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석회석과 제강슬래그를 이용하여 안정화한 담수된 논토양의 비소 및 중금속의 거동변화
The Fate of As and Heavy Metals in the Flooded Paddy Soil Stabilized by Limestone and Steelmaking Slag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0 no.1, 2015년, pp.7 - 18  

고일하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의영 (환경기술정책연구원) ,  지원현 (한국광해관리공단) ,  윤대근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장윤영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of As and heavy metals depend on the oxidation/reduction condition of the soil environment. The most heavy metals are immobilized by the reduction condition whereas As, Fe and Mn become more soluble.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d the stabilization efficiency of the agricultu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폐금속광산 주변 논토양을 대상으로 벼를 식재한 담수형 컬럼을 조성하여 안정화처리 유무 및 심도에 따른 토양용액 내 오염원의 용출특성과 안정화층토양 내 오염원 분획특성을 검토하여 담수조건, 즉 환원환경변화에 따른 오염원 특성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농작물(쌀)로의 전이량을 검토를 통해 안정화 효율을 검증하였다.
  • 또한 최종적으로 농작물(쌀)로의 전이량을 검토를 통해 안정화 효율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상시 담수상태로 이용되는 논토양에서의 안정화 효율 검토인자로서 식물체 전이량 외에 토양용액이나 오염원 분획특성 분석결과의 활용가능여부를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토양용액 모니터링 결과 나타난 대조구(control)에서의 철(Fe)농도 증가경향과 환원상태에서 토양미생물이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철(Fe)의 형태가 주로 비결정질 산화물임(Wahid and Kamalam, 1993)을 고려하면, 안정화층 내비결정질 철산화물(amorphous Fe oxides)로 존재하는 비소(As)의 분포비율은 pH 증가로 인한 철(Fe)의 침전효과로 인해 대조구(control)에 비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즉, 대조구(control)에서는 비결정질 산화물 형태의 철(Fe)이 미생물에 의해 환원되어 용출되는 경향이 안정화제가 적용된 조건보다 높다고 가정할 수 있다. 본 시험에서도 안정화 처리조건에서 비결정질(amorphous)과 결정질(crystalline) 형태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용액 분석결과 나타난 pH는 안정화제 처리유무에 상관없이 컬럼상층에서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본 층에서의 산화환원전위는 급격한 감소를 보인 이유는 무엇인가? 토양용액(soil solution) 분석결과 나타난 pH는 안정화제 처리유무에 상관없이 컬럼상층에서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본 층에서의 산화환원전위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심부토양(컬럼하층)에 비해 표토층(컬럼상층)의 이화학적 특성이 토양미생물 번식에 유리한 환경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환원성 중금속인 철(Fe)과 망간(Mn)은 안정화제 처리를 하지 않은 컬럼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광산폐기물의 수계유입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광미나 풍화된 광폐석 입자의 비산 또는 수계유입으로 인해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주변지역으로 확산이 될 수 있다. 광산폐기물의 수계유입은 확산의 속도측면에서 토양오염의 영향이 높은데, 갱내수와 마찬가지로 오염물질을 함유한 수계가 농경지의 농업용수로 활용될 경우 농경지의 오염은 가속화된다. 특히, 농경지는 중금속과 같은 무기오염물질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토양오염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무기오염원의 주요 배출원으로 무엇이 있는가? 과다한 농약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오염을 직접적인 영향으로 본다면, 농경지 주변의 화학공장이나 광산 등에 의한 영향은 간접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농경지 주변 광산은 무기오염원의 주요 배출원으로서 환경학적인 영향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과거 광산활동으로 인해 발생된 광미 및 광폐석이나, 광산 폐쇄 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갱내수는 비소(As)나 중금속 등이 고농도로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rady, N.C. and Weil, R.R., 1996,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Prentice-Hall, Inc., 618 p. 

  2. Chae, J.C., 2012, Science of Rice Production, Hyangmunsa, 70 p. 

  3. Cho, H.J., Jo, I.S., Hyun, B.K., and Shin, J.S., 1995, Effects of different tillage practices on chang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direct seeding rice, Korean J. Soil Sci. Fert., 28(4), 301-305. 

  4. Cox, P.A., 1995, The Elements on Earth,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New York, Tokyo, 110 p. 

  5. Evanko, C.R. and Dzombak, D.A., 1997, Remediation of Metals-Contaminated Soils and Groundwater, GWRTAC Technology Evaluation Report, 28 p. 

  6. Gwon, S.G., Kim, B.Y., Kim, J.S., Kim, T.C., Yun, C.G., Jung, J.C., and Hong, S.G., 1998, Agricultural Engineering, Hyangmunsa, 231-232 p. 

