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질 아동의 자기효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mpowering A Self-Efficacy (EASE) Program for Children with Epileps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1, 2015년, pp.54 - 63  

유하나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  김희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the Empowering A Self-Efficacy (EASE) program on self-efficacy, self-management, and child attitude toward illness in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령기 간질아동의 자기효능을 증진시켜 자기관리를 실천하게 하고, 부정적인 질병에 대한 태도와 감정을 감소시키는 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Bandura의 자기효능 이론을 기초로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EASE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발작 자기효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EASE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질 자기관리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EASE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질병에 대한 아동의 태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아동의 효과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치료 절차나 계획 수립 시 자신을 포함하지 않았을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그래서만성질환아동의효과적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치료적 절차나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아동 자신이 포함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의료진이나 부모의 일방적인 치료지시 또는 관리방법을 무조건적으로 따라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점들은 아동이 부모에게 더욱 더 의존하게 하고 정상 성장발달을 저해하는원인이될수있다.
자기효능이란 무엇인가? 자기효능은 특정 업무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조직하고 수행하는자신의능력에대한신념(효능기대)으로Bandura[22]는자기효능 신념은 4가지 중요한 자원들로 구성되는데, 능력의 지표로서 역할을 하는 개인의 성공경험(enactive mastery experiences)과 다른 사람의 성취와 비교하고 다른 사람의 능력이 전달되는 것을 통한대리경험(vicariousexperience),행위를변경시키려는다른사람들의 언어적 설득(verbal persuasion), 생리적, 정서적 상태(physiological and affective states)에 의하여 개발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간질아동의 자기관리를 증진시키는 간호 중재를 개발하기 위해서 중재 전략으로자기효능신념의4가지중요자원들을기초로하였다.
자기효능 신념의 4가지 중요 자원은 무엇인가? 자기효능은 특정 업무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조직하고 수행하는자신의능력에대한신념(효능기대)으로Bandura[22]는자기효능 신념은 4가지 중요한 자원들로 구성되는데, 능력의 지표로서 역할을 하는 개인의 성공경험(enactive mastery experiences)과 다른 사람의 성취와 비교하고 다른 사람의 능력이 전달되는 것을 통한대리경험(vicariousexperience),행위를변경시키려는다른사람들의 언어적 설득(verbal persuasion), 생리적, 정서적 상태(physiological and affective states)에 의하여 개발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간질아동의 자기관리를 증진시키는 간호 중재를 개발하기 위해서 중재 전략으로자기효능신념의4가지중요자원들을기초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BI. Epilepsy: Epidemiology and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3;46(4):269-278. http://dx.doi.org/10.5124/jkma.2003.46.4.269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3. Austin JK, Huster GA, Dunn DW, Risinger MW. Adolescents with active or inactive epilepsy or asthma: A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Epilepsia. 1996;37(12):1228-1238. 

  4. Sbarra DA, Rimm-Kaufman SE, Pianta RC.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orrelates of epilepsy in adolescence: A 7-year follow-up study. Epilepsy & Behavior. 2002;3(4):358-367. 

  5. Moon SM.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in adolescents with epilep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1):16-26. 

  6. Kim MA, Shin Y, Park YS, Kim YH, Kim HS.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epilep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3;10(3):335-344. 

  7. Park YS. The effects of a epilepsy education program on self efficacy and self management in patients with epilep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2):405-417. 

  8. Shin SO. The effects and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ealth education program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epileptic patien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9. Jantzen S, Muller-Godeffroy E, Hallfahrt-Krisl T, Aksu F, Pust B, Kohl B, et al. FLIP&FLAP-a training programm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and their parents. Seizure. 2009;18(7):478-486. http://dx.doi.org/10.1016/j.seizure.2009.04.007 

  10. Lewis MA, Salas I, de la Sota A, Chiofalo N, Leake B. Randomized trial of a program to enhance the competencies of children with epilepsy. Epilepsia. 1990;31(1):101-109. 

