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전문직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n Job Satisfac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2 no.1, 2015년, pp.7 - 15  

류영옥 (순천하나병원 간호과) ,  고은 (국립순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emotional labor,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and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14 nurses in S city. The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업무환경과 관련이 있어, 지방의 중소병원은 업무환경을 더 많이 개선해야 한다[16]는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확인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대형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근무환경이 열악하고 잦은 이직으로 인해 전문성을 높일 기회가 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와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전문직관 및 직무만족의 정도를 확인하고 세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하여,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간호전문직관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간호전문직관 및 직무만족을 확인하고, 이들 변인들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소 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일 지역 소도시에 위치한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확대 해석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간호전문직관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간호전문직관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전문직관 측정을 위한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도구사용을 위해 원 개발자에게 우편으로 도구사용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이 도구는 총 29문항으로 전문직 자아개념 9문항, 사회적 인식 8문항, 간호의 전문성 5문항, 간호실무역할 4문항, 간호의 독자성 3문항의 5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음을 의미한다.
간호전문직관이란?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으로서 간호와 간호사에 대한 신념, 관념 및 인상의 총합으로 간호활동 및 그 직분 자체에 대한 직업의식적인 견해로서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은 조직 구성원의 업무에 대한 태도와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11].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 간호업무 수행능력과의 관련 성을 보는 선행 연구결과,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 수행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이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으로서 간호와 간호사에 대한 신념, 관념 및 인상의 총합으로 간호활동 및 그 직분 자체에 대한 직업의식적인 견해로서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은 조직 구성원의 업무에 대한 태도와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11].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 간호업무 수행능력과의 관련 성을 보는 선행 연구결과,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 수행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ang HA. Change of nursing profession labor. Economy and Society. 2002;55(3):142-168. 

  2. Ko YK, Kang 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ollective-efficacy and job stress in the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2):276-286. 

  3. Lee MH, Kim JK.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spital siz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470-479.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4.470 

  4.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5. Kim SH. Nurse is the 15th job with severe emotional labor.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2013 May 14;Sect. 01. 

  6. Kim IS.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4):515-526. 

  7. Kim JH, Lee YM, Joung HY, Choo HS, Won SJ, Kwon, SY. et al. Effects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 20(2):157-167.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2.157 

  8. Kim JK. Relationships of emotional labor to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turnover among staff nurses at small & medium-sized hospitals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2. 

  9. Wi SM, Yi YJ.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3):310-319. 

  10. Byun DS, Yom, YH.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444-454. 

  11. Yeun EJ, Kwon YM, Ahn OH.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5;35(6):1091-1100. 

  12. Yoon HK, Choi J, Lee E, Lee H, Park M. Effects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mpulse amo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 19(5):658-667.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658 

  13. Song MR, Park KJ.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ambulatory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51-461. 

  14. Kang M, Kwon M, Yoon S. Self-efficacy,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labor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 21(3):266-273.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3.266 

  15. Pugliesi K.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ffect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Motivation and Emotion. 1999;23(2):125-154. 

  16. Baernholdt M, Mark BA. The nurse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rates in rural and urban nursing uni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9;17(8);994-100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1027.x 

  17. Kim MJ. Effects of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1998;21(2):129-141. 

  18. Stamps PL, Piedmont EB, Slavitt DB, Haase AM.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978;16(4):337-352. 

  19. Bae KO.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nursing unit manager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staff nurse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7. 

  20. Shin MK, Kang HL.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158-167. 

  21. Ham YS, Kim HS.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ticipating graduation according to nursing educational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 19(3):363-373.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3.363 

  22. Kwon KJ, Chu MS, Kim JA.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2):182-192. 

  23. Williamson IO, Burnett MF, Bartol KM. The interactive effect of collectivism and organizational rewards 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Cross Cultural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2009;16(1):28-43. http://dx.doi.org/10.1108/13527600910930022 

  24. Jung SC, Jung D.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of cancer cente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43-450. 

  25. Wynd CA. Current factors contributing to professionalism in nurs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3;19(5): 251-261. http://dx.doi.org/10.1016/S8755-7223(03)00104-2 

  26. Curtis EA. Job satisfaction: A survey of nurses in the Republic of Ireland.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07; 54(1):92-99.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7.00507.x 

  27. Jeong EY.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in South Korea: System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599-612.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5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