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개량된 토종다래 품종인 오텀센스(Otumsense), 치악(Chiak), 스키니그린(Skinny green) 3가지 품종에서의 무기질은 K, P, Ca이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고, 그중에서도 치악 품종의 총 무기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무기성분과 마찬가지로 치악 품종에서 total essential amino acids와 total amino acids 함유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보고되는 불포화지방산으로서 ${\alpha}$-linolenic acid의 함유량이 가장 많았고 DHA도 일부 함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포화지방산 대비 70~85%에 달하였다.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3가지 품종 중 오텀센스 품종에서 가장 많은 유리당 함량을 보였다. 비타민 $B_1$, 비타민 $B_2$, niacin, 비타민 $B_6$, 비타민 C${\beta}$-carotene 분석 중 비타민 $B_1$, 비타민 $B_2$는 모든 품종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niacin과 비타민 $B_6$는 스키니그린 품종에서 각각 1.55 mg/100 g, 1.92 mg/100 g으로 분석되었으며, 비타민 C 및 ${\beta}$-carotene은 오텀센스 품종에서 각각 47.18 mg/100 g, $3.82{\mu}g/100g$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국내산 토종다래 과육부의 영양화학 특성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참다래(키위)와 비교했을 때, 특히 비타민 함유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에 활용된 품종에 따라 일정 수준에서 그 함유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재배 지역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보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 동일 품종을 향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물리적 취식 편의성과 영양화학 특성에서 참다래(키위)에 비해 동일하거나 우수한 국내산 토종 다래 품종의 고부가가치 식품과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국내 개량 고유 자원의 산업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tritional compositions of Korean traditional actinidia (Actinidia arguta) cultivars, such as Otumsense, Chiak, and Skinny green, were investigated as high value-added food substances. Among minerals, K content of three cultivars was the highest, and P, Ca, and Na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e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신품종은 야생다래에 비해 과실 입종이 최대 3배, 수확량은 최대 4배까지 우수하여 재배 경쟁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참다래(키위)보다 수확시기가 약 1달 가량 빠르고 당도와 무기영양소 및 비타민 C 함량 등이 우수하지만 국내 소비자와 생산자에게 보급・홍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FTA와 같은 대내외 무역환경에서 국내 고유자원을 개발하고 산업적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산림청에서 육종하고 있는 오텀센스 품종(Otumsense)과 농촌진흥청에서 개량하여 일부 재배 농가에 보급된 치악(Chiak)과 스키니그린(Skinny green) 3가지 신품종 토종 다래에 대한 주요 영양・화학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개량된 품종의 영양학적 우수성을 홍보하고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로서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 또한 확인하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는 참다래(키위)를 연중 소비하고 있어 그 수요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참다래(키위)가 나지 않는 시기에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결국 수입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한성이 강해 국내에서도 재배 가능한 양다래의 대체 수종을 개량하고자 1980년대부터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우수한 토종 다래 자원을 수집하여 우량개체를 선발하고 특성 및 재배 안정성 검정을 거쳐 대립이고 다수확성인 품종을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 신품종은 야생다래에 비해 과실 입종이 최대 3배, 수확량은 최대 4배까지 우수하여 재배 경쟁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참다래(키위)보다 수확시기가 약 1달 가량 빠르고 당도와 무기영양소 및 비타민 C 함량 등이 우수하지만 국내 소비자와 생산자에게 보급・홍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자생되는 토종다래에는 어떤 종류가 분포하는가? 다래(Actinidia arguta)는 다래나무과(Acinidiaceae) 다래나무속(Actinidia) 고부가가치 식품자원으로 온대지역에서 자라는 자웅이주의 덩굴성 낙엽과수이며, 원산지는 중국 양자강 유역으로 과수의 재배지역은 연 최저 기온이 15°C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지역이면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다래의 종류는 세계적으로 2~5속 280~56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자생되는 토종다래는 다래(A. arguta), 개다래(A. polygama), 섬다래(A. rufa), 쥐다래(A. kolomikta) 등 4 종류가 분포한다(2).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토종다래는 내한성과 내병충성이 강한 수종으로 우리나라 산지 전역에 분포하며, 참다래(키위)와 달리 과실 표면에 털이 없어 외피까지 함께 식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다래의 원산지는? 다래(Actinidia arguta)는 다래나무과(Acinidiaceae) 다래나무속(Actinidia) 고부가가치 식품자원으로 온대지역에서 자라는 자웅이주의 덩굴성 낙엽과수이며, 원산지는 중국 양자강 유역으로 과수의 재배지역은 연 최저 기온이 15°C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지역이면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다래의 종류는 세계적으로 2~5속 280~56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자생되는 토종다래는 다래(A.
토종다래 품종인 오텀센스, 치악, 스키니그린 중에서 total essential amino acids와 total amino acids 함유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품종은? 국내에서 개량된 토종다래 품종인 오텀센스(Otumsense), 치악(Chiak), 스키니그린(Skinny green) 3가지 품종에서의 무기질은 K, P, Ca이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고, 그중에서도 치악 품종의 총 무기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무기성분과 마찬가지로 치악 품종에서 total essential amino acids와 total amino acids 함유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보고되는 불포화지방산으로서 ${\alpha}$-linolenic acid의 함유량이 가장 많았고 DHA도 일부 함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포화지방산 대비 70~85%에 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Lee SE, Kim DM, Kim KH, Rhee C. 1989. Sever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depend on cultivars and ripening stag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63-868. 

