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의 영향 요인과 매개요인
Influencing and Mediating Factors in Stroke: Based on 2007-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 2015년, pp.418 - 428  

배승근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성국 (경북대학교 예방의학교실) ,  한창현 (국립중앙의료원 경북응급의료정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뇌졸중 질환자의 올바른 건강행태를 유도하고 이에 따른 뇌졸중 질환 예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4기 및 5기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자의 경우 뇌졸중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연령, 직업, 주관적 건강상태, 음주, 고혈압과 당뇨병 유무 변수이었고, 여자의 경우는 연령, 직업,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정도, 고혈압 유무이었다. 건강행태가 뇌졸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선행질환은 부분매개 모형완전매개 모형${\chi}^2$ 값의 차이가 5.8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p<0.01),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뇌졸중 예방을 위해 잘못된 건강행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예방적 건강 교육과 건강관리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며, 선행질환이 있는 경우 건강상태에 대한 장기적인 진단 및 지속적인 생활습관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influencing and mediated effect on stroke to lead correct health behavior of stroke patients and trie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f stroke prevention. It used stage 4 and 5 data of 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alysis method was frequency analysis, C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3차년도(2007∼2009년) 및 제5기 1∼3차년도(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건강행태, 선행질환이 뇌졸중 질환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뇌졸중 질환자의 올바른 건강행태를 유도하고 이에 따른 뇌졸중 질환 예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3차년도(2007∼2009년) 및 제5기 1∼3차년도(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건강행태, 선행질환이 뇌졸중 질환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뇌졸중 질환자의 올바른 건강행태를 유도하고 이에 따른 뇌졸중 질환 예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4기 1∼3차(2007∼2009년) 및 제5기 1∼3차년도(2010∼2012년)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연령이 40∼79세인 성인을 대상으로 뇌졸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건강행태와 뇌졸중 관계에서 선행질환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적인 자기관리와 바람직한 건강행태의 실천이 뇌졸중 치료에 중요한 이유는? 뇌졸중은 발병 후 치료에 역점을 두는 것보다 위험요인이 있는 대상자를 발견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통해 뇌졸중 발병률을 80%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한 번 뇌졸중이 발생하면 다시 뇌졸중이 재발할 위험이 높아 가장 최선의 치료는 예방이다[6]. 뇌졸중관리 및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의 건강행태 및 생활습관을 변화하려는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자기관리가 필요하며 일상생활에서의 바람직한 건강행태의 실천이 요구된다.
뇌졸중의 위험요인 중 생의학적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의 위험요인은 크게 생의학적 요인(선행질환)과 건강행태학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생의학적 요인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이상지혈증, 심방세동 등이 있고, 건강행태학적 요인으로는 음주와 흡연, 신체활동, 짜게 먹는 식습관, 비만도 등이 있다. 더욱이 이 건강행태학적 요인들은 뇌졸중을 합병증으로 수반하는 기저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이기도 하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4].
국내에서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 및 유병률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러나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 및 유병률에 대한 파악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 및 유병률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조사방법과 건강보험 이용 자료를 이용한 분석 방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tatistics Korea. 2013 Cause of death statistics. 

  2. Dijkerman HC, Ietswaart M, Johnston M, Macwalter RS, "Does motor imagery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Clin Rehabil. 18(5), pp. 538-549, 2004. DOI: http://dx.doi.org/10.1191/0269215504cr769oa 

  3. Hardie K, Hankey GJ, Jamrozik K, Broadhurst RJ, & Anderson C, "Ten-year risk of first recurrent stroke and disability after first-ever stroke in the Perth Community stroke study", Stroke, 35, pp.731-735, 2004.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116183.50167.D9 

  4. Wang G, Bowman BA, "Recent economic evaluations of interventions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by reducing sodium intake", Current Atherosclerosis Reports, 15(9), pp.1-9, 2013. DOI: http://dx.doi.org/10.1007/s11883-013-0349-1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2), pp.53-61, 2012. 

  6. Korean Stroke Society. Stroke story (definition, cause). Retrieved December 1, 2014, from http://www.stroke.or.kr/stroke/qna_view.php?gubun5. 

  7. H. W. Kim, "Th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s -Based on the 4th & 5th KNHAN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2. 

  8. K. J. Park, "The impact of health behaviors and social strata on the prevalence of cardio-cerebrovasculardiseas", Soonchunhyang Universit. Asan, 2012. 

  9. S. O. Shin, E. K. Roh, "A Influencing Factor s in Korea Adults Strok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2), pp. 6227-6236, 2013. 

  10. Jakovljevic D, Sarti C, Sivenius J, Torppa J, Mahonen M, Immonen-Raiha P, Kaarsalo E, Alhainen K, Kuulasmaa K, Tuomilehto J, Puska P, & Salomaa V, "Socioeconomic status and ischemic stroke", Stroke, 32, pp. 1492-1498, 2001. DOI: http://dx.doi.org/10.1161/01.STR.32.7.1492 

  11. C. M, Choi, Y. H. Song, S. Y. RHee, J. T. Woo, "Framingham Risk Scores by Occupational Group: Based on the 3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nren J Occup Envion Med., 21(1), pp. 63-75, 2009. 

  12. H. W. Kim, "Th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2. 

  13. M. S. Song, Y. S. Byeon, K. S. Lim, J. W. Oak, "A Study on Health Behavior in People at Risk for a Cerebrovascular Acci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7), pp.1091-1097. 2007. 

  14. Y. J. Cho, "Alcohol and Risk of Ischemic Stroke in the Elderly people: A Nested Case-Control Stud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4. 

  15. K. J. Park, "The Impact of Health Behaviors and Social Strata on the Prevalence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2012. 

  16. Y. J. Kim, C. Y. Kwak,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Findings from the 2005, 200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Health Promot, 11(3), pp.169-176, 2011. 

  17. T. H. Park, M. K. Kim, K. B. Lee, J. M. Park, S. J. Lee, K. H. Jung, Y. J. Cho, J. S. Lee, J. Y. Lee, H. J. Bae, "Prevalence of Risk Factors for Ischemic Stroke in Korea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Neurology Assoc, 27(1), pp.19-27, 2009. 

  18. Kjeldsen SE, Julius S, Hedner T, & Hansson L, "Stroke is More Common Than myocardial infarction in hypertension: Analysis based on 11 major randomized intervention trials", Blood Pressure, 10(4), pp.190-192, 2001. DOI: http://dx.doi.org/10.1080/08037050152669684 

  19. Eliasson M, Lindahl B, Lundberg V, & Stegmayr B, "Diabetes and obesity in Northern Sweden: Occurrence and risk factors for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1(61), pp.70-77, 2003. DOI: http://dx.doi.org/10.1080/14034950310001360 

  20. Stratton IM, Adler AI, Neil HAW, Matthews DR, Manley SE, Cull CA, Holman RR,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j, 321(7258), pp.405-412. 2000. DOI: http://dx.doi.org/10.1136/bmj.321.7258.405 

  2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Korean. 

  22. Daniel S, Bereczki D, "Alcohol as a risk factor for hemorrhagic stroke", Ideggyogy Sz, 20;57(7-8), pp.247-256. 2004. 

  23. Lewis A, Segal A, "Hyperlipidemia and primary prevention of stroke: does risk factor identification and reduction really work?" Current Atherosclerosis Report, 12(4), pp.225-229, 2010. DOI: http://dx.doi.org/10.1007/s11883-010-011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