  11. Rau J, May TW, Pfafflin M, Heubrock D, Petermann F. Education of children with epilepsy and their parents by the modular education program epilepsy for families (FAMOSES)-results of an evaluation study. Die Rehabilitation. 2006;45(1):27-39. http://dx.doi.org/10.1055/s-2005-915371 

  12. Snead K, Ackerson J, Bailey K, Schmitt MM, Madan-Swain A, Martin RC. Taking charge of epilepsy: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ed psychoeducational group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epilepsy and their parents. Epilepsy & Behavior. 2004;5(4):547-556. http://dx.doi.org/10.1016/j.yebeh.2004.04.012 

  13. Tieffenberg JA, Wood EI, Alonso A, Tossutti MS, Vicente MF. A randomized field trial of ACINDES: A child-centered training model for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es (asthma and epilepsy). Journal of Urban Health. 2000;77(2):280-297. http://dx.doi.org/10.1007/bf02390539 

  14. Wagner JL, Smith G, Ferguson P, van Bakergem K, Hrisko S. Pilot study of an integrated cognitive-behavioral and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youth with epilepsy and caregivers: Coping openly and personally with epilepsy (COPE). Epilepsy & Behavior. 2010;18(3):280-285. http://dx.doi.org/10.1016/j.yebeh.2010.04.019 

  15. Conant KD, Morgan AK, Muzykewicz D, Clark DC, Thiele EA. A karate program for improving self-concept and quality of life in childhood epilepsy: Results of a pilot study. Epilepsy & Behavior. 2008;12(1):61-65. http://dx.doi.org/10.1016/j.yebeh.2007.08.011 

  16. Glueckauf RL, Fritz SP, Ecklund-Johnson EP, Liss HJ, Dages P, Carney P. Videoconferencing-based family counseling for rural teenagers with epilepsy: Phase 1 findings. Rehabilitation Psychology. 2002;47(1):49-72. http://dx.doi.org/10.1037/0090-5550.47.1.49 

  17. Yoo H, Yun OB. Trends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epilepsy: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6):219-228.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6.219 

  18. Shin YH. Children with epilepsy: Quality of life and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2):225-232. 

  19. Buelow JM, Johnson J. Self-management of epilepsy: A review of the concept and its outcomes. Disease Management and Health Outcomes. 2000;8(6):327-336. http://dx.doi.org/10.2165/00115677-200008060-00003 

  20. Dilorio C, Faherty B, Manteuffel B.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self-management of epilepsy.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992;14(3):292-303. 

  21. Faherty B, Dilorio CK.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lf management in persons with epilepsy. Paper presented at: Fifth Annual Conference of the Southern Nursing Research Society; 1991 February 28-March 2; Richmond, VA. 

  22.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NY: W.H. Freeman; 1997. 

  23. Austin JK, Huberty TJ. Development of the child attitude toward illness scale.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1993;18(4):467-480. 

  24. Caplin D, Austin JK, Dunn DW, Shen J, Perkins S. Development of a self-efficac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Children's Health Care. 2002;31(4):295-309. http://dx.doi.org/10.1207/S15326888CHC3104_3 

  25. Austin JK, Dunn DW, Perkins SM, Shen J. Youth with epilepsy: Development of a model of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ir condition. Children's Health Care. 2006;35(2):123-140. 

  26. Fox JA, editor. Primary health care of infants, children, & adolescents. 2nd ed. St. Louis, MO: Mosby; 2002. 

  27. Gu MO, Yu JS, Kweon IK, Kim HW, Lee EO. A review of research on self efficacy theory applied to health related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4;24(2):278-302. 

  28. Cha BK, Chang HK, Sohn JN.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6):934-944. 

  29. DiIorio C, Shafer PO, Letz R, Henry TR, Schomer DL, Yeager K. Project EASE: A study to test a psychosocial model of epilepsy medication management. Epilepsy & Behavior. 2004;5(6):926-9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