  2. Oh HJ, Jeon SB, Kang HY, Yang YJ, Kim SC, Lim SB. 2011.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iwi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matur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43-349. 

  3. Park YK, Han JG, Hwang SI, Kim SH, Kang MS. 2011. Changes of photosynthesis,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Actinidia arguta and hybrid kiwi (A. arguta ${\times}$ A. deliciosa) according to crown layer. J Korean For Soc 100: 8-13. 

  4. Kim CH, Kim SC, Song EY, Ro NY, Kim MS, Moon DY, Kang KH, Jang KC. 2008. A new mini kiwifruit cultivar, "green king". Korean J Breed Sci 40: 461-465. 

  5. Kim HY, Kim JC, Jin CD. 1997. Plant regeneration from internode explants of Actinidia arguta and its histological observation.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4: 263-268. 

  6. Lim HW, Sim JG, Choi HK, Lee MW. 2005. Phenolic compounds from barks of Actinidia arguta Planchon growing in Korea and its anti-oxidative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ies. Kor J Pharmacogn 36: 245-251. 

  7. Ho SH, Park EJ, Choi JH, Eo HK, Hong ES, Kim SK, Kim SH. 2009. Effect of PG102, a water-soluble extract from Actinidia aguta on canine atopic dermatitis. Kor J Pharmacogn 40: 59-64. 

  8. Hong ES, Kim MJ, Kwon EJ, Kim LH, Kim DH, Eo HW, Park EJ, Kim SY, Kim SH. 2008. Subacute toxicological study of PG102, a water-soluble extract derived from Actinidia arguta, in SD rats. Korean J Vet Res 48: 413-421. 

  9. Jeong HR, Jo YN, Jeong JH, Jin DE, Song BG, Jin YR, Kim MJ, Lee U, Heo HJ. 2012. Chang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hestnuts (Castanea crenata) from different peri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93-400. 

  10. Choi JH, Jang JG, Pack MH, Oh SK. 198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 in ginseng and its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3. 

  11. Kim HJ, Jin SI, Jo YN, Jeong JH, Jin DE, Kim MJ, Heo HJ. 2013. Nutritional composition of four cultivars (Daehan, Hangawi, Mipung and Ishizuchi)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J Agric Life Sci 47: 157-165. 

  12. Jeong CH, Lee WJ, Bae SH, Choi SG. 2007.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old kiwi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59-865. 

  13. Walton EF, Clark CJ, Boldingh HL. 1991. Effect of hydrogen cyanamide on amino acid profiles in kiwifruit buds during budbreak. Plant Physiol 97: 1256-1259. 

  14. Piombo G, Barouh N, Barea B, Boulanger R, Brat P, Pint M, Villeneuve P. 2006. Characterization of seed oils from kiwi (Actinida chinensis),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and guava (Psidium guajava). Oleagineux Corps Gras Lipides 13: 195-199. 

  15. Jin DE, Kim HJ, Jeong JH, Jo YN, Kwon OJ, Choi SG, Heo HJ. 2014. Nutritional components of zespri green kiwi fruit (Acitinidia delicosa)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the n-hexane f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369-374. 

  16. Kim CW, Kim MJ, Park YK. 2013. Harvest time of cultivars 'Sea-Han' and 'Dae-Sung' of Actinidia arguta. Abstract No 2013-4 presented at 2013 Annual Meeting of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Seoul, Korea. 

  17. Manolopulou H, Papadopoulou P. 1998. A study of respiratory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four kiwifruit cultivars during cool storage. Food Chem 63: 529-5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