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종다래 순의 무기질은 Ca, K, P 순으로 많았으며,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함량은 ${\alpha}$-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 등의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높았으며, 유리당은 sucros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Vitamin B 그룹에서는 vitamin $B_6$가 17.99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vitamin C와 ${\beta}$-carotene 함량은 각각 42.57mg/100 g, $390.69{\mu}g/100g$이었다. Total phenolics는 40% EtOH 추출물이 198.08 mg GAE/g으로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다.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MDA contents)과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효과에서는 지질과산화를 막아주며 신경세포 손상을 일정 수준에서 억제해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상대적으로 높은 phenolics를 함유한 토종다래순은 우수한 영양학적인 구성과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를 기초로 한 고부가가치 건강지향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trition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Korean traditional actinidia (Actinidia arguta) sprouts of the Otumsense variety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sproutsi nutritional value. The most abundant mineral, amino acid, and fatty acid were calcium, gl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제약, 건강기능성식품, 화장품 생산을 위한 수입원료 로열티가 수천억원에 임박할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국내 토종자원에 대한 보호와 지속적인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3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토종다래 자원으로 Otumsense 품종을 개발하여 출원한 소재를 제공받아 영양학적인 가치와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토종다래 열매에 대한 국내 연구보고는 다소 있으나,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되는 토종다래 순에 대한 영양성분 분석과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므로 소재로서의 우수성을 밝혀 산업화를 위한 객관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신경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지질성분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세포막 손상 및 기타 단백질 손상과도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종다래 순 40% EtOH 추출물의 mouse 뇌 세포막 지질 과산화 중간생성물인 malondialdehyde (MDA) 생성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Figure 3(A)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DA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ositive control로 사용된 catechin 100 µg/mL보다 동일한 다래 순 추출물 100 µg/mL 농도에서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가 catechin보다 약 30% 가량 저해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3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토종다래 자원으로 Otumsense 품종을 개발하여 출원한 소재를 제공받아 영양학적인 가치와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토종다래 열매에 대한 국내 연구보고는 다소 있으나,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되는 토종다래 순에 대한 영양성분 분석과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므로 소재로서의 우수성을 밝혀 산업화를 위한 객관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종다래는 무엇인가? 국내에서 자생되는 토종다래(Actinidia arguta)는 다래나무과(Acinidiaceae) 다래나무속(Actinidia)의 고부가가치 식품자원으로 온대지역에서 자라는 자웅이주의 덩굴성 낙엽과수로서 원산지는 중국 양자강 유역으로 과수의 재배지역은 연 최저 기온이 15oC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지역이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다래의 종류는 세계적으로 2-5속 280-56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다래(A.
민간에서 토종다래순이나 잎은 어떤 치료 용도로 사용되었는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토종다래는 내한성과 내병충성이 강한 수종으로 우리나라 산지 전역에 분포하며 일부 남부지방에서는 다래의 어린 잎과 줄기를 포함하는 새순을 봄철에 채취하여 삶아서 나물로 식용하거나 건조시켜 두었다가 채소가 귀한 겨울철에 주로 이용하며, 봄철에 어린 토종다래 순이나 잎을 채취하여 덖음차로 음용하기도 하고 데쳐서 장아찌를 담거나 건조시켜 두었다가 겨울에 묵나물로 먹기도 한다(3). 한방에서는 토종다래의 뿌리는 항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간종양, 폐종양, 골수종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6), 민간에서 토종다래순이나 잎은 소화불량, 급성위염, 구토, 류머티즘, 중풍 치료제 및 이뇨제로 사용 되어 왔다(7).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바이오 업계에서 우려하는 국내 상황은? 19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된 생물다양성협약과 그 연장선상의 나고야의정서(2010)가 2014년 10월 12일 발효됨에 따라 산업적으로 생물유전자원을 활용하여 얻는 부가가치에 대한 권리 나눔이 현실화되고 있다. 우리나라 제약, 건강기능성식품, 화장품 생산을 위한 수입원료 로열티가 수천억원에 임박할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국내 토종자원에 대한 보호와 지속적인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3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토종다래 자원으로 Otumsense 품종을 개발하여 출원한 소재를 제공받아 영양학적인 가치와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odovici M, Guglielmi F, Meoni M, Dolara P. Effect of natural phenolic acids on DNA oxidation in vitro. Food Chem. Toxicol. 39: 1205-1210 (2001) 

  2. Kim SH, Choi HJ,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Codom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 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96-701 (2008) 

  3. Kwak CS, Lee JH.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and gooseberry (Actinidia argu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07-215 (2014) 

  4. Lee SE, Kim DM, Kim KH, Rhee C. Sever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depend on cultivars and ripening stag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63-868 (1989) 

