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하부요로증상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1, 2015년, pp.71 - 77  

송효정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and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LUT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Methods: The cross sectional study was us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through interviews with 181 T2D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국외의 경우 당뇨병에서 발생되는 하부요로문제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있으나 국내의 경우 이에 대한 연구가 드문 실정이다. 당뇨병은 만성질환으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높으며, 당뇨병 질병기간과 혈당 조절상태에 따라 하부요로증상과 관련이 있는지 본 연구에서 확인함으로써 당뇨병 환자에서 가지는 하부요로증상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병원에 내원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부요로증상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당뇨병 질병기간, 당화혈색소, 우울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하부요로증상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며, 이에 당뇨병환자의 하부요로증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가 경험하는 하부요로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하부요로증상을 파악하고, 하부요로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접을 통해 시행된 서술적 단면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0년 10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일 대학병원의 당뇨병외래를 정기적으로 방문하고 있는 181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2012년 당뇨병 유병률은 몇%인가? 우리나라의 2012년 당뇨병 유병률은 10.1% 이며 2050년에는 당뇨병 환자 수가 약 600만 명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 향후 40년간 약 2배가 증가하게 된다[1]. 당뇨병은 신경병증, 망막병증, 신증 같은 합병증을 야기하고 배뇨장애가 조기발병하거나 증상이 심해져 배뇨의 합병증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으며[2,3], 이러한 배뇨장애는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3].
당뇨병의 특징은 무엇인가? 1% 이며 2050년에는 당뇨병 환자 수가 약 600만 명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 향후 40년간 약 2배가 증가하게 된다[1]. 당뇨병은 신경병증, 망막병증, 신증 같은 합병증을 야기하고 배뇨장애가 조기발병하거나 증상이 심해져 배뇨의 합병증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으며[2,3], 이러한 배뇨장애는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3].
당뇨병 환자가 가지는 하부요로증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하부요로증상 자체가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한 개인에게 증상으로 인한 당혹감과 창피감을 주고 활동의 위축 및 자아존중감의 상실과 증상에 대한 부담감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삶의 질의 저하를 초래한다[3,16]. 조기에 하부요로문제를 발견하고 관리를 함으로써 당뇨병으로인한 배뇨장애로진전되는 것을 예방할수 있으며[17], 당뇨병 환자에게 하부요로증상은 흔한 건강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사정 및 관리에 대한 의료인의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2012. [cited 2014 Nov 9].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temp/Diabetes_Fact_sheet2012.pdf. 

  2. Kaplan SA, Te AE, Blaivas JG. Urodynamic findings in patients with diabetic cystopathy. Journal of Urology. 1995;153(2):342-344. 

  3. Karoli R, Bhat S, Fatima J, Priya A. A study of bladder dysfunction in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dian Journal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4; 18(4):552-557. http://dx.doi.org/10.4103/2230-8210.137518 

  4. Yoshimura N, Chancellor MB, Andersson KE, Christ GJ.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biology of diabetes-associated bladder complications and novel therapy. BJU International. 2005;95(6):733-738. 

  5. Bansal R, Agarwal MM, Modi M, Mandal AK, Singh SK. Urodynamic profile of diabeticpatients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ssociation of diabetic cystopathy with autonomic and peripheral neuropathy. Urology. 2011;77(3):699-705. http://dx.doi.org/10.1016/j.urology.2010.04.062 

  6. Bang WJ, Lee JY, Koo KC, Hah YS, Lee DH, Cho KS. Is type-2 diabetes mellitus associated with overactive bladder symptoms in men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Urology. 2014;84(3):670-674. http://dx.doi.org/10.1016/j.urology.2014.05.017 

  7. Sarma AV, Burke JP, Jacobson DJ, McGree ME, St Sauver J, Girman CJ, et al. Associations between diabetes and clinical markers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mong community-dwelling Black and White men. Diabetes Care. 2008;31(3):476-482. 

