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에 대한 시간차회상훈련의 효과
Spaced Retrieval Effects in Older Adul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4, 2012년, pp.398 - 405  

반선화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전성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paced retrieval train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having an mild alzheimer's disease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ir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across training session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약물요법만으로는 중증 치매로의 이행을 감소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이는 환자와 가족에게 불완전한 약물치료 외에 자신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좌절감을 유발시키며, 결국 심각한 치매로 진행될 것이라는 불안감과 무력감을 안겨줄 수 있다(Lee & Kim, 2009). 그러므로 본 연구는 치매 환자와 함께 보호자가 가정에서 시간 차회상훈련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와 가족의 무력감 감소에 다소 기여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를 위해 시간차회상 훈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보건소 및 가정에서 쉽게 활용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시간차회상훈련을 적용하여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Figure 1).
  • 시간차회상훈련과 같은 인지 훈련은 병원이나 보건소 등에서 1회성으로 끝나기 쉬우며 프로그램이 끝나면 치매 환자는 집에 방치되어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에서 보호자가 치매 환자에게 매일 시간 차회상훈련을 시행하도록 한 결과 지속적인 인지재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약물요법만으로는 중증 치매로의 이행을 감소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이는 환자와 가족에게 불완전한 약물치료 외에 자신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좌절감을 유발시키며, 결국 심각한 치매로 진행될 것이라는 불안감과 무력감을 안겨줄 수 있다(Lee & Kim, 2009).
  • 본 연구에서는 시간차회 상훈련 스케줄에 따라 회상할 때마다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틀린 답을 얘기하는 대신 “모른다”라고 답하도록 교육하였으며, 프로그램 중에는 스케줄에 따라 회상을 시도하면서 실패한 경우는 물론이고 성공한 경우에도 바로 즉시 정확한 답을 매번 확인시켜 주어 발생할 수 있는 착오를 최소화하였던 것이 본 연구의 결과를 가져왔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에 대한 시간차회상훈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그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방법론적인 부분의 보완과 함께 오류배제학습을 포함하며, 치매 환자와 보호자가 의료시설이 아닌 가정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시간차회상훈련을 구성하여 실시함으로써, 치매 환자의 기억 및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츠하이머병은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가? 치매는 뇌의 만성․진행성 질환에 의해 생긴 증후군이며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계산능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능력을 포함한 고도의 대뇌피질 기능의 다발성 장애를 말 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초기단계에서는 증상이 경미하여 놓치기 쉽지만 병이 진행되면서 여러 영역의 신경세포군이 손상되어 익숙하게 수행하던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하게 되고(Kwon et al., 2008), 이는 가족과 치매노인 모두의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뇌의 만성․진행성 질환에 의해 생긴 증후군이며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계산능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능력을 포함한 고도의 대뇌피질 기능의 다발성 장애를 말 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초기단계에서는 증상이 경미하여 놓치기 쉽지만 병이 진행되면서 여러 영역의 신경세포군이 손상되어 익숙하게 수행하던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하게 되고(Kwon et al.
알츠하이머의 치료방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약물요법을 먼저 시작하게 되는데, 알츠하이머병은 비가역적이고 명확한 변인이 밝혀져 있지 않아서 치료가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다(Lee, Lee, & Park, 2009). 현재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부분의 약제는 인지기능을 일시적으로 호전시키며 병의 경과를 느리게 할 수는 있지만 병의 진행을 근본적으로 막지는 못한다(Korean Dementia Association, 2006). 그러므로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인지장애 및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약물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호보완할 수 있는 비약물적 개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Lee & Kim,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amp, C. J., & Stevens, A. B. (1990). Spaced retrieval: a memory intervention for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In Hill, R. D., Backman, L., & Neely, A. S. (Ed.), Cognitive rehabilitaton in old age (pp. 224-24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 Camp, C. J., Foss, J. W., Stevens, A. B., & O'Hanlon, A. M. (1996). Memory intervention for persons with dementia.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10, 193-210. 

  3. Cherry, K. E., Walvoord, A. G., & Hawley, K. (2010). Spaced retrieval enhances memory for a name-face-occupation association in older adults with probable alzheimer's disease.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71 (2), 168-181. 

