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 분석 및 발전방향
An Analysis and the Improvement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2, 2015년, pp.23 - 34  

이인회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 진단하고, 제주형 자율학교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 본 정책은 제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지역적 차별성과 교육과정의 차별성 추구, 특례 적용의 법적 여건 조성, 전문적 책무성 촉진 등이 요구된다. 둘째, 본 정책은 구조적 차원에서 교육거버넌스 정책구조로의 전환, 차별적 학력평가의 기준 설정, 형평성 쟁점 극복, 단위 자율학교 자생력 확보 등이 요구된다. 셋째, 구성원 차원에서 본 정책은 교육행정의 지역화, 교장공모제 확대, 교사에 대한 행 재정적 지원, 학부모에 대한 교육권한 위임과 개입 확대, 학생의 정책 공감대 형성 등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정책은 기술적 차원에서 정책 홍보의 활성화, 제주도의회 역할의 다각화, 평가참여자의 전문성 확보, 평가에서의 효율성 관점 도입 등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prehensively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JSSP) by using the four dimensional views of policy theory frame and to suggest its improv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SSP should improve differentiation of curriculum and locality centered on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진단하고 제주형 자율학교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Cooper, Fusarelli와 Randall의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다양한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진단하고 제주형 자율학교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이 추구하는 이념과 목표, 가치 등을 분석·진단한다.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이 지향하는 이념적 가치인 차별성, 자율성, 책무성 측면에서 이 정책을 검토한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조직, 체제, 구조 등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어떻게 상호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분석·진단한다.
  • 셋째, 구성적 차원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집단들에 대해서 분석·진단한다. 즉, 제주형 자율학교 운영과 관련된 제주도교육청, 자율학교의 교원 그리고 교육수요자인 학부모와 학생 입장에서 정책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기술적 차원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운영하기 위한 계획, 실행, 평가 등의 일련의 과정에서 지원체제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형 자율학교는 무엇인가? 제주형 자율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하 ‘제주특별법’이라고함) 제186조 및 동법 시행령 제29~31조에 의해 규정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자치도’라고 함)의 특별한 학교 형태로, 제주지역만이 갖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학교장에게 자율권을 대폭적으로 위임한 혁신적인 자율 학교를 의미한다[3]. 2006년 7월 1일 제정·시행된 제주특별법은 제주자치도의 교육여건을 개선하는 계기를 제공 하였다.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목적 다섯가지는 무엇인가? 제주도교육청[7]은 ‘국제수준의 교육경쟁력 제고와 국제화 교육환경 조성’이라는 비전으로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도입하여 시범학교를 지정하면서 다음과 같은 5가지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국제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제주지역의 차별화된 교육인프라를 구축한다. 둘째, 국제자유도시에 걸맞은 외국어교육 및 국제이해교육의 기반을 구축한다. 셋째, 교육과정 및 학교경영의 자율권 부여로 특성화된 학교를 조성한다. 넷째, 외국으로의 조기유학 수요를 제주지역으로 흡수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다섯째, 과대 학교 및 과밀 학급 해소 및 제주도내 지역간의 균형 발전을 모색한다.
i-좋은학교는 어떤 의미를 갖고있는가? 제주도교육청은 제주형 자율학교를 'i-좋은학교'로 명명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말에서 ‘아이’들이 좋은 학교, ‘I' 즉 ‘나’가 좋은 학교 그리고 감탄사 ‘아이!’ 좋은 학교라는 의미와 국제적인(international) 학교, 재미있게(interesting) 공부하는 학교, 창의력이 풍부한(imaginative) 학생들의 학교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5]. 2007년도부터 시작된 제주형 자율학교는 2014년 현재 제4기를 맞아 총 51개교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제주자치도 전체 초·중등학교의 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 H. Ryu,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innovation schools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30, No. 4, pp. 349-378, 2012. 

  2. W. C.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newly introduced regulation-free school models between Korea, USA, UK, and Australia, Korean Education Review, Vol. 11, No. 1, pp. 1-46, 2006. 

  3. H. S. An,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plan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2009. 

  4. J. J. Lee, C. Y. Cha, Y. Kim, & K. O. Song,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oul: Kyoyook Book, 2012. 

  5.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JSSPOE), An 'i-good school' basic plan, 2006. 

  6. H. I. Kang,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Jeju self-regulating school project, "i-good schoo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1. 

  7. JSSPOE, Master plan for selecting and operating Jeju self-governing schools, 2006. 

  8. Cooper, B. S., Lance D. Fusarelli, L. D., & Randall, E. V.,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2004. 

  9. H. S. Moon, The intention and result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2009. 

  10. J. C. Le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autonomous school policy in Korea, Education Research, Vol. 22, pp. 141-163, 2008. 

  11. K. S. Noh, & S. H. Ju, A study on the environment analysis and policy of smart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4, pp. 35-44, 2013. 

  12. JSSPOE, Comprehensive report on the 3rd term Jeju self-governing schools, 2012. 

  13. K. J. Choi, & C. O. Bae, Analysis on the practical use of autonomy and educational effects of autonomous school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41, No. 2, pp. 253-275, 2003. 

  14. K. T. Kim,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eory, policy and systems, Seoul: Wonmi Inc. 2012. 

  15. Campbell, R. F., Corbally, J. E., & Ramseyer, J. A., Introduction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4th ed., Boston: Allyn & Bacon, Inc., 1971. 

  16. I. H. Lee, An analysis on the policy of integrating and abolishing small school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governance, Tamla Munwha, Vol. 42, pp. 347-375, 2013. 

  17. http://www.council.jeju.kr. (Dec. 12, 2014). 

  18. I. H. Lee, & M. H. Kim, An analysis of the relative efficiency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Seminar Materials of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pp. 179-196, 2014. 

  19. S. H. Oh, The exploring role of education office in local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24, No. 2, pp. 67-88, 2013. 

  20. I. H. Lee, G. Min, C. H. Gum, & J. H. Lee, Organizational diagnosi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2014, 

  21. S. W. Park, A case study on the open autonomous school inno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7, No. 2, pp. 177-201, 2009. 

  22. Elmore, R. F., and Associates, Restructuring schools: the Next generation of educational reform, San Francisco: Jossey-Bass Inc., Publishers, 1990. 

  23. K. C. Kang, Daehul elementary school and its good curriculum, Jeju Education, Vol. 140, pp. 50-5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