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컬푸드에 대한 가치인식이 구매 및 체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cal Food Value Perception on Purchasing and Experienc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1, 2015년, pp.54 - 63  

원미경 (대경대학 호텔조리과) ,  박영희 (부산과학기술대학교 호텔조리계열) ,  이연정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ocal food value perception on purchasing and experience in consumers. ${\chi}^2$-test,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common place for buying agricultural produc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로컬푸드의 중요성과 소비가 날로 증가되는 시점에 로컬푸드에 대한 가치 인식이 로컬푸드 구매 및 체험에 미치는 효과 분석을 통해 로컬푸드 시장의 체계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대내외에 로컬푸드 체험 붐을 조성하고 로컬푸드의 판매 확대 마케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컬푸드란? 로컬푸드(Local Food)란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은 마일리지가 짧은 그 지역에서 생산된 제철 식품으로 일정지역에서 생산·가공되는 것으로 직거래나 공급체인의 단축을 통해서 지역주민에게 유통되는 농산물 및 식품, 나아가 생산자와 소비자 간에 먹거리를 매개로 하는 활동을 말한다(Trobe2002). 하지만 나라마다 로컬푸드의 범위는 각국의 문화적,사회·경제적인 상황에 따라서 물리적 거리에 대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그 개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Jang et al.
로컬푸드 운동의 장점은? 로컬푸드 운동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먹거리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환경과 건강을 지키고, 지역사회의 도농상생을 촉진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지역사회 활성화와 농민과소비자 간의 공동체 형성을 목적으로 추진되어 주로 몸에 좋은 유기 농산물을 지역 소농과 소비자들 간에 직접 거래함으로써 농민과 소비자가 모두 이익을 보게 된다. 이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물리적 거리(natural, distance)’, 그리고 농·식품의 ‘자연적 거리(natural distance)’를 줄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Kim 2010; Hong et al.
로컬푸드 운동의 또 다른 의미는 무엇인가? 로컬푸드 운동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먹거리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환경과 건강을 지키고, 지역사회의 도농상생을 촉진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지역사회 활성화와 농민과소비자 간의 공동체 형성을 목적으로 추진되어 주로 몸에 좋은 유기 농산물을 지역 소농과 소비자들 간에 직접 거래함으로써 농민과 소비자가 모두 이익을 보게 된다. 이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물리적 거리(natural, distance)’, 그리고 농·식품의 ‘자연적 거리(natural distance)’를 줄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Kim 2010; Hong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k SW, Kim SH. 2013. Shopping motiv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local food store. Korean J. Food Mark. Econ., 30(2):47-66 

  2. Chang HJ, Yang IS, Chung LN, Shin SY. 2004.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overseas and domestic tourism products focusing on traditional foods. J. Korean Soc. Food Cult., 19(4):392-398 

  3. Chang MJ, Cho MS.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J. Korean Soc. Food Cult., 15(3):215-223 

  4. Choi JA, Lee JM. 2010.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food experts in New York city toward Korean food -assessed by in-Depth Interviews of "foodies"-. J. Korean Soc. Food Cult., 25(2):126-133 

  5. Cui HL, Yoon YS, Park JD. 2014. The effects of selection attributes of agritourism as a sextic industry and the preference levels of experience programs on behavior intentions and support levels. Korean J. Hosp. Tour., 28(2):185-158 

  6. Hong KW, Kim HC, Jung IK. 2010. A study of experts' perceptions on local food. Korean J. Ind. Coop., 11(12):4742-4751 

  7. Hong KW, Kim YS. 2009.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local food, a Korean case. Korean J. Bus., 22(3):1629-1649 

  8. Hong SH, Hwang SH, Chung JH. 2014. Study for consumer's attributes of local food store. Korean J. Food Mark. Econ., 2013(0):38-57 

  9. Jang HW, Lee MS, You SY. 2013. A study of consumer perception of local food. Korean J. Agric. Manag. Policy, 40(2):248-269 

  10. Jung IK, Kim Y, Kim HC. 2012.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local food consumption. Korean J. Foodserv. Manag., 15(3):197-218 

  11. Kim CK. 2011.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tasks for Korean local food. Korean J. Soc. Res., 12(1):111-133 

  12. Kim HR. 2011. The influence of local festival experience on satisfaction and image of culture tourism oriented traditional market place: focusing on 2011 geumsan world ginseng expo. Korean J. Hosp. Tour. Stud., 43(2011):69-81 

  13. Kim JD. 2008. The direction of local food policy in Korea. Korean J. Reg. Sociol., 9(2):85-113 

  14. Kim JE. 2013. Impact of perceptions of local foods on consumer buying behavior- based on consumer confidence. Korean J. Tour. Res., 28(2):225-244 

  15. Kim JK. 2010. A study on food-related lifestyles and food consciousness of jeju island for establishing local food system. Korean Rural Soc. Res., 20(2):117-161 

  16. Kim OY, Seo SH. 2014. Tourist's perceived value of the local food restaurants in destinations. Korean J. Tour. Sci., 38(3):57-79 

  17. Kim SA, Lee JS, Kwon KD.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ocal food's brand equity, origin effect and brand loyalty in Korea. Korean J. Food Mark. Econ., 30(3):93-118 

  18. Kim ST, Lee JH. 2012. Relations among experience factors, tourist destination image, touris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ors to local festivals :focusing on the perception comparison between domestic tourists and chinese tourists. Korean J. Tour. Res., 26(4):5-25 

  19. Kim, KD, Soo KJ. Lee.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ocal food's brand equity, origin effect and brand loyalty in Korea. Korean J. Food Mark. Econ., 30(3):93-118 

  20. Kwan CS, Jang WW. 2008. Propensity to analysis on the rural tourism of the Taegu Citizen and Kyungpook rural tourism activation plan. Int. Forum Northeast Asia Tour., 4(1):19-31 

  21. Lee BS, Park KH. 2014. The effects of local food's brand equ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cusing on Wanju local food. Korean J. Foodserv. Manag., 17(4):367-393 

  22. Lee HC. 2000.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herb garden in Taegu city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by the green tourism. Korean J. Rural Soc. Res., 10(0):167-203 

  23. Lee JW, Kim HM. 2014. A study of operating status for each type of farmers market and characteristics between farmers and consumers. Korean J. Food Mark. Econ., 2013(0):58-77 

  24. Lee KR, Song JY, Hur NH. 2013. The perception and compliance of local food principles in Korea. Korean J. Reg. Geogr., 19(4):567-579 

  25. Lee SG, Song RH. 2013.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of local food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Korean J. Hosp. Tour. Stud., 49(0):365-380 

  26. Lee YJ, Kim SC. 2008. A study of residents' consciousness of local food menus excavation and development in Gyeongju area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4):549-559. 

  27. Lee YJ, Lee SB, 2008. Influences of globalization strategy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toward Korea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of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Korean J. Hosp. adm., 17(3):117-135. 

  28. Lee YJ, Seo YJ, Joo HS, Choi SK.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the menu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Japanese tourists. J. Korean Soc. Food Cult., 20(2):283-291. 

  29. Park KE, Kim MM, Lee SB. 2014. The effect of local specialty brand Experienc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Korean J. Hosp. Tour., 28(2):109-119 

  30. Suh DC.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od tourism in Korea.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Doctoral degree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11-15 

  31. Trobe, HL. 2002. Local food, future directions. Friend of the earth 2002, UK, pp 3-10 

  32. Yoon HR. 2005.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for foreigners in different nationality. J. Korean Soc. Food Cult., 20(3):367-3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