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확산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N스크린 서비스 이용자 유형화
Nscreen Service User Typology Based on Use-Diffusion and Lifesty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2, 2015년, pp.444 - 454  

박현정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미디어 서비스의 속성을 복합적으로 보유하면서도 서로 다른 단말기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N스크린은 미디어와 콘텐츠, 그리고 소비자 간의 관계를 재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혁신적인 기술 혹은 서비스의 실질적인 성공은 최초 사용보다는 지속적인 사용으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의 수용 후 행동인 사용확산과 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 소비자의 미디어나 기기 및 콘텐츠 서비스 활용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개념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통계조사에서 수집된 미디어 행태 자료 중 N스크린 이용자 1,524명을 중심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우선 사용확산 모형(use-diffusion model) 이론에 근거한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소비자의 유형을 분류해 라이프스타일 활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다음으로는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여 소비자의 군집에 따른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군집화의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채택하여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use-diffusion of Nscreen service as well as consumers' lifestyle and media usage of Nscreen service, which is fundamentally changing both the competitive landscape for business and the daily lives of consumers. The data of 1,524 consum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N스크린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확산 모형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형화하고 각 세분시장의 특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주관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통계조사에서 수집된 2012년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N스크린 서비스 사용확산의 양적인 차원에서는 얼마나 많은 콘텐츠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다양성 차원에서는 서비스를 이용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 기기 종류가 얼마나 다양한지를 고려하였다.
  • 뿐만 아니라 기존의 연구가 미디어 이용 소비자 유형을 패턴화 할 때 주로 채택하였던 연구방법으로서 데이터 중심으로 군집화한 후 세분시장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살펴보고 두 검증 방식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직까지 명확한 분류기준에 따라 미디어관련 서비스 이용패턴 군집을 제시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데이터 중심의 소비자 분류방식 및 이론적 기준에 근거를 두는 분류 방식을 모두 검증하여 기존 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한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스크린이란 무엇인가? ‘N스크린’이란 여러 미디어를 통해 소비자가 동일한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특정 영화나 음악, 게임을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구입하여 즐기다가 집에 들어와서는 TV로 혹은 PC로 같은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는 것이다.
N스크린이 지닌 장점은 무엇인가? 즉 N스크린은 미디어 소비 방식 및 콘텐츠 이용 경험이 더 이상 단일한 단말기 활동에 머무르지 않고 TV,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이종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끊김없이(seamless)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1][2]. N스크린은 동일한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여러 단말에 제공하게 되므로 콘텐츠의 창구를 다양화하고 특정 단말이 갖는 단점을 보완한다는 장점을 지닌다[3]. 이용자는 동일한 콘텐츠를 여러 단말기로 이용하거나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N스크린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정 영화나 음악, 게임을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구입하여 즐기다가 집에 들어와서는 TV로 혹은 PC로 같은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는 것이다. 대상이 되는 콘텐츠는 영화, 음악,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국한되지 않고, 주소록, 이메일 등 개인정보에서부터 문서 작업물까지 아우르는 것으로 일상생활의 대부분의 정보를 개인이 소유한 대부분의 단말기에서 공유할 수있게 된다. 즉 N스크린은 미디어 소비 방식 및 콘텐츠 이용 경험이 더 이상 단일한 단말기 활동에 머무르지 않고 TV,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이종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끊김없이(seamless)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이원태, 김윤화, 최세경, "N스크린 환경에서 콘텐츠 이용 경험과 미래 정책 이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컨버전스기반 미래연구(III)시리즈, pp.11-08, 2011. 

  2. 오경수, "N스크린 서비스 잠재적 수용자의 수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80-92, 2012. 

  3. KISDI, "N스크린 환경에서 콘텐츠 이용경험과 미래정책이슈",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연구 3시리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4.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라이프스타일과 매체 이용 행위간의 관계 연구: 다중 매체이용과 매체간 장르추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6호, pp.189-216, 2008. 

  5. 임소혜, 이영주, "N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99-108, 2013. 

  6. H. Jenkins,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NYU Press, 2006. 

  7. C. F. Shih and A. Venkatesh, "Beyound Adoption: Development and Applicaion of a Use-Diffusion Model," J. of Marketing, Vol.68, No.1, pp.39-72, 2004. 

  8. 강남준, 이종영, 이혜미, "군집분석 방법을 사용한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분석,"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2호, pp.7-46, 2008. 

  9. A. Bhattacherjee,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Vol.25, No.3, pp.351-370, 2001. 

  10. E. Rogers, The Diffusion of Innovation, Free Press, New York, 1995. 

  11. 신명희, 안주아, "대학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미디어 이용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광고학연구, 제16권, 제5호, pp.111-132, 2005. 

  12. P. Bourdieu, Structures, habitus, practices, In A. Elliot (ed.), Contemporary social theory, Massachusetts, Oxford: Blackwell Publishers, 1999. 

  13. 이병혜, "가치관이 정보미디어와 서비스 이용형태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3호, pp.411-447, 2005. 

  14. 최연정, 진창현,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매체별 광고 영향력 및 광고 유형별 선호도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4권, 제6호, pp.69-93, 2013. 

  15. 심성욱, 박종민, "라이프스타일과 다양한 매체의 광고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5권, 제2호, pp.7-33, 2004. 

  16. L. Kaufman and P. Rousseeuw, Finding Groups in Data: An Introduction to Cluster Analysis, Wiley and Sons: New York, 1990. 

  17. J. E. Corter, Tree Models of Similarity and Association, Sage: Thousand Oaks, CA,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