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로니아 분말 첨가가 돈육 패티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onia Powder (Aronia melanocarpa) on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1, 2015년, pp.83 - 90  

김명현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주신윤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해연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외식상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ding aronia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patties. The patties were prepared by adding 0%, 1%, 2%, and 3% of aronia powder. Water and ethanol were used to extract the antioxidant compounds from aroni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아로니아를 돈육패티 제조에 활용하여 소비자의 기호도 만족, 품질특성과 기능성 향상, 육제품 제조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얻기 위하여 돈육패티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평가 소비자 기호도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햄버거 패티는 무엇인가? 햄버거 패티는 미트볼류, 가스류 등과 함께 분쇄가공품에 속하며 식육(장기류 제외)을 세절 또는 분쇄한 것이나 또는 이에 결착제, 조미료,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혼합한 것을 성형하거나 또는 동결, 절단하여 냉장, 냉동한 것이나 훈연, 열처리 또는 튀긴 것을 말하며 육함량이 50% 이상이어야 한다고 되어있다(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패티는 패스트푸드에서 재료로 이용되는데 패스트푸드가 가진 문제점은 높은 열량에 비해 일부 영양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며 패스트푸드를 자주 먹게 되면 동물성 지방을 과잉 섭취하게 되는 반면 비타민과 무기질 등 필수영양소는 부족해서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Lee JJ 등 2011).
아로니아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블랙초크베리(black chokeberry)라고 불리며 항산화작용(Lim JD 등 2014), 항암(Malik M 등 2003), 항당뇨(Jankowski A 등 1999), 항염증(Ilieva I 등 2005), 항알레르기(Jeong JM 2008) 등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 효과가 있다. 아로니아에는 플라보노이드와 안토시아닌(cyanidin 3-O-glucoside, cyanidin 3-Ogalactoside, cyanidin 3-O-arabinoside, cyanidin 3-O-xyloside),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다(Oszmiański J와 Wojdylo A 2005).
육가공품 중에서 패티가 재료로 이용되는 패스트푸드가 갖는 문제점은? 햄버거 패티는 미트볼류, 가스류 등과 함께 분쇄가공품에 속하며 식육(장기류 제외)을 세절 또는 분쇄한 것이나 또는 이에 결착제, 조미료,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혼합한 것을 성형하거나 또는 동결, 절단하여 냉장, 냉동한 것이나 훈연, 열처리 또는 튀긴 것을 말하며 육함량이 50% 이상이어야 한다고 되어있다(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패티는 패스트푸드에서 재료로 이용되는데 패스트푸드가 가진 문제점은 높은 열량에 비해 일부 영양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며 패스트푸드를 자주 먹게 되면 동물성 지방을 과잉 섭취하게 되는 반면 비타민과 무기질 등 필수영양소는 부족해서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Lee JJ 등 2011). 육가공품은 소비자들의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고품질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므로 합성물질이 아닌 천연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육가공품의 고품질화가 필요하다(Jo JS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4):1199-1200 

  2. Cha SS, Lee JJ. 2013. Quality propertie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patty added with purple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2):1994-2003 

  3. Choi PS, Kim HS, Chin KB.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or methanol extract from cherry (Prunus yedoensis) and its utilization to the pork patties. Korean J Food Sci An 33(2): 268-275 

  4. Hasibe T, Cemalettin S, Mustafa TY. 2010. Fat, wheat bran and salt effects on cooking properties of meat patties studi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t J Food Sci Technol 45(10):1980-1992 

  5. Horszwald A, Julien H, Andlauer W. 2013. Characterisation of aronia powders obtained by different drying processes. Food Chem 141(3):2858-2863 

  6. Hwang ES, Ki KN. 2013. Stabil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aronia (Aronia melancocarp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4):416-421 

  7. Hwang ES, Lee Y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ith aroni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8):1220-1226 

  8. Hwang ES, Nhuan DT.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ongpomook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ocarpa)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0(2):161-169 

