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초(Salicornia herbacea L.)분말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Added with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189 - 1196  

주신윤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해연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외식상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함초의 우수한 기능성을 육제품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0, 1, 2, 3%의 함초분말 첨가가 돈육패티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함초분말을 패티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 또한 시료 첨가량에 따라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함초패티의 품질평가를 실시한 결과 패티의 pH는 시료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함초분말 2% 첨가군에서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고 가열손실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색도의 측정에서 함초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패티의 명도와 적색도가 감소하고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결과 함초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경도, 씹힘성, 검성이 감소하였으며, 응집성의 경우 대조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 외관, 색, 맛, 조직감 평가 항목에서 함초분말 1%와 2%를 첨가한 패티의 기호도가 다른 첨가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함초패티의 특성강도 검사 결과 함초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초 맛이 강해진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패티의 다즙성, 이취, 짠맛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패티 제조 시 함초분말의 첨가는 패티의 기호도와 품질을 증가시키고 항산화활성을 증가시켜 패티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패티 제조 시 기호도가 높고 항산화능이 좋았던 2% 함초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altwort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tties added with saltwort powder. Patti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0, 1, 2, and 3%) of saltwort powder. The total phenolic conten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함초의 우수한 기능성을 육제품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0, 1, 2, 3%의 함초분말 첨가가 돈육패티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함초분말을 패티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 또한 시료 첨가량에 따라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여러 생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함초를 패티에 첨가하고 그 품질특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패티에 대한 함초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초는 무엇인가? 함초(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는 명아주과 (Chenopodiaceae)에 속하는 한해살이 내염성 식물로 다량의 염분을 축적하고 있다(11).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의 갯벌 및 염전부근에서 자생하며 우리말로는 퉁퉁하고 마디마디가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라고 한다(12).
함초에 존재하는 기능성 물질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함초에는 Ca, K, Na, Mg 등의 천연 미네랄과 필수아미노산, 필수지방산이 풍부하며 50%의 높은 식이섬유가 함유되어있다(12). 또한 함초에 존재하는 기능성 물질로는 polysaccharide류(13), flavonoid 배당체 화합물(14), chlorogenic acid 유도체(15) 등이 보고되었으며, 함초의 효능으로는 면역조절 기능 향상(16), 항당뇨(17), 항암(18), 항산화(19)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함초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함초를 이용한 된장, 간장, 발효액 등의 다양한 응용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20).
함초는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 자생하는가? )는 명아주과 (Chenopodiaceae)에 속하는 한해살이 내염성 식물로 다량의 염분을 축적하고 있다(11).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의 갯벌 및 염전부근에서 자생하며 우리말로는 퉁퉁하고 마디마디가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라고 한다(12). 함초에는 Ca, K, Na, Mg 등의 천연 미네랄과 필수아미노산, 필수지방산이 풍부하며 50%의 높은 식이섬유가 함유되어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CDC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V-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eongwon, Korea. p 142-144, 441-479. 

  2. Chung KY, Chung ER, Lee JY. 2008. The manufacturing of low-fat hamburger patties added organic vegetabl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165-170. 

  3. Kim HJ, Yoon MS, Park KH, Shin JH, Heu MS, Kim JS. 2009. Preparation and food quality characterization of salmon patties. Korean J Food Preserv 16: 705-713. 

  4. Miller MF, Davis GW, Seideman SC, Ramsey CB. 1986. Effects of chloride salts on appearance, palatability, and storage traits of flaked and formed beef bullock restructured steaks. J Food Sci 51: 1424-1436. 

  5. Cofrades S, Lopez-Lopez I, Solas MT, Bravo L, Jimenez- Colmenero F. 2008. Influence of different types and proportions of added edible seaweeds on characteristics of low-salt gel/emulsion meat systems. Meat Sci 79: 767-776. 

  6. Lee JH, Chin KB. 2012.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beet extracts, and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of ground pork patties containing red beet extract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 32: 497-503. 

  7. Lee SH, Cho SH. 2012.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patties containing yam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781-787. 

  8. Park JS, Kim HS, Chin KB. 2012.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ty) and its application to the pork patties as a natural antioxidan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2: 190-197. 

  9. Jeon MR, Choi S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added with seaweed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2: 77-83. 

  10. Oh HK, Lim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hamburger patties with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powder and/or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 570-579. 

  11. Shimizu K. 2000. Effect of salt treatments on the produc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alt wort (Salicornia herbacea L.) rhodesgrass and alfafa. Jpn J Trop Agric 44: 61-67. 

