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변비 발생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Rates of and Related Factors to Const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7, 2016년, pp.597 - 606  

김은영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  정은영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변비 발생률을 알아보고, 변비유무에 따른 식습관, 운동 활동 시간, 스트레스 및 학교화장실 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변비 발생률과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남도의 6개 초등학교의 재학 중인 3, 4, 5, 6학년 7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4월 30일부터 2014년 5월 12일까지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 검정, 이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변비 발생률은 23.9%이었으며, 변비 발생률과 관련요인으로는 화장실 선호도, 쉬는 시간 배변 여부, 하루 식사 횟수, 아침 결식 횟수, 식사량, 학원수업 시간, 인터넷 이용시간, 스트레스, 학교화장실 환경에 대한 인식이었다. 특히 스트레스가 '상'의 경우 스트레스가 '하'보다 5.44배의 높은 변비 발생률을 보였다. 주관적인 증상만으로 변비를 진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자세한 문진과 신체검진을 포함한 변비 발생률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며, 초등학생의 변비 예방을 위한 교육 및 관리의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descriptive research to understand the constipation rat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e to their differences in cognition of their eating habits, hours of exercise/physical activity, stress, and school restroom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matter of constipation, as well as the 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변비 발생률을 알아보고, 대상자의 변비유무에 따른 식습관, 운동·활동 시간, 스트레스 및 학교화장실 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변비 발생률과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 초등학생의 변비 발생률과 변비 유무에 따른 식습관, 운동·활동 시간, 스트레스, 학교화장실 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변비 발생률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 결과 밝혀진 변비 발생률의 관련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변비 발생률은 23.9%이었으며, 변비 발생률과 관련요인으로는 화장실 선호도, 쉬는 시간 배변 여부, 하루 식사 횟수, 아침 결식 횟수, 식사량, 학원수업 시간, 인터넷 이용시간, 스트레스, 학교화장실 환경에 대한 인식이었다. 특히 스트레스가 '상'의 경우 스트레스가 '하'보다 5.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을수록 변비 발생률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본 연구의 결과 스트레스 정도의 기준을 ‘하’로 했을 경우 ‘중’인 경우 2.81배, ‘상’인 경우 5.44배의 높은 변비 발생률을 보였으며, 선행연구[13]에서 ‘중’인 경우 2.58배, ‘상’인 경우 5.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변비의 특징은 무엇인가? 나이에 따라 배변 횟수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변비(Constipation)는 3일 또는 4일에 1회 미만의 배변이 있거나 배변 빈도가 불규칙하고 배변시 많은 긴장감, 통증 등으로 배변 보기 힘든 경우를 말하거나[1], 배변과 관련된 불편감, 통증이 있거나 2주 이상 배변지연이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2]. 성인과 다르게 아이들은 굵어지고 단단해진 변으로 인해 배변시 통증과 불편감을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변을 참아 오히려 만성 변비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변비 증상으로 식욕저하와 복부팽만, 배설되지 못한 독소는 장을 통해 혈액에 흡수로 인해 두통, 여드름, 피부 발진이 나타나며[4], 대부분 변비 증상은 청소년기에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 S. Kwon, "Alterations in Bowel Elminiation: constipation", The Korean nurse, Vol.32(2), pp. 20-23, 1993. 

  2. Constipation Guideline Committee of the North American Society for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Constipation in Infants and Children: Recommendations of the North American Society for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Vol.43(3), pp. 1-13, 2006. 

  3. J. Y. Kim, "Constipation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48(4), pp. 355-362, 2005. 

  4. E. Corazziari, "Need of the Ideal Drug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Constipation", Ital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Vol.31(3), PP. S232-233, 1999. 

  5. J. H. Kim,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Symptoms Related with Bowel Movement in College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8(2), pp. 375-397, 2003. 

  6. J. M. Croffie, J. F. Fitzgerald, W. A. Walker, " Pediatric Gastrointestinal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Management", 2nd ed. St. Louis: Mos-by-Year Book, pp. 984-997, 1996. 

  7. H. K. Lee, S. J. N. Choi, "Chronic Constipation Led to Sigmoid Volvulus in a Child", Journal of the Korean Surgical Society, Vol.77, pp. 441-444, 2009. DOI: http://dx.doi.org/10.4174/jkss.2009.77.6.441 

  8. D. A. Arce, C. A. Ermocilla, H. Costa, "Evaluation of constipation", American Family Physician, Vol.65(11), pp. 2283-90, 2002. http://www.aafp.org/afp/2002/0601/p2283.pdf 

  9. M. S. Kim, M. S. Lee, B. J. Na, E. Y. Kim, J. Y. Hong, "Prevalence Rates of and Related Factors to Const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3(3), pp. 93-98, 2013. 

