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변비 유무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
Life Style Difference by Constip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6 no.3, 2015년, pp.31 - 40  

안혜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최혜선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이지은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study investigated constipation i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in order to provide data base for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preventing and managing constip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tudy used a technique of convenienc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녀 고등학생의 변비 유무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를 파악하여 향후 변비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변비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비란? 변비는 배변장애 중 하나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또한 변비의 유병률은 국내 16.
변비의 유병률은? 변비는 배변장애 중 하나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또한 변비의 유병률은 국내 16.5%, 북미 12-19%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흔한 건강문제이기도 하다(Higgins와 Johanson, 2004; Jun 등, 2006). 더욱이 요 근래에는 서구화된 식생활, 불규칙적인 식습관, 섬유소 섭취의 부족, 좌식생활의 증가, 스트레스 등으로 변비뿐만 아니라 배변과 관련된 대장항문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기에 변비에 대한 조기 진단과 치료 등의 적절한 관리가 필수적인 이유는? 또한 최근 연구에서 고등학생의 52%가 고등학교 진학 후 변비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전남교육정책연구소, 2015). 이처럼 변비를 인식하고 불편함을 경험하는 초기 연령군이 청소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변비가 만성화되는 것을 예방하고 대장항문질환으로 이환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청소년기부터 변비에 대한 조기 진단과 치료 등의 적절한 관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다빈도질병통계. 서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2. 교육부. 학생건강증진 기본방향(안). 세종: 교육부, 2013. 

  3. 구자훈. 변비가 생기는 이유. HEALTH & LIFE 2009;3:95. 

  4. 김정호. 여대생들의 배변관련 증상과 심리적 요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03;8(2): 375-397. 

  5. 김형자. 어른들도 모르는 남과 여의 과학. 파주:갤리온, 2010. 

  6. 나현주, 김영남. 일반계 고3 여학생의 배변 실태와 식이섬유 섭취에 관한 연구 - 강릉과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양학회지 2000;33(6):675-683. 

  7. 남미정, 방영이, 김태임.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가 입원 뇌병변 장애아동의 변비 완화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247-255. 

  8. 변영순, 이정인.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변비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2003;10(1):23-29. 

  9. 보건복지부. 20대 여성 치질 환자 7만명, 남성보다 17% 많아. 세종: 보건복지부, 2013. 

  10. 보건복지부. 변비 2명 중 1명은 소아.아동이나 70세 이상 노인. 세종: 보건복지부, 2014. 

  11. 안연혜, 김영경. 수지 뜸요법과 압봉 자극법이 재가노인의 변비 완화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12;24(2):109-118. 

  12. 유정순, 진정희, 장경자. 인천지역 대학생의 변비유병률, 배변습관 및 영양소섭취. 한국영양학회지 2009;42(8):702-713. 

  13. 윤윤수, 이석구, 김정연. 고등학생 변비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농촌의학.지역보건 2005;30(1):15-28. 

  14. 이경아, 김현정, 윤현숙. 김해지역 고등학생의 변비실태 및 변비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요인 조사.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2009;15(4):419-432. 

  15. 이종현, 오주환. 경기지역 여고생과 여대생의 배변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5;10(1):36-45. 

  16. 임은태, 김영남. 서울지역 여고생의 배변 실태와 음료 섭취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3;8(6):856-866. 

  17. 전남교육정책연구소. 고등학생의 변비실태에 관한 연구. 소논문쓰기동아리논문집 2015;543-549. 

  18. 정미영, 최의순. 여대생의 변비와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아로마 복부마사지와 복부경락마사지의 효과 비교.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1):26-35. 

  19. Barnes PM, Maddocks A. Standards in school toilets - a questionnaire survey. Journal of Public Health 2002;24(2):85-87. 

  20. Castledine G, Grainger M, Wood N, Dilley C. Researching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in long-term care: part 1.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07;16(18):1128-1131. 

  21.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 1149-1160. 

  22. Fujiwara PE, Maddocks A, Barnes PM. Standards in school toilets: do extra resources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Public Health 2006;28(3):294-295. 

  23. Harrington KL, Haskvitz EM. Managing a patient's constipation with physical therapy. Physical Therapy 2006;86(11):1511-1519. 

  24. Higgins PD, Johanson JF. Epidemiology of constipation in North America: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4;99(4):750-759. 

  25. Hockenberry MJ, Wilson D. Wong's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10th ed. New York: Elsevier, 2011. 

  26. Jennifer R. Water: a fluid way to manage constipation. WebMD. http://www.webmd.com/digestive-disorders/water-a-fluid-way-to-manage-constipation. 2014. 

  27. Jun DW 외 9명. A population-based study on bowel habits in a Korean community: prevalence of functional constipation and self-reported constipation.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2006;51(8):1471-1477. 

  28. Lundblad B, Hellstrom AL. Perceptions of school toilets as a cause for irregular toilet habits among schoolchildren aged 6 to 16 years. Journal of School Health 2005;75(4):125-128. 

  29. Murakami K, Sasaki S, Okubo H, Takahashi Y, Hosoi Y, Itabashi M. Association between dietary fiber, water and magnesium intake and functional constipation among young Japanese women.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7;61(5):616-622. 

  30.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tipation and what I need to know about constipation. Maryland: NIH, 2013. 

  31. Norling M, Stenzelius K, Ekman N, Wennick A.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in school toilets or restrooms. Journal of Public Health Medicine 2015;24(2):85-87. 

  32. Peppas G, Alexiou V, Mourtzoukou E, Falagas M. Epidemiology of constipation in Europe and Oceania: a systematic review. BMC Gastroenterology 2008;8(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