  5. Oh HJ, Jeon SB, Kang HY, Yang YJ, Kim SC, Lim SB.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iwi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matur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43- 349 (2011) 

  6. Xin HL, Wu YC, Su YH, Sheng JY, Ling CQ. Novel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Actinidia valvata Dunn: structural elucid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Planta Med. 77: 70-73 (2011) 

  7. Park JH, Lee YJ, Choi JK.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Korean folk medicine "Da Rae Ip". Korean J. Pharmacogn. 36: 26-33 (2005) 

  8. Jeong HR, Jo YN, Jeong JH, Jin DE, Song BG, Jin YR, Kim MJ, Lee U, Heo HJ. Chang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hestnuts (Castanea crenata) from different peri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93-400 (2012) 

  9. Choi JH, Jang JG Pack MH, Oh SK.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 in ginseng and its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3 (1981) 

  10. Kim HJ, Jin SI, Jo YN, Jeong JH, Jin DE, Kim MJ, Heo HJ. Nutritional composition of four cultivars (Daehan, Hangawi, Mipung and Ishizuchi)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J. Agr. Life Sci. 47: 157-165 (2013) 

  11. Jeong CH, Lee WJ, Bae SH, Choi SG.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old kiwi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59-865 (2007) 

  12. Kwak JH, Choi GN, Pack JH, Kim JH, Jeong HR, Jeong CH, Heo HJ.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purple sweet potato extract. J. Agr. Life Sci. 44: 57-66 (2010) 

  13. Kim DO, Lee KW, Lee HJ, Lee CY.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 Food Chem. 50: 3713-3717 (2002) 

  14. Chang ST, Wu JH, Wang SY, Kang PL, Yang NS, Shyur LF.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orm Acacia confusa bark and heartwood. J. Agr. Food Chem. 49: 3420-3424 (2001) 

  15. Kim JK, Choi SJ, Cho HY, Hwang HJ, Kim YJ, Lim ST, Kim CJ, Kim HK, Peterson S, Shin DH. Protective effects of kaempferol (3,4',5,7-tetrahydroxyflavone) against amyloid beta peptide ( $A{\beta}$ )-induced neurotoxicity in ICR mice. Biosci. Biotech. Bioch. 74: 397-401 (2010) 

  16. Ha JO, Ha TM, Lee JJ, Kim AR, Lee MY.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sprou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02-1309 (2009) 

  17. Moon KD, Choi HJ, Kim DH, Chung HS. Food nutritional composi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 sprout. Korean J. Food Preserv. 19: 720-726 (2012) 

  18. Im HJ, Jang HL, Jeong YJ, Yoon KY. 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prouts of Kalopanax pictus, Cedrela sinensis, Acanthopanax cortex at different plucking times. Korean J. Food Preserv. 20: 356-364 (2013) 

  19. Jeong HR, Jo YN, Jeong JH, Kim HJ, Heo HJ. Nutrition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blueberry (Vaccinium ashei) leaf. Korean J. Food Preserv. 19: 604-610 (2012) 

  20. Hwang YG, Lee JJ, Kim AR, Lee MY.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J. Life Sci. 20: 1625-1633 (2010) 

  21. Lee OH, Lee HB, Lee J, Son JY, Rhee SK, Kim HD, Kim YC, Lee BY. Chemical properties of olive and bay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503-508 (2005) 

  22.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6th ed. Method 991.4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Arlington, VA, USA (1995) 

  23.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 1237 (1999) 

  24. Kang HI, Kim JY, Kwon SJ, Park KW, Kang JS, Seo KI. Antioxidative effects of peanut sprou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41-946 (2010) 

  25. Jeong SI, Kim HS, Jeon IH, Kang HJ, Mok JY, Cheon CJ, Yu HH, Jang SI.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erilla frutesc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87-93 (2014) 

  26. Shin SL, Chang YD, Jeon AR, Lee CH. Effect of different greening periods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sprout vegetables of Coreopsis tinctoria Nutt. and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 Korean J. Hort. Sci. Technol. 27: 503-510 (2009) 

  27. Uchida K, Stadtman ER. Covalent attachment of 4-hydroxynonenal to 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A possible involvement of intra and intermolecular cross-linking reaction. J. Biol. Chem. 268: 6388-6393 (1993) 

  28. Zhao B. Natural antioxidants protect neurons in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Neurochem. Res. 34: 630-638 (2009) 

  29. Hurst RD, Wells RW, Hurst SM, McGhie TK, Cooney JM, Jensen DJ. Blueberry fruit polyphenolics suppress oxidative stress-induced skeletal muscle cell damage in vitro. Mol. Nutr. Food Res. 54: 353-36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