  9. Ilieva I, Shiratori K, Koyoma Y, Jin X, Yoshida K, Kase S, Kitaichi N, Suzuki Y, Tanaka T, Ohno S. 2005.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onia extract on rat endotoxin-induced uveitis. Invest Ophthalmol Vis Sci 46(1):275-281 

  10. Jankowski A, Niedworok J, Jankowska B. 1999. Influence of anthocyanins from Aronia melanocarpa Elliot on the course of experimental diabetes. Diabetologia Polska 6(2):87-95 

  11. Jeong JM. 2008.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1109-1113 

  12. Jo JS. 2008. The investigation on the composition of raw materials and additives of processed meat products in domestic marke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 12 

  13. Joo SY, Choi HY. 2014a.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added with salt wort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8): 1189-1196 

  14. Joo SY, Choi HY. 2014b. Effects of chestnut inner shell powder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5):698-704 

  15. Jung IC, Youn DH, Moon YH. 2007. Quality and palatability of pork patty containing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3):350-360 

  16. Kang HH. 2009. Determin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berries and their anthocyanin identification. Doctorate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 39 

  17. Kim IS, Jin SK, Ha CJ. 2008. Effects of sweet persimmon powder type on quality properties of low salted pork patties during cold storage. J Anim Sci Technol 50(1):133-144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code. Munyoungsa, Seoul, Korea. p 219 

  19. Kulling SE, Rawel HM. 2008. Choke berry (Aronia melanocarpa) -a review on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Planta Med 74(13):1625-1634 

  20. Lee JH, Chin KB. 2012.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beet extracts, and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of ground pork patties containing red beet extract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32(4):497-503 

  21. Lee JJ, Park MR, Kim AR, Lee MY. 2011.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Sci 43(1):83-90 

  22. Lee SA, Kim GW, Hwang ES, Shim JY. 2014.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in aronia makgeolli. Food Eng Prog 18(4):374-381 

  23. Lee YM, Lyu ES.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 powder added hamburger patty. Korean J Food Cook Sci 24(6):742-747 

  24. Lim JD, Cha HS, Choung MG, Choi RN, Choi Dj, Youn AR.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acidic ethanol extract and the anthocyanin rich fraction from Aronia melanocarpa. Korean J Food Cook Sci 30(5):573-578 

  25. Malik M, Zhao CW, Schoene N, Guisti MM, Moyer MP, Magnuson BA. 2003. Anthocyanin-rich extract from Aronia meloncarpa E. induces a cell cycle block in colon cancer but not normal colonic cells. Nutr Cancer 46(2):186-196 

  26. Oh HK, Lim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hamburger patties with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powder and/or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4):570-579 

  27. Oszmianski J, Wojdylo A. 2005. Aronia melanocarpa 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Eur Food Res Technol 221(6):809-813 

  28. Park E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ocarp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5):646-653 

  29. Slimestad R, Torskangerpoll K, Nateland H, Johannessen T, Giske NS. 2005. Flavonoids from black chokeberries, Aronia melanocarpa. J Food Compos Anal 10(1):61-68 

  30. Sojka M, Kolodziejczyk K, Milala J. 2013. Polyphenolic and basic chemical composition of black chokeberry industrial by-products. Ind Crops Prod 51:77-86 

  31. Song HI, Moon GI, Moon YH, Jung IC. 2000.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hamburger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Korean J Food Ani Resour 20(1):72-78 

  32.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1):63-68 

  33. Winger RJ, Fennema O. 1976. Tenderness and water hodling properties of beef muscle as influenced by freezing and subsequent storage at -3 $^{\circ}C$ or 15 $^{\circ}C$ . J Food Sci 41(6): 1433-1438 

  34. Yoon HS, Kim JW, Kim SH, Kim YG, Eom H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ronia powder(Aronia melanocarp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2):273-280 

  35. Zheng W, Wang SY. 2003.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phenolics in blueberries, cranberries, chokeberries, and lingonberries. J Agric Food Chem 51(2):502-50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