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단횡단 교통사고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edestrian Crashes Contributing Factors During Jaywalking - Focused on the case of Seoul -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4 no.3, 2015년, pp.38 - 49  

최재성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상엽 (전북발전연구원 도시공간교통연구부) ,  김성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연준형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칠현 (전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0년 서울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424명이며, 이들 중 227명(54%)이 보행자 사고이다. 또한 보행자 사망사고 중 보행자 사망사고의 40%가 무단횡단에 의한 사고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 사고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무단횡단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문헌 고찰, 인적 요인 및 차량 특성, 사고지점의 기하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제시에 앞서 사고 요인을 밝히기 위해 무단횡단 사고의 실험 및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인적요인 분석을 통해 고속으로 주행하는 운전자가 무단횡단 사망사고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행자 측면에서는 고령자들이 무단횡단 사망사고에 취약했으며 버스나 택시와의 사고에서 사고 심각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도로 및 환경 측면에서 차로수와 노면상태에 관련하여 분석했을 때, 일반적인 예상과 다른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보행자 사망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을 증진시키고, 보행자 안전에 대한 논의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oul has 424 traffic fatalities in 2010 and 227 of them related to pedestrian crashes.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40% of pedestrian fatalities occurred during jaywalking. Through the effective methods preventing jaywalking can save lots of people, and it can reduce social costs pertinent to pe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 따라서 본 연구는 통계 분석을 통해 사고 지역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적 특성에 따른 사고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과 더불어 차량조건, 도로 및 환경조건 그리고 운전자와 보행자의 연령을 바탕으로 분석해야한다.
  • 또한 2011년에 제정된 ‘보행 안전 및 편의 증진에 관한 법률’ 과 같이 정책적 측면에서 무단횡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또한 도로 기하구조, 날씨, 사람과 차량 특성 등 여러 측면에서 무단횡단 사고 요인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찰청에서 제공한 3년간(2008~2010)의 자료와 사고 지점의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사고 지점의 상세한 기하구조를 조사하였다.
  • 또한 사고지점의 위치를 파악하여 추가적인 도로환경 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차로수와 중앙버스정류장의 유무를 조사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였고, 보행지역의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사고특성을 밝혀내고자 사고지점의 토지이용현황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16개 항목에 대한 54개의 변수에 대하여 무단횡단 발생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 무단횡단은 전 세계에 걸쳐 발생하며, 특히 서울의 경우 보행자 사망사고의 40%가 무단횡단에 의해 발생한다. 본 연구는 무단횡단 사고의 발생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무단횡단과 관련하여 안전시설의 유무나 횡단보도와의 관계처럼 하나의 요인들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 아니라 여러 요인들이 무단횡단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도로의 구조, 운전자와 보행자의 인적 요인, 기상 상황 등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각 변수들과 무단횡단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는 향후 무단횡단에 관련된 연구에 다방면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무단횡단 사망사고의 발생요인을 알아보고 그 영향력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고자료, 도로 및 환경조건, 그리고 사람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공간적으로는 서울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보행자 사고 및 무단횡단 사고에 관한 기존의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둘째로, 서울경찰청의 자료를 바탕으로 도로 및 환경조건, 차량, 날씨, 연령을 포함한 과거의 사고 자료와 특히 무단횡단에 의한 사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무단횡단사고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고 높은 국내의 보행자 사망사고를 예방하는 기법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기존 대부분의 대책은 적정 장소에서의 횡단보도 공급과 무단횡단 방지시설의 설치를 제시하고 있다.
  • 앞에서는 서울에서 발생한 무단횡단 사망사고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대부분 앞서 밝힌 특성들만으로 결론을 짓고 있다.
  • [17] 분명 이러한 접근을 위해서는 도로 관련부서의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무단횡단 사고와 관련된 사고 자료, 차량 정보, 인적정보를 통합 하는 포괄적인 자료망을 구축하였다. 먼저 서울시의 보행자 사고 자료를 수집하여 무단횡단 사고자료를 분리하였고, 이후 무단횡단 사망사고의 원인과 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미에서 무단횡단의 제도적 내용은? 북미에서 무단횡단은 불법으로 도로를 횡단하거나 무모하게 횡단하는 것을 말하며, 횡단보도가 아닌 구역에서는 보행자보다 운전자에게 통행 우선권이 부여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주차위반과 유사한 처벌이 부여된다. 프랑스에서는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반드시 이용해야 할 의무는 없으며, 50m 이내에 횡단보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만 처벌된다.
사고 요인을 밝히기 위해 무단횡단 사고의 실험 및 통계 분석한 결과는? 방법 제시에 앞서 사고 요인을 밝히기 위해 무단횡단 사고의 실험 및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인적요인 분석을 통해 고속으로 주행하는 운전자가 무단횡단 사망사고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행자 측면에서는 고령자들이 무단횡단 사망사고에 취약했으며 버스나 택시와의 사고에서 사고 심각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도로 및 환경 측면에서 차로수와 노면상태에 관련하여 분석했을 때, 일반적인 예상과 다른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보행자 사망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을 증진시키고, 보행자 안전에 대한 논의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통사고 어떤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가? 따라서 무단횡단 사망사고의 이유를 밝혀 보행자 사망사고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교통사고는 일반적으로 도로 환경적 요인, 차량 요인, 인적요인에 따라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2011년에 서울시에서 발생한 무단횡단 사고 사망자 특성을 이런 기준에서 살펴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Accident Comparison of OECD Member Countries on 2010, South Korea, 2012. 

