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adjustment of infants and toddlers to child care cent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 2015년, pp.223 - 234  

김현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보육교사교육원) ,  고경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지금까지 이루어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를 재인식하고 앞으로 이와 관련한 연구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영아(0~2세)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126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별 분석결과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시기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결과 영아,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주제에 따른 분석결과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결과 양적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a research related with adjustment of infants and toddlers of what has gone before to child care center and find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study related with it in the future, as examining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adjustment of inf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위논문과 학회지에 발표된 영아 적응 관련 연구들을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 해 봄으로써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가 시기에 따라 전반적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대상과 내용 및 방법론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연구들은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적응 정도를 예측하거나 영아 적응 관련 요인들과의 관련성 등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영아의 적응과정 탐색에 관한 연구들은 영아들의 적응과정과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들의 원활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중요성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증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양적으로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 또한 이러한 현상은 과거 영아에 대한 시각의 변화와 영아에 대한 중요성의 부각[13, 36]과 더불어 맞벌이 부부들의 증가, 어린이집의 정부지원향상, 무상보육 등 아동 복지를 위한 사회적·경제적 필요성 및 보육정책으로 인해 0∼2세 영아들의 어린이집 이용자수가 늘게 됨으로써[21] 영아의 적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 볼 수 있다. 이는 영아들이 아주 어린 시기부터 어린이집을 다니게 되면서 주 양육자와 격리되어 어린이집이라는 낯선 환경에서 겪게 되는 심리적, 정서적 충격으로 인한 적응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리라는 교육자 및 학자들이 이에 대한 대안으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를 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도입된 평가인증제도[23]에서 제시된 영역지표 중 신입원아 적응 프로그램 실시여부와 현장에서의 적용도 그동안 지나쳐온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보다 질 높은 보육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자들의 관심의 결과 때문으로 짐작할 수 있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위논문과 학회지에 발표된 영아 적응 관련 연구들을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 해 봄으로써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가 시기에 따라 전반적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대상과 내용 및 방법론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를 재인식하여 순조로운 영아의 적응을 돕고 후속연구의 기초를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겠다.
  • 지금까지 이루어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크게 2가지 영역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와 영아의 적응과정 탐색에 관한 연구이다.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연구들은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적응 정도를 예측하거나 영아 적응 관련 요인들과의 관련성 등을 밝히고 있다.
  • 이는 영아의 보다 안정적인 적응에 관여하는 관련 변인을 밝혀보려는 노력과 더불어 영아에게 있어서의 적응 과정과 그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는 결과이기도 하다. 특히 적응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영아 관련 변인이 가장 많이 연구되어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초기에는 영아 관련 변인인 애착안 정성과 기질이 적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려고 했다면 2004년 이후부터 최근까지는 영아 관련 변인뿐만 아니라 영아의 적응에 핵심 주변 변인으로 작용하는 부모 및 교사 관련 변인과의 관계도 다루면서 그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연구자들의 관심이 주변 변인 연구를 통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돕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의 시도라 볼 수 있을 것이며, 기초연구단계에서 벗어난 보다 향상된 연구의 진행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드러내 주는 결과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적으로 영아를 바라보는 시각은 어떻게 바뀌었나? 영아기는 전 생애를 위한 토대를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하고 변화 가능성이 큰 시기이다. 영아의 능력과 뇌 발달에 대한 연구결과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영아를 바라보는 시각은 의존적이고 수동적이며 무능력한 존재에서 상호적이고 능동적이며 유능한 존재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영아에 대한 시각의 변화와 더불어 저출산, 여성의 고학력 및 사회진출의 증가, 자녀양육을 위한 가정 내 지지기반 약화 등의 사회적 변화는 영아들이 아주 어린 시기부터 어린이집에서 보육되어지도록 하고 있다[51].
영아기는 어떤 시기인가? 영아기는 전 생애를 위한 토대를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하고 변화 가능성이 큰 시기이다. 영아의 능력과 뇌 발달에 대한 연구결과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영아를 바라보는 시각은 의존적이고 수동적이며 무능력한 존재에서 상호적이고 능동적이며 유능한 존재로 변화하고 있다.
영아보육에 대한 관심과 양질의 보육 서비스가 필요함을 주장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더욱이 2013년부터 실시된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영아 보육료 전액 지원정책은 영아의 어린이집 입소 연령층을 더욱 하향화 시키고 있는데 [21]에 의하면 3-5세 보육유아수는 약 60만명, 0-2세 보육영아수는 약 87만명으로 많은 수의 영아들이 어린이집에서 보육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21]. 이는 영아보육에 대한 관심과 양질의 보육 서비스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Gu, Su Yeon, "A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toddlers to child care center", Doctorate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2006. 

  2. Koo, Ja-Sim,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adjustment process of infants to child care center", Doctorate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2013. 

  3. Kwon, Yeon Jung, & Ryu, Joo Yeon, "An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trends published in nine maj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from 2007 to 2012",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2), 191-212, 2013. 

  4. Kim, Geun Hye, & Hong, Soon Ohk, "Research trends concerning infants play", Journal of Children's media research, 12(3), 135-156, 2013. 

  5. Kim, Mi-ro, "Status of infant's early adaptation program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study on teaching metho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4. 

  6. Kim. So-Hee, "The actual conditions and teacher's perception about infants' early adjustment program in day care center",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illa University, 2006. 

  7. Kim, Yeon Suk, "An action research on the adaptation procress of toddlers to child care center",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2009. 

  8. Kim, Young-Sil, & Shin, Ae-Sun,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infants'-Focused on jour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rom 2006 to 2012",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86, 79-105, 2014. 

  9. Kim, Ji-Su, "A study on one year infants' early adjustment program to daycare center", Master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k-Myung University, 2008. 

