하는 측면이 있기도 하지만, 보행자로서도 방어적으로 조심한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o, Choon-Ho, Shin, Tack-Hyun, Park, Min-Kyu, Ku, Seung-Hwa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ognitive Failure, Mistakes, and Accidents of the Train Driver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 Saf. Manag. Sci., Vol. 15, No. 4, pp. 81-88, 2013. DOI: http://dx.doi.org/10.12812/ksms.2013.15.4.81 

  2. Kim, Dohyung, Catalano, Andre,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Environment between Bicyclist and Pedestrian Crash Concentration Zone and Non-concentration Zone",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Vol. 19, No. 4, pp. 63-81, 2012. 

  3. Ji, Osok, "Analysis of Elderly Pedestrian Traffic Accident Data and Suggestion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3, pp.843-853, 2010. 

  4. Kang, D. M. and Ahn, S. M.,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on the Vehicle-Pedestrian Accid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Vol. 13, No. 2, pp. 56-62 , 2009. 

  5. Holland, C. and Hill, R., "The Effect of Age, Gender and Driver Status on Pedestrians' Intention to Cross the Road in Risky Situation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9, pp. 224-237, 2007. DOI: http://dx.doi.org/10.1016/j.aap.2006.07.003 

  6. Zhou, R., Horrey, W. J., and Yu, R., "The Effect of Conformity Tendency on Pedestrians' Road-crossing intentions in China: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1, pp. 491-497, 2009. DOI: http://dx.doi.org/10.1016/j.aap.2009.01.007 

  7. Xu, Y., Li, Y, and Zhang, F., "Pedestrian's Intention to Jaywalk: Automatic or Planned? A Study based on a Dual-Process Model in Chin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50, pp. 811-819, 2013. DOI: http://dx.doi.org/10.1016/j.aap.2012.07.007 

  8. Ajzen, I., From intention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J. Kuhl and J. Bechman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s, Springer, New York, pp.11-39, 1985. DOI: http://dx.doi.org/10.1007/978-3-642-69746-3_2 

  9. Shin, Y. K., Hahn, D. W., Ryu, J. B., "A Prediction of Overspeed Driving on the Road with Driving Anger Sca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4, No. 1, pp.159-173, 2009. 

  10. Jo, S. H., "An Analysis of Psychological Factors of Driver's Traffic-Light Violatons", Korean Criminal Psychology Review, Vol. 9, No.3, pp. 139-165, 2013. 

  11. Shin, Y. K., Ryu, J. B, and Kang, S. C., "Main Psych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Sleep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4, No. 3, pp. 85-94, 2006. 

  12. Lee, Wonyoung, "The Interacting Effects of Cognitive Failure, Consciousness and Job Stress on Safty Behavior and Accident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9, No. 3, pp.475-497, 2006 

  13. Ajzen, I. and Fishbein, M.,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0. 

  14. Zimbardo, P. G. and Boyd, J. N., "Putting Time in Perspective: A Valid, Reliable Individual-Differences Metric",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7, No. 6, pp. 1271-1288, 1999.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7.6.1271 

  15. Yune, S. and Kim, J., "Validation of Korean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6, No. 2, pp. 587-606, 2012. 

  16. Dohmen, T., Falk, A., Huffman, D. Marklein, F., and Sunde, U., "Biased Probability Judgment: Evidence of Incidence and Relationship to Economic Outcomes from a Representative Sample",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72, pp.903-915, 2009. DOI: http://dx.doi.org/10.1016/j.jebo.2009.07.014 

  17. Oechssler, J., Roider, A, and Schmitz, P. W., "Cognitive Abilities and Behavioral Biases",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72, pp.147-152, 2009. DOI: http://dx.doi.org/10.1016/j.jebo.2009.04.018 

  18. Kwon, Sun-Jung and Kim, Kyo-Heon, 2007,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2, No. 1, pp.269-287. 2007. 

  19. Betts, Kevin R. and Hinsz, V. B., "Mindful Attention and Awareness Predicts Self-Reported Food Safty Practice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Current Psychology, DOI 10.1007/s12144-014-9251-4, pp.1-16, 2014. DOI: http://dx.doi.org/10.1007/s12144-014-9251-4 

  20. Lee, Bong-Keon, "The Effects of Korean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on depression, mindful attention awareness, and absorp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7, No. 1, pp.333-345, 2008. DOI: http://dx.doi.org/10.15842/kjcp.2008.27.1.019 

  21. Elfering, A., Grebner, S., and Dudan, A., "Job Characteristic in Nursing and Cognitive Failure at Work", Safty and Health at Work, 2, pp.194-200, 2011. DOI: http://dx.doi.org/10.5491/SHAW.2011.2.2.194 

  22. Lim, Jee-Young, "The Proness to Boredom in the Behavioral Anger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s of Impulsiveness, Sensation Seeking, Low Frustration Tolerance, and Type A Personalities", Studies on Korean Youth, Vol. 21, No. 1, pp. 67-89, 2010. 

  23. Farmer, R., and Sundberg, N. D., "Boredom Proneness-The Development and Correlates of a New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 50, No. 1, pp. 4-17, 1986. DOI: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001_2 

  24. Lim S. Y. and Lee, Y. H., "A Korean Validation of the UPPS-P Impulsive Behavior Scale i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3, No. 1, 51-71, 2014. 

  25. Whiteside, S. P. and Lynam, D. R. "The Five Factor Model and Impulsivity: Using a Structural Model of Personality to Understand Impulsiv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pp. 669-689, 2001. DOI: http://dx.doi.org/10.1016/S0191-8869(00)00064-7 

  26. Carriere, J. S. A., Cheyne, J. A., and Smilek, D., "Everyday attention lapses and memory failures: The affective consequences of mindlessnes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7, pp. 835-847, 2008. DOI: http://dx.doi.org/10.1016/j.concog.2007.04.008 

  27. Brown, K. W. and Ryan, R. M.,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No.4, pp.822-848, 2003.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84.4.822 

  28. Broadbent, D. E., Cooper, P. F., and Parkers, K. R., "The Cognitive Failures Questionnaire (CFQ) and its Correlate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 pp. 1-16, 1982. DOI: http://dx.doi.org/10.1111/j.2044-8260.1982.tb01421.x 

  29. Cheyne, J. A., Carriere, J. S. A., Smilek, D., "Absent-mindedness: Lapses of Conscious Awareness and Everyday Cognitive Failure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5, pp. 578-592, 2006. DOI: http://dx.doi.org/10.1016/j.concog.2005.11.009 

  30. Lee, M. S., Lee, S. Y., and Kim, S. H., "The Effect of Fire Safety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Safety Behavior -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Safty and Crisis Management, Vol. 9, No. 11, pp. 329-343, 2013. 

  31. Ryu, J. B., Shin, Y. K. and Park, J. J.,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f Speeding Behavior Using a Driving Simulat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9, No. 1, pp. 39-4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