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알츠하이머병 지식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Korean Vers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1, 2015년, pp.107 - 117  

김은주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정지영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 (ADKS-K) to determine its applicability to Korean adults. Methods: Cross-cultural validity was performed according to Consensus-based Standards for the Se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시와 I시 소재 대학교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대학 강의실을 방문하여 동의를 얻은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간호사와 간병사의 자료 수집은 D시와 I시의 5개 노인요양병원을 연구자가 방문하여 병원장과 간호부서장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에게 자료 수집에 앞서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지식 측정도구(ADKS)[5]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 ADK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판 알츠하이머병 지식 측정도구(ADKS-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같다.
  • 이와 같이 알츠하이머병 지식 측정도구의 활용성과 기여도를 고려하여 ADKS를 한국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로 번역하여한국어판Alzheimer’s DiseaseKnowledge Scale(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Korean Version)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한다.

가설 설정

  • 집단비교를 통해 ADKS-K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간호학과 학생과 노인요양병원 간호사 및 간병사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집단 선정은 Carpenter 등[5]의 연구에 근거한 것으로 학생의 경우는 치매와 관련된 교육 및 실습에 전혀 노출된 적이 없는 신입생집단과 교육을 받은 학생집단이 알츠하이머병 지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비교하고자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D시와 I시의 2개의 간호학과 학생과 D시와 I시에 위치한 5개의 노인요양병원(100병상 이상, 1~4등급)의 간호사와 간병사를 편의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ine point one eight prevalence of dementia in 2012, each 2-fold increase in 20 years with dementia can [Internet]. Sejong: Author; 2013 [cited 2014 July 30].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86138&page1. 

  2. Alzheimer's Association. 2011 Alzheimer' disease facts and figures. Alzheimer's & Dementia. 2011;7(2):208-244. http://dx.doi.org/10.1016/j.jalz.2011.02.004 

  3. Go SM, Lee KS, Seo SW, Chin J, Kang SJ, Moon SY, et al. Survival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in Korea.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013;35(3-4):219-228. http://dx.doi.org/10.1159/000347133 

  4. Jorm AF, Korten AE, Jacomb PA, Christensen H, Rodgers B, Pollitt P. "Mental health literacy": A survey of the public's ability to recognise mental disorders and their belief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997;166(4):182-186. 

  5. Carpenter BD, Balsis S, Otilingam PG, Hanson PK, Gatz M.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The Gerontologist. 2009;49(2):236-247. http://dx.doi.org/10.1093/geront/gnp023 

  6. Yuri J, Kim G, Chiriboga D. Knowledge of Alzheimer's disease, feelings of shame, and awareness of services among Korean American elder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10;22(4):419-433. http://dx.doi.org/10.1177/0898264309360672 

  7. Wang JJ, Hsieh PF, Wang CJ. Long-term care nurses'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people living with dementia in Taiwan.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99-103. http://dx.doi.org/10.1016/j.anr.2013.06.001 

  8. Kim NC.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enile dementia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999;13(2):1-11. 

  9. Cho HO. A study on public's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1999. 

  10. Hwang E, Kim B, Kim H. A study on dementia-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i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3;16(2):133-140. 

  11. Ko SJ, Shin SH. Effects of dementia knowledg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 elderly couples: Dyadic data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276-286. http://dx.doi.org/10.4040/jkan.2013.43.2.276 

  12. Spector A, Orrell M, Schepers A, Shanahan N. A systematic review of 'knowledge of dementia' outcome measures. Ageing Research Reviews. 2012;11(1):67-77. http://dx.doi.org/10.1016/j.arr.2011.09.002 

  13. Dieckmann L, Zarit SH, Zarit JM, Gatz M.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test. The Gerontologist. 1988;28(3):402-407. 

  14. Barrett JJ, Haley WE, Harrell LE, Powers RE. Knowledge about Alzheimer disease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 psychologists, nurses, and social workers.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997; 11(2):99-106. 

  15. Gilleard C, Groom F. A study of two dementia quizzes. Th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4;33(Pt 4):529-534. 

  16. Kuhn D, King SP, Fulton BR.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about memory loss and care (KAML-C) test.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2005;20(1):41-49. 

  17. Cooke DD, McNally L, Mulligan KT, Harrison MJ, Newman SP.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ging & Mental Health. 2001;5(2):120-135. http://dx.doi.org/10.1080/713650019 

  18. Lee EO, 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I,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Paju: Soomoonsa; 2009. 

  19. Williams B, Brown T, Onsman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fivestep guide for novices. Australasian Journal of Paramedicine. 2012;8(3):1-13. 

  20. Reise SP, Ainsworth AT, Haviland MG. Item response theory: Fundamentals, applications, and promise in psychological research.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005;14(2):95-101. 

  21. Cangelosi JS. Designing test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NY: Longman Publishing Group; 1990. 

  22. Seong TJ.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item response theory. Paju: Kyoyookbook; 2001. 

  23. Ebel RL. Measuring educational achieve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65. 

  24. Kang H.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5):587-594.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587 

  25. Kim MS, Kwon KJ, Kim JA, Kim JH, Kim HJ, Rho HK, et al. Nursing research methodology. Seoul: Jungdam Media; 2011. 

  26. Landis JR, Koch GG.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1977;33(1):159-174. 

  27. Lawshe C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1975;28(4):563-575. http://dx.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8. Shipley WC. A self-administering scale for measuring intellectual impairment and deteriorat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1940;9(2):371-377. http://dx.doi.org/10.1080/00223980.1940.9917704 

  29. Nordhus IH, Sivertsen B, Pallesen S. Knowledge about Alzheimer's disease among Norwegian psychologists: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 Aging & Mental Health. 2012;16(4):521-528.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1.6289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