  2. ITE, Manu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Studies.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2010. 

  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Survey, Seoul Statistics, South Korea, 2010. 

  4. S. Y. Baik, A Study on Preventive Measures for Traffic Accidents Resulting from Jaywalking, University of Seoul, South Korea, 2012. 

  5.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Cost of Road Traffic Crashes Estimates and Evaluation on 2009, South Korea, 2010. 

  6. J. S. Choi, S.Y. Kim, T.Y. Heo and J.H. Lee, "Safety Effects of Highway Terrain Types in Vehicle Crash Model of Major Rural Road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5, no. 2, pp.405-412, 2011. 

  7. J. H. Seol, Study for Reducing Pedestrian Crashes, Korea Transportation Institute, South Korea, 1990. 

  8. S. C. Lee, "Reduction Meas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Crashes",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August, pp.79-84, 1993. 

  9. S. Jeong, Suggestions Based on a Crosswalk Installation, Networks for Green Transport, no. 30, 1997. 

  10. T. Vanderbilt, Traffic: Why We Drive the Way We Do (and What It Says About US), Knopf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8. 

  11. National Police Agency, Enforcement Decree of Road Traffic Act, South Korea, 2012. 

  12. X. Zhuang and C. Wu, "Pedestrians' Crossing Behaviors and Safety at Unmarked Roadway in Chin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3, no. 6, pp.1-10, 2011. 

  13. T. B. Kwon, Daegu Plans to Establish the Pedestrian Environment,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South Korea, 2001. 

  14. G. M. Ki, Knowing the Psychology of Pedestrians Walking Seems the Answer to Reduce Traffic Crash,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July, pp.6-9, 2009. 

  15. C. M. Kim, US Metropolitan Pedestran Crash Type of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Korea Transportation Institute, no. 132, 2009. 

  16. K. Kim, I. Brunner and E. Yamashita, "Modeling Violation of Hawaii's Crosswalk Law",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s, vol. 40, no. 3, pp.894-904, 2007. 

  17. W. Homburger, Fundamentals of Traffic Engineering(15th Edition).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6. 

  18. B. Mullen, C. Cooper and J. Driskell, "Jaywalking as a Function of Model Behavi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 16, no. 2, pp.320-330, 1990. 

  19. O. Keegan, M. O'Mahony, Modifying Pedestrian Behavior,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37A, no.10, pp. 889-901, 2003 

  20. J. S. Choi, S. Y. Kim, K. S. Hwang and S. Y. Baik, "Severity Analysis of the Pedestrian Crash Patterns Based on the Ordered Logit Model",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11, no. 1, pp.153-164, 2009. 

  21. R. Tay, J.S. Choi, L. Kattan and A. Khan, "A Multinomial Logit Model of Pedestrian-Vehicle Crash Seve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vol. 5, no. 4, pp.233-249, 2011. 

  22. J. Kajzer, D. Mohan and J. Yang, "Safer Bus Fronts for Pedestrian impact Protection in Bus-Pedstrian Accident", International IRCOBI Conference on the Biomechanics of Impacts, pp. 13-23, 1992. 

  23. P. Burns and G. Wilde, "Risk Taking in Male Taxi Driver: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18, no. 2, pp.267-278, 1995. 

  24. K. Takeuchi, J. Kajzer, H. Ishikawa and O. Bunketorp, "Car-pedestrian Accidents in Gothenburg during Ten Years", International IRCOBI Conference on the Biomechanics of Impact, 1998. 

  25. F. Bu and C. Chan, "Pedestrian detection in transit bus application: sensing Technologies and SafeTy Solutions", The Intelligent Vehicles Symposium, pp.100-105, 2005 

  26. S. G. Kim, "Study on Policy Strategies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the Elderl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