  4. Clare, L., Wilson, B. A., Carter, G., Roth, I., & Hodges, J. R. (2002). Relearning face-name associations in early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logy, 16 (4), 538-547. 

  5.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 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tion. Journal Psychiatry Research, 12 (3), 189-198. 

  6. Hawley, K. S. (2002). Spaced-retrieval effects on name-.face cognition in older adults with probable alzheimer's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Louisiana State University, North Florida, USA. 

  7. Hawley, K. S. (2005). Effects of spaced-retrieval on memory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probable alzheimer's dise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ouisiana State university, North Florida, USA. 

  8. Hochhalter, A. K., Bakke, B. L., Holub, R. J., & Overmier, J. B. (2004). Adjusted spaced-retrieval training: A demonstration and initial test of why it is effective. Clinical Gerontologist, 27 (1/2), 159-168. 

  9. Hopper, T., Drefs, S. J., Bayles, K. A., Tomoeda, C. K., & Dinu, I. (2010). The effect modified spaced-retrieval training on learning and retention of face name associations by individuals with dementia.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20 (1), 81-102. 

  10. Hopper, T., Mahendra, N., Azuma, T., Cleary, S. J., Kim, E., Bayles, K. A., et al. (2005). Evidence-based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working with individuals with dementia: Spaced-retrieval training. Journal of Medical Speech Language Pathology, 13 (4), 27-34. 

  11. Jean, L., Simard, M., Wiederkehr, S., Bergeron, M., Turgeon, Y., Hudon, C., et al. (2010). Efficacy of a cognitive training programme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20 (3), 377-405. 

  12. Kim, G. O., Lee, D. Y., Ahn, S. Y., Joo, J. H., & Gil, Y. N. (200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Hasegawa dementia scale (HDS-K) as a dementia screening instrument.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 (3), 526-537. 

  13. Korean Dementia Association. (2006). Dementia: A clinical approach. Seoul: Academya. 

  14. Kwon, J. S., Kim, Y. G., Kim, J. Y., Yun, J. S., Jo, H. J., & Hong, S. P. (2008).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occupational. Seoul: Pacific Books. 

  15. Laundauer, T. K., & Bjork, R. A. (1978). Optimum rehearsal patterns and name learning. In Hill, R. D., Backman, L., & Neely, A. S. (Ed.), Cognitive rehabilitation in old age (pp. 224-24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6. Lee, S. B., & Kim, K. W. (2009).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lzhimer's disease. Journal Korean Medical Association, 52 (11), 1069-1076. 

  17. Lee, S. B., Park, C. S., Jeong, J. W., Choe, J. Y., Hwang, Y. J., Park, C. A., et al. (2008).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9, 289-293. 

  18. Lee, Y. M., Lee, B. D., & Park, J. M. (2009). Stage relate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3, 61-70. 

  19.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8).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Retrieved September, 10, 2011, from http://www.korean.go.kr/09_new/index.jsp 

  20. Olinde, E. (2006). Spaced-retrieval effects on memory for scenes in older adults with probable alzheimer's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Louisiana State University, North Florida, USA. 

  21. Vance, D. E., & Farr, K. F. (2007). Spaced retrieval for enhancing memory: Implications for nursing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3 (9), 46-52. 

  22. Vance, D. E., Moore, B. S., Farr, K. F., & Struzick, T. (2008). Procedural memory and emotional attatchment in alzheimer's disease; Implications for meaningful and engaging activities.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40 (2), 96-102. 

  23. Wilson, B. A., Baddeley, A., Evans, J., & Sheil, A. (1994). Errorless learning in the rehabilitati on of memory impaired people. In Hill, R. D., Backman, L. & Neely, A. S. (Ed.), Cognitive rehabilitaton in old age (pp. 224-24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ICD-10) version for 2010. Retrieved November, 11, 2012, from http://apps.who.int/classifications/icd10/ browse/2010/en#/F00 

  25. Yang, D. W. (2004). Mechanism of memory and disorders of memory.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3, 6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