  10. Kim, Hae-sook,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teacher's perception to initial adaptation of infant in child care center",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yungnam University, 2011. 

  11. Kim, Hyun Joo,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infant teach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7(4), 401-419, 2013. 

  12. Kim, Hye-kyung, "Actual condition of childcare-facilities administration based on daycare-centers in Seoul", Journal of Korea and Japan education, 7(1), 175-199, 2003. 

  13. Noh, Hee-Yeon, "Research trends concerning infants and toddlers-A review of Korean Master's and Doctorate These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7(4), 277-301, 2007. 

  14. Park, Mi Ja,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to initial adaptation of infant in child care center",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Ahju University, 2009. 

  15. Park, Sung Mi, & Lee, Gi Hee, & Kim, Jung Sin, "Base journals for development children's childhood education center adaptation program", Journal of educare, 1(1), 57-71, 1996. 

  16. Park, Yu Ri,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infant's early adaptation program",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2007. 

  17. Park, Ji No,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dissertation on the infant interaction",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3. 

  18. Park, Chung il, & Ko, Gyeong-Pil, & Kim, sin-Gon, & Kim, Hyun- Ju, "Introducyion to child care and education", Seoul: hakjisa, 2011. 

  19. Park, Hye Kyung, "Analysis of research on young children's language: focused on domestic journals", Journal of education and science, 36(1), 393-409, 2005. 

  20. Ministry of health & weltar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tare, 2007. 

  21. Ministry of health & weltare,. child care statistics, 2013, http://stat.mw.go.kr 

  22. Ministry of health & weltar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for age 0-2 in Nurser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tare, 2013. 

  23. A childcare center evaluated the Secretary-General, "Nursery facilities assessment and certification guidelines".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tare, 2007. 

  24. Pae, Sung-Hee, "Difficulties and adaptation process of two year old toddlers' under time-extended child care",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Daejeon University, 2008. 

  25. Seo, So Jung, "A study of influential variables on infant's adjustment behavi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ttings: Emphasis on infant development, temperament, teacher-infant interaction, maternzal beliefs about parenting and infant care as well maternal support strategies on the infant's adjustment behavior",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6(4), 259-288, 2009. 

  26. Seo, Hyun, & Yun, Kyeong-Ah, "The adaptation aspects of infant, teacher, parent in extended tim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4), 231-261, 2013. 

  27. Sung, Young-Hwa, & Jung, Hye-Sook, & Koh, Tae-Soon,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djustment scale for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Korea journal of child care education, 68, 67-82, 2011. 

  28. Shin, Ji-Hye, & Choi, Hye-Soon, "An Aanalysis of trends in studies relating to early childhood happines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4(1), 5-28, 2014. 

  29. Woo, Hyun-kyun, "A Ethnographic study on early adaptation of in day care center",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998. 

  30. Yoo, Soo-Kyung, & Hwang, Hae-lk, "An analsis of research trends on teacher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tor",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3), 293-314, 2009. 

  31. Lee, Dae-Kyun, & Baek, Kyung-Sun, "An analytical study on qualitative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3), 167-191. 

  32. Lee, Dong Young, "A study on teachers's recognition and guiding methods of children's early adaption day care",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9. 

  33. Lee, Yong Joo, "early adaption processes and strategies of one year old infants to day care center, Journal of Children's research, 7, 137-155, 2004. 

  34. Lee, Sun-Ju, "Condition and teacher's recognition of infant early adjustment program in day care center",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2009. 

  35. Lee, Eun Kyung, "The current ststus of early adjustment programs for infants in day care center", Master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2006. 

  36. Lee, Joo-Ok, & Chang, Hyun-Joo, "Analysis of toddlers' social interactive behavio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5), 25-41, 2004. 

  37. Lee, Hye-sook, "Comparative research and studies on early-adapting guidance of infants in day care agencies", Master thesis in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Myongji University, 2007. 

  38. Lim, Sang-Do, "Anal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ase of academic jourals", Journal of education and science, 44(2), 169-190, 2013. 

  39. Jang, Eun Mi,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oddlers' temperament, preceding education and employment of a mother on problem behaviors in initial adapting at day care center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8. 

  40. Jeong, Seol-Hee, & Ryu, Eun-Ju, & Ahn Youn-Kyung, "A trend analysis of peer relationship in early childhood: A review of joutals from 1988 to 2009",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5(3), 333-352, 2010. 

  41. Jeoung, Hee-Young, & Bang, Seung-Mi, & Yoo, Hee-Jin, "An analysis of trends in studies relating to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2(5), 277-296, 2012. 

  42. Cha, Young Suk, "Story of infant's early social lif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6(4), 227-257, 2009. 

  43. Choe, Su-jeong, "The recognition of newcomer adaptation program management in nurturing facilitie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aya University, 2010. 

  44. Ha, Ran-Young, "The teacher's recognition on infant's early adjustment to daycare center",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2011. 

  45. Tae, Jin, "Quality of child care environment and toddler's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1998. 

  46. Korea jour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oul: YangSuWon, 1995. 

  47. Field, T. "Affective development in infant",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86. 

  48. Hughes, M., Plewis, I., & Pinkerton, G.(1979). Children's difficulties on starting infant school.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0, 187-196. DOI: http://dx.doi.org/10.1111/j.1469-7610.1979.tb00502.x 

  49. Ladd, G. W. & Troop-Gordon, W.(2003). The role of chronic peer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Child Development, 74, 1344-1367. DOI: http://dx.doi.org/10.1111/1467-8624.00611 

  50. Lieberman, A. f. (1993). The emotional life of the toddler. NY: Free Press. 

  51. Wittmer, D. S., & Petersen, S. H.(2006).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Ohio: Merrill prentice 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