  1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ttp://www.longtermcare.or.kr/npbs/d/m/000/moveBoardView?menuIdnpe0000000780&bKeyB0010&search_boardId50222 

  11. A. Y. Kim, H. Y. Lee, C. H. Hong, S. W. Han, "The Significance of the Parents' Description of Constipation in Pediatric Voiding Dysfunction", The Korean Urological Association, Vol.49(5), pp. 439-442, 2008. DOI: http://dx.doi.org/10.4111/kju.2008.49.5.439 

  12. M. J. Kim, D. G. Kim, J. Y.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rgic Diseases an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Association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Vol.28(1), pp. 32-42. 2014. DOI: http://dx.doi.org/10.7778/jpkm.2014.28.1.032 

  13. J. H. Park, J. T. Son, "Prevalence and Factors Influencing Constipation in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0(4), pp. 333-344, 2013.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4.333 

  14. S. J. Cho, Y. J. Ahn, E. Y. Kim, Y. I. Rho, E. D. Yang, Y. B. Park, K. R. Moon,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Constipation in the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Vol.5(1), pp. 26-32, 2002. 

  15. A. P. Corfield, D. Carroll, N. Myerscough, C. S. Probert, "Muci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Health and Disease, Frontiers in Bioscience, Vol.6, pp. 1321-3257, 2001. DOI: http://dx.doi.org/10.2741/A684 

  16. B. Piko, "Epidemiology of Psychosomatic Symptoms and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Orvosi Hetilap, Vol.140(23), pp.1297-1304, 1999. 

  17. M. H. Choi,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Constipation and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004. 

  18. S. H. Park,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006. 

  19. M. H. Lim, "A Study on Dietary Hab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Gumi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2009. 

  20. M. Y. Kim, H. Y. Koo, S. O. Kim, T. Y. Kim, W. O. Oh, H. O. Yun, et al., "A Growth Development of a Children and Nursing", Seoul; Koonja Publishing Inc. 2007. 

  21. Y. J. Lee, "Related factors of constip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Chungnam, 2007. 

  22. M. S. Kim, J. Y. Hong, M. S. Lee, B. J. Na, J. Y. Lee, J. H. Hwang, "Related Factors of Const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0 Annual Conference, pp. 1000-1004, 2010. 

  23. Y. K. Ahn, H. K. Ro, "A Survey on Preference for Vegetable Cooking Methods and Vegetable-Aversion -Rel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wangju and Chonnam Regions",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14(5), pp. 531-544, 2009. 

  24. J. H. Kim, Y. S. Kim, Y. Kim, M. S. Ka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Factors Affect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f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Findings from Focus-Group Interviews with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Nutritionists",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ol.24(4), pp. 567-581, 2013. DOI: http://dx.doi.org/10.7856/kjcls.2013.24.4.567 

  25. J. W. Park, Y. H. Jung, "The Stress, Coping Behavior and Health States of Elementary Stud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Vol.20(4), pp. 309-320, 2012. 

  26. H. J. Park,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chool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10), pp. 6168-6175,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0.6168 

  27. J. S. Kang, E. H. Hwang,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Distinction of Sex for Early Adolescents",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Vol.20(3), pp. 149-157, 2012. 

  28. M. F. Chan, Y. L. Chan, "Investigating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Hong Ko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9, PP. 3390-3400, 2010. 

  29. D. W. Jun, H. Y. Park, O. Y. Lee, H. L. LEE, B. C. Yoon, H. S. Choi, J. S. Hahm, M. H. Lee, D. H. Lee, "A Population-based Study on Bowel Habits in a Korean Community: Prevalence of Functional Constipation and Self-reported Constipation",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Vol.51(8), pp. 1471-1477, 2006. DOI: http://dx.doi.org/10.1007/s10620-006-9087-3 

  30. A. Wald, C. Scarpignato, M. A. Kamm, S. Mueller-Lissner, I. Helfrich, C. Schuijt, J. Bubeck, C.Limoni, O. Petrini, "The Burden of Constipation on Quality of Life: Results of a Multinational Survey",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Vol.26(2), pp. 227-23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