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gCO3와 사문석을 사용한 마그네시아 시멘트의 무기 첨가제 영향
Effect of Inorganic Admixture for Magnesia Cement Using MgCO3 and Serpentine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5 no.2, 2015년, pp.75 - 80  

이종규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소재본부) ,  소정섭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소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rbon dioxide($CO_2$) released while producing building materials is substantial and has been targeted as a leading contributor to global climate change. One of the most typical method to reducing $CO_2$ for building materials is the addition of slag and fly ash, like poz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rbon negative cement 개발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magnesium silicate 광물인 사문석및 MgCO3를 출발원료로 사용하여 마그네시아계 시멘트를 제조하고 각종 광물 첨가제 및 반응 촉진제를 사용 하였을 때의 기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rbon negative cement란? 최근 영국의 Novacem에서 마그네슘실리케이트 광물을 이용한 기술로 저온소성 및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carbon negative cemen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1-13) Carbon negative cement는 마그네시아 시멘트를 기본으로 하는 것으로 보통시멘트의 이산화탄소 배출공정인 하소공정, 클링커 소성 공정을 Low-CO2 하소 공정의 신 공정으로 대체하여 제조 공정 중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보다 사용과정에서 흡수하는 이산화탄소가 더 많은 새로운 소재이다.14-16)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이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은 전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마그네시아 시멘트의 주원료인 주요원료인 MgCO3의 활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마그네시아 시멘트의 주원료인 주요원료인 MgCO3의 활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성공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gCO3를 각각 700oC에서 소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국내에서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연구는 무엇에 집중하고 있는가? 현재 시멘트 산업에서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고효율 설비를 도입하고 대체연료 및 혼합시멘트의 활용 그리고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을 도입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1-6) 국내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가장 대표적이고 비교적 손쉬운 방법으로 슬래그나 플라이 애쉬 같은 포졸란 물질을 다량으로 첨가하는 혼합 시멘트의 개발과 OPC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비소성시 멘트 개발 등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7-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Schneider, M. Romer, M. Tschudin and H. Bolio, Cem. Concr. Res., 41(7), 642 (2011). 

  2. J. Harder, Zement-Kalk-Gips, 59(2), 58 (2006). 

  3. Ashok Santra and Ronald Sweatman, Energy Procedia, 4, 5243 (2011). 

  4. B. Kolani, L. Buffo-Lacarriere, A. Sellier, G. Escadeillas, L. Boutillon and L. Linger, Cem. Concr. Compos., 34(9), 1009 (2012). 

  5. B Uzal and L Turanli, Cem. Concr. Res., 33(11), 1777 (2003). 

  6. L. Turanli, B. Uzal and F. Bektas, Cem. Concr. Res., 34(12), 2277 (2004). 

  7. J. Temuujin, A. van Riessen and K. J. D. MacKenzie, Constr. Build. Mater., 24(10), 1906 (2010). 

  8. Tawatchai Tho-in, Vanchai Sata, Prinya Chindaprasirt and Chai Jaturapitakkul, Constr. Build. Mater., 30(5), 366 (2012). 

  9. Daniel L.Y. Kong and Jay G. Sanjayan, Cem. Concr. Res., 40(2), 334 (2010). 

  10. Ebrahim Najafi Kani, Ali Allahverdi and John L. Provis, Cem. Concr. Compos., 34(1), 25 (2012). 

  11. Ellis M. Gartner and Donald E. Macpee, Cem. Concr. Res., 41, 736 (2011). 

  12. L. J. Vandeperre, M. Liska and A. Al-Tabbaa, Cem. Concr. Compos., 30(8), 706 (2008). 

  13. M. Liska and A. Al-Tabbaa, Constr. Build. Mater., 22(8), 1789 (2008). 

  14. Emmanuel Soudee and Jean Pera, Cem. Concr. Res., 32(1), 153 (2002). 

  15. Quanbing Yang, Beirong Zhu, Shuqing Zhang and Xueli Wu, Cem. Concr. Res., 30(11), 1807 (2000). 

  16. P. Frantzis and R. Baggott, Cem. Concr. Res., 27(8) 1155 (199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