  12. Min JG, Lee DS, Kim TJ, Park JH, Cho TY, Park DI. 2002. Chemical composition of Salicornia herbacea L. J Food Sci Nutr 7: 105-107. 

  13. Lee YS, Lee HS, Shin KH, Kim BK, Lee S. 2004. Constituents of the halophyte Salicornia herbaceae. Arch Pharm Res 27: 1034-1036. 

  14. Lee KY, Lee MH, Chang IY, Yoon SP, Lim DY, Jeon YJ. 2006. Macrophage activation by polysaccharide fraction isolated from Salicornia herbacea. J Ethnopharmcol 103: 372-378. 

  15. Chung YC, Chun HK, Yang JY, Kim JY, Han EH, Kho YH, Jeong HG. 2005. Tungtungmadic acid, a novel antioxidant, from Salicornia herbacea. Arch Pharm Res 28: 1122-1126. 

  16. Im SA, Kim K, Lee CK. 2006.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Salicornia herbacea. Int Immunopharmacol 6: 1451-1458. 

  17. Kim SH, Ryu DS, Lee MY, Kim KH, Kim YH, Lee DS. 2008. Anti-diabetic activity of polysaccharide from Salicornia herbace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43-48. 

  18. Jung BM, Park JA, Bae SJ. 2008.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herbacea L. fraction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8-153. 

  19. Han SK, Kim SM. 2003. Antioxidative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grown in closed sea be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07-210. 

  20. Park SY, Cho JY, Chung DO, Ham KS.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aturally fermented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493-1500. 

  21. Kim JK, Yoo S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made with freeze-dried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8: 243-255. 

  22. Park JE, Lee JY, Jang M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lmoo Mul-kimchi containing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06-1016. 

  23. Lee YS, Hong G, Kim WM, Shin MK.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06-712. 

  24. Kim MH, Shin MK, Hong GJ, Kim KS, Lee KA. 2010. Quality assessment of soybean curd supplemented with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06-412. 

  25. Lin JY, Tang CY. 2007.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selected fruits and vegetables, as well as their stimulatory effects on mouse splenocyte proliferation. Food Chem 101: 140-147. 

  26.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Food Sci Technol 40: 823-833. 

  27. Park KS, Choi YS, Kim HW, Song DH, Lee SY, Choi JH, Kim CJ. 2012. Effects of wheat fiber with bread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cutlet. Korean J Food Sci An 32: 504-511. 

  28. Lee YM, Lyu ES.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 powder added hamburger pat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742-747. 

  29.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30.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 Enzymol 299: 152-178. 

  31. Choi PS, Kim HS, Chin KB.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or methanol extract from cherry (Prunus yedoensis) and its utilization to the pork patties. Korean J Food Sci An 33: 268-275. 

  32. Na Y, Joo N. 2012. Processing optim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ausage prepared with tomato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195-206. 

  3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4. Yoo KM, Kim DO, Lee CY. 2007.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 177-182. 

  35. Kim JY, Cho JY, Ma YK, Park KY, Lee SH, Ham KS, Lee HJ, Park KH, Moon JH. 2011. Di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 and flavonoid glucosides from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Food Chem 125: 55-62. 

  36. Cho SH, Chung C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meat patties formulated with either steam-dried green tea powder or freeze-dried raw tea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567-574. 

  37. Lee JT, An BJ. 2002. Detection of phys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L. Kor J Herbology 17: 61-69. 

  38. Choi YS,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Jeong JY, Chung HJ, Kim CJ. 2010. Effects of replacing pork back fat with vegetable oils and rice bran fiber on the quality of reduced-fat frankfurters. Meat Sci 84: 557-563. 

  39. Berry BW, Leddy KF. 1989. Effects of freezing rate, frozen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time on tenderness values of beef patties. J Food Sci 54: 291-296. 

  40. Lee MA, Han DJ, Choi JH, Choi YS, Kim HY, Choe JH, Jeong JY, Kim CJ. 2008. Effect of hot air dried Kimchi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66-472. 

  41. Girard JP. 1992. Technology of meat and meat products. Ellis Horwood, Chichester, UK. p 32-83. 

  42. Pearson AM, Dutson TR. 1994. Quality attributes and their measurement in meat, poultry and fish products. Blackie Academic Professional, London, UK. p 316-332. 

  43. Park KS, Park HS, Choi YJ, Moon YH, Lee KS, Kim MJ, Jung IC. 2011. Quality change of pork patty containing lotus (Nelumbo nucifera) leaf and root powder during refrigerated storage. J Life Sci 21: 1732-17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