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점무늬병은 콩에서 최대 50% 정도의 수량감소가 보고된 병으로 최근 한국 콩 재배포장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최근 6년간의 보급 품종을 대상으로 콩 점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표준화된 검정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포자 형성 배지 조건을 탐색하고 저항성 검정 평가 기준을 확립하였다. 포자형성은 $25^{\circ}C$, 12시간 광 조건과 암 조건에서 V8 juice를 이용한 배지의 포자 형성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접종은 $10^5spores/ml$로 준비하여, 제 5 복엽 완전전개기인 V6 stage까지 키운 건강한 콩 식물체에 실시하였고 병 반응은 28일 동안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풍은 8개 균주 모두 저항성을 보였고, 신팔달2호는 7개 균주에, 연풍, 청아는 6개 균주에 저항성을 보였다. 반면에 황금, 태광, 대원, 천상, 신화 등은 평가한 8개 균주에 모두 감수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콩 점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육종하기 위해 표준화되고 정밀화된 저항성 검정방법과 판정 체계를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 방법은 차후 포장 저항성 검정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ybean frogeye leaf spot caused by the fungus Cercospora sojina Hara, has known to lead a severe reduction of crop yield. Since frogeye leaf spot on soybean has recently become a serious problem in Korea, the susceptibility of recent recommended cultivars against C. sojina had been tested. To st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콩 점무늬병의 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전국 대부분 지역의 주요 재배 품종에서 병 발생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콩 점무늬병 저항성 품종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콩 점무늬병 병 발생 평가표를 제작하였고, 그 평가표를 기반으로 최근 6년간의 장려 품종을 평가하여 저항성 품종을 선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 점무늬병을 일으키는 C. sojina 균의 분류학적 위치는? 콩 점무늬병을 일으키는 C. sojina 균은 자낭균문에 속하는 균으로 유성포자인 자낭포자와 무성포자인 분생포자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병반에서 수십만개의 포자가 형성되며 작물 생육기간 중 환경이 잘 맞으면 2차 또는 3차 감염으로 대발생하게 된다.
콩 점무늬병을 유발하는 C. sojina의 침입경로는? sojina에 의해 발병하는 콩 점무늬병은 1915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보고가 되었다(Lehman, 1928). 이 병원균은 콩의 잎, 줄기, 꼬투리 및 종자 등 식물이 생장하는 동안 계속 침입이 가능하나 주로 잎에 가장 많이 침입하며, 꽃이 피고 난 뒤 감염되면 수확량에 큰 문제가 된다. 보통은 식물에 병원균이 침입하여 생장하며 식물에 괴사를 일으켜 둥근 반점이 생긴다.
콩 점무늬병의 원인균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논 콩 재배는 습한 논의 특성상 병균에 의한 피해가 더욱 증가하여 논에서의 콩 재배 확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는 진균병 24종, 세균병 4종, 바이러스병 4종이 보고되어 있으며(KSPP, 2009), 그 중 최근에는 진균인 Cercospora sojina Hara에 의한 콩 점무늬병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thow, K. L., Probst, A. H., Kurtzman, C. P. and Laviolette, F. A. 1962. A newly identified physiological race of Cercospora sojina on soybean. Phytopathology 52: 712-714. 

  2. Dashiell, K. E. and Akem, C. N. 1991. Yield losses in soybeans from frogeye leaf spot caused by Cercospora sojina. Crop Prot. 10: 465-468. 

  3. Godoy, C. V., Koga, L. J. and Canteri, M. G. 2006. Diagrammatic scale for assessment of soybean rust severity. Fitopathol. Bras. 31: 63-68. 

  4. Khati, P., Hooda, K. S. and Shukla, S. K. 2011. Screening of soybean genotypes against frogeye leaf spot. Indian Phytopathol. 60: 121-122. 

  5. Kim, J. S., Lee, Y. S., Kim, S. K., Kim, K. D. and Kim, J. W. 2011a. Differential responses of soybean cultivars to Cercospora sojina isolates, the causal agent of frogeye leaf spot in Korea. Plant Pathol. J. 27: 183-186. 

  6. Kim, Y. J., Lee, K. W., Cho, S. K., Oh, Y. J., Shin, S. O., Paik, C. H. and Kim, K. J. 2011b. Selec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sprout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variety for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in southern paddy field. Korean J. Organic Agri. 19: 357-372. 

  7.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KSPP). 2009. Soybean. In: List of Plant Disease in Korea. eds. by W.-G. Kim and H. M. Koo, pp. 53-60. 5th ed. KSPP, Suwon, Korea. 

  8. Laviolette, F. A., Athow, K. L., Probst, A. H., Wilcox, J. R. and Abney, T. S. 1970. Effect of bacterial pustule and frogeye Leaf spot on yield of clark soybean. Crop Sci. 10: 418-419. 

  9. Lehman, S. G. 1928. Frog-eye leaf spot of soybean caused by Cercospora diazu Miura. J. Agric. Res. 35: 811-833. 

  10. Mengistu, A., Bond, J., Mian, R., Nelson, R., Shannon, G. and Wrather, A. 2011. Identification of soybean accessions resistant to by field screening, molecular markers, and phenotyping. Crop Sci. 51: 1101-1109. 

  1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Soybean. In: The index of grading system. eds. by H. C. Park, pp. 424-425. 5th ed. RDA, Suwon, Korea. 

  12. Wrather, J. A., Anderson, T. R., Arsyad, D. M., Tan, Y., Ploper, L. D., Porta-Puglia, A., Ram, H. H. and Yorinori, J. T. 2001. Soybean disease loss estimates for the top ten soybean-producing countries in 1998. Can. J. Plant Pathol. 23: 115-121. 

  13. Yang, W. and Weaver, D. B. 2001. Resistance to frogeye leaf spot in maturity groups VI and VII of soybean germplasm. Crop Sci. 41: 549-552. 

  14. Yorinori, J. T. 1981. Cercospora sojina: pathogenicity, new races and transmission in soybeans. Ph.D.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USA. 174 pp. 

  15. Yorinori, J. T. 1992. Management of foliar fungal diseases in soybean in Brazil. In: Pest Management in Soybean, eds. by L. G. Copping, M. B. Green, and R. T. Rees, pp. 185-195.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