  8. Van Den Eeden SK, Ferrara A, Shan J, Jacobsen SJ, Quinn VP, Haque R, et al. Impact of type 2 diabetes on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men: a cohort study. BMC Urology. 2013;20(13):12. http://dx.doi.org/10.1186/1471-2490-13-12 

  9. Wang CC, Chancellor MB, Lin JM, Hsieh JH, Yu HJ. Type 2 diabetes but not metabolic syndrome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erectile dysfunction in men aged <45 years. BJU International. 2010;105(8):1136-1140. http://dx.doi.org/10.1111/j.1464-410X.2009.08913.x 

  10. Tai HC, Chung SD, Ho CH, Tai TY, Yang WS, Tseng CH, et al.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worsen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women with type 2 diabete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0;95(3):1143-1150. http://dx.doi.org/10.1210/jc.2009-1492 

  11. Chiu AF, Huang MH, Wang CC, Kuo HC. Higher glycosylated hemoglobin levels increase the risk of overactive bladder syndrom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ternational Journal of Urology. 2012;19:995-1001. http://dx.doi.org/10.1111/j. 1442-2042 03095.x 

  12. Liu RT, Chung MS, Lee WC, Chang SW, Huang ST, Yang KD, et al. Prevalence of overactive bladder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1359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rology. 2011;78(5):1040-1045. http://dx.doi.org/10.1016/j.urology.2011.05.017 

  13. Park M, Katon WJ, Wolf FM. Depression and risk of mortality in individuals with diabetes: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13;35(3):217-225.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2013.01.006 

  14. Breyer BN, Kenfield SA, Blaschko SD, Erickson BA. The association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data from the 2005-2006 and 2007-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191(5):1333-1339. http://dx.doi.org/0.1016/j.juro.2013.12.012 

  15. Laumann EO, Kang JH, Glasser DB, Rosen RC, Carson CC.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white, black and Hispanic men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Urology. 2008;180(1):233-240. http://dx.doi.org/10.1016/j.juro.2008.03.055 

  16. Milne JL, Moore KN. Factors impacting self-care for urinary incontinence. Urologic Nursing. 2006;26:41-51. 

  17. Lee WC, Wu CC, Wu HP, Tai TY.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uroflowmetry in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ith and without bladder dysfunction. Urology. 2007;69(4):685-690. 

  18.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9. Choi HR, Chung WS, Shim BS, Kwon SW, Hong SJ, Chung BH, et al. Translationvalidity and reliability of IPSS Korean version. Korean Journal of Urology. 1996;37:659-665. 

  20. Boyle P1, Robertson C, Mazzetta C, Keech M, Hobbs FD, Fourcade R, et al. UrEpik Study Group. The prevalence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men and women in four centres. The UrEpik study. BJU International. 2003;92(4):409-414. 

  21. Okamura K1, Nojiri Y, Osuga Y, Tange C. Psychometric analysis of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for femal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Urology. 2009;73(6):1199-1202. http://dx.doi.org/10.1016/j.urology.2009.01.054 

  22.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1993;32:381-399. 

  23. Lyness JM, Conwell Y, King DA, Cox C, Caine ED. Ruminative thinking in older in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997;46:273-277. 

  24. Lee WC, Wu HP, Tai TY, Liu SP, Chen J, Yu HJ. Effects of diabetes on female voiding behavior. Journal of Urology. 2004;172(3):989-992. 

  25. Arrellano-Valdez F, Urrutia-Osorio M, Arroyo C, Soto-Vega E. A comprehensive review of urolog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diabetes. Springerplus. 2014;23(3):549. http://dx.doi.org/10.1186/2193-1801-3-549 

  26. Kakizaki H, Matsuura S, Mitsui T, Ameda K, Tanaka H, Koyanagi T. Questionnaire analysis on sex difference in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Urology, 2002;59(1):58-62. 

  27. Brookes ST, Link CL, Donovan JL, McKinlay JB. Relationship between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erectile dysfunction: results from the Boston Area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Urology. 2008;179(1):250-255. 

  28. Xiao N, Wang Z, Huang Y, Daneshgari F, Liu G. Roles of polyuria and hyperglycemia in bladder dysfunction in diabetes. Journal of Urology. 2013;189(3):1130-1136. http://dx.doi.org/10.1016/j.juro.2012.08.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