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메밀 싹 첨가 두유의 제조와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milk added with Buckwheat Sprout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1, 2015년, pp.77 - 85  

정다혜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철재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oymilk added with buckwheat sprout (SBS), and sensory properties of SBS were analyzed with control soymilk (CS). Moisture content decreased while protein, ash, and lipid contents increased according to content of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메밀의 이용 방법을 살펴보아도, 주로 메밀가루나 메밀국수 및 샐러드나 생식용으로만 이용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된 메밀싹을 가공이 용이하고 영양성분의 손실이 덜하면서 저장 보관이 가능하도록 동결건조하여 생추출법을 이용한 두유에 첨가하여 기능성 콩 가공식품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메밀싹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두유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강화한 기능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관능평가를 통해 기호도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기능성 음료로써의 활용가능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된 메밀싹을 가공이 용이하고 영양성분의 손실이 덜하면서 저장 보관이 가능하도록 동결건조하여 생추출법을 이용한 두유에 첨가하여 기능성 콩 가공식품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메밀싹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두유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강화한 기능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관능평가를 통해 기호도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기능성 음료로써의 활용가능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E means color difference.
  • 2)Values in different letters among soymilk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3)Values in different letters among soymilk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밀은 기능적인 면에서 어떤 성분이 풍부한가? 또한, 최근에 새로운 천연 식용 식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메밀(Fagopyrum esculentumMöench)은 다른 곡류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고, 미네랄과비타민 등의 함량도 높아 영양균형이 좋은 식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Wijngaard & Arendt 2006). 기능적인 면에서는,rutin이 매우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발아 시 특히rutin의 함량이 크게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Kreft et al.1999).
본 실험 결과 메밀싹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두유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항목은 무엇인가? Isoflavone 중 daidzin 함량은, 메밀싹이 첨가되면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므로, 메밀싹에도 daidzin이 함유된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genistin 함량은 두유 간 유의차가 없었다. 총 페놀 함량은, CS에서는 100.
메밀싹이 종실과 비교했을 때 갖는 장점은? 1999). 이뿐만 아니라, 메밀싹은 아미노산 함량이 종실에 비해 4배 이상 높으며 불포화 지방산 함량도 높아 종실에 비해 영양적, 기능적인 면에서 더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Kim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ay Y, Wilson LA, Glatz BA. 1998. Quality of commercial shelfstable soymilk products. J. Food Prot., 61(9):1161-1164 

  3. Biesaga M. 2011. Influence of extraction methods on stability of flavonoids. J. Chromatogr., 1218(18):2505-2512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4617):1199-1200 

  5. De la Pena MM, Trujillo LS, Rojas-Grau MA, Belloso OM. 2010. Impact of high intensity pulsed electric field on antioxidant properties and quality parameters of a fruit juice-soymilk beverage in chilled storage. J. LWT. Food Sci. Technol., 43(6):872-881 

  6. Hwang IK, Kim SH, Choi YR. 1992. Development of protein foods and their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8(2):53-58 

  7. Im JW. 2008. Comparison of nutrition components of korean buckwheat cultivars during germination.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pp 38-42 

  8. Inglett GE, Chen D, Berhow M, Lee S.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buckwheat flours and their free and bound phenolic compositions. J. Food Chem., 125(3):923-929 

  9. Ikeda K, Fujiwara J, Asami Y, Arai R, Bonafaccia G, Kreft I,, Yasumoto K. 1999. Relationship of protein to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products: analysis with various buckwheat flour fractions. Fagopyrum., 16(1):79-83 

  10. Kim CJ. 1988. Physico-chemical nutritional and flavor properties of soybean extracts processed by rapid-hydration hydrothermal cooking. Doctoral degree thesis. Iowa State University, USA, pp 27-29 

  11. Kim SL, Kim SK, Park CHO. 2004. Introduction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buckwheat sprouts as a new vegetable. Food Res. Int., 37(4):319-327 

  12. Kim YS, Kim JG, Lee YS, Kang IJ. 2005.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of buckwheat seed and sprou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81-86 

  13. Kreft S, Knapp M, Kreft I. 1999. Extraction of rutin from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seeds and determination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J. Agric. Food Chem., 47(11):4649-4652 

  14. Lee EH.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Korea, pp 44-47 

  15. Liu K. 1997. Soybeans: Chemistry, Technology, and Utilization. Chapman & Hall, NY, USA, pp 137-197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0. Korean food standards codex. Moonyoung, Korea, pp 375-377 

  17. Ohara T, Ohinata H, Muramatsu N, Matsuhashi T. 1989. Determination of rutin in buckwheat foo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Nippon Shokuhin Koygy Gakkaishi, 36(2):114-117 

  18. Pyun JW, Hwang IK. 1996. Preparation of Calcium-fortified Soymilk and in vitro Digestion Properties of Its Protein and Calcium. J. Korean. Food Sci. Technol., 28(6):995-1000 

  19. Skrabanja V, Kreft I, Golob T, Modic M, Ikeda S, Ikeda K, Kreft S, Bonafaccia G, Knapp M, Kosmelj K. 2004. Nutrient Content in Buckwheat Milling Fractions. Cereal Chem., 81(2):172-176 

  20. Song T, Barua K, Buseman G, Murphy PA. 1998. Soy isoflavones analysis: quality control and a new internal standard. Am. J. Clin. Nutr., 68(6):1474S-1479S 

  21. Soy-world science park. 2006. Soybean. Korea University Press, Korea, pp 137-140 

  22.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1):83-88 

  23. Watanabe M, Shimizu H. 2004. Composition of flavonoid compounds in seedling of tartary buckwheat. Tohoku Agric. Res., 57(4):267-268 

  24. Wijngaard HH, Arendt EK. 2006. Buckwheat. Cereal Chem., 83(4):391-401 

  25. Yasuda T. 2001. Development of tartary buckwheat noodles through research on rutin-degrading enzymes and its effect on blood fluidity. In the proceeding of th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buckwheat. Chunchon, Korea, pp 488-5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