  7. Han, H.J., Kim, J.Y., Lee, B.T., Kim, K.W., Kim, Y.S., and Lee, J.S., 2013,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wo sequential extraction methods for arsenic fractionations in the soil, J. KSMER, 50(1), 35-43. 

  8. James, V., Bothe, Jr., and Paul, W.B., 1999, Arsenic immobilization by calcium arsenate formation, Environ. Sci. Technol., 33, 3806-3811. 

  9. Kim, G.H., Kim, K.Y., Kim, J.G., Sa, D.M., Seo, J.S., Son, B.G., Yang, J.E., Eom, K.C., Lee, S.E., Jeong, G.Y., Jeong, D.Y., Jeong, Y.T., Jeong, J.B., and Hyun, H.N., 2009, Soil Science, Hyangmunsa, 222 p. 

  10. Kim, G.R., Park, J.S., Kim, M.S., Gu, N.I., Lee, S.H., Lee, J.S., Kim, S.C., Yang, J.E., and Kim, J.G., 2010, Changes in Heavy Metal Phytoavailability by Application of Immobilizing Agents and Soil Cover in the Upland Soil Nearby Abandoned Mining Area and Subsequent Metal Uptake by Red Pepper, Korean J. Soil Sci. Fert., 43(6), 864-871. 

  11. Kim, M.S., Koo, N.I., Kim, J.G., Yang, J.E., Lee, J.S., and Bak, G.I., 2012, Effects of soil amendments on the early growth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of Brassica campestris ssp. Chinensis Jusl. in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Korean J. Soil Sci. Fert., 45(6), 961-967. 

  12. Kim, J.Y., Davis, A.P., and Kim, K.W., 2003, Stabilization of Available Arsenic in Highy Contaminated Mine Tailings Using Iron, Environ. Sci. Technol,. 37, 189-195. 

  13. KM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Korea standard methods for soil analysis. 

  14. Koh, I.H., Lee, S.H., Lee, W.S., and Chang, Y.Y., 2013, Assessment on the transition of arsenic and heavy metal from soil to plant according to stabilization process using limestone and steelmaking slag, J. Soil Groundw. Environ., 18(7), 63-72. 

  15. Kumpiene, J., Lagerkvist, A., and Maurice, C., 2008, Stabilization of As, Cr, Cu, Pb and Zn in soil using amendments - A review, Waste Manage., 28, 215-225. 

  16. Lee, H.J. and Lee, M.H., 2012, Investigation of the rice plant transfer and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of copper and lead for the stabilization process with a pilot test, Econ. Environ. Geol., 45(3), 255-264. 

  17. Lee, M.H. and Jeon, J.H., 2010, Study for the Stabilization of Arsenic in the Farmland Soil by Using Steel Making Slag and Limestone, Econ. Environ. Geol., 43(4), 305-314. 

  18. Ko, M.S., Kim, J.Y., Bang, S.B., Lee, J.S., Ko, J.I., and Kim, K.W., 2010, An investigation of arsenic stabilization in contaminated soil in the vicinity of abandoned mine using various soil additives, J. Korean Soc. Geosyst. Eng., 47(6), 834-843. 

  19. Lee, J.S., Klinck, B.A., Moore, Y., and Chon, H.T., 2000,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Bioavailability of Toxic Elements around the Daduk Mine Area, Korea, Econ. Environ. Geol., 33(4), 273-282. 

  20. Li, X., Coles, B.J., Ramsey, M.H., and Thornton, I., 1995, Sequential extraction of soils for multielement analysis by ICP-AES, Chem. Geol., 124, 109-123. 

  21. Maier, R.M., Pepper, I.L., and Gerba, C.P., 2010, Environmental Microbiology (Song, H.G., Kwon, O.S., Kim, J.S., Oh, G.H., Lee, Y.O., and Jo, Y.C., Trans.), Elsevier Korea L.L.C and Kyobo Book Centre co., ltd., 55 p. 

  22. McLean, J.E. and Bledsoe, B.E., 1992, Ground Water Issue; Behavior of Metals in Soils, US EPA, EPA/540/S-92/018. 

  23. Meharg, A.A. and Zhao, F.J., 2012, Arsenic & Rice, Springer, Dordrecht, Heidelberg, London, New York, 74 p. 

  24.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Methods for soil and plant analysis. 

  25.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0, Chemical methods for soil analysis. 

  26. Oh, S.J., Kim, S.C., Kim, R.Y., OK, Y.S., Yun, H.S., Oh, S.M., Lee, J.S., and Yang, J.E., 2012, Change of bioavailability i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y chemical amendment, Korean J. Soil Sci. Fert., 45(6), 973-982. 

  27. O'Neill, P., 1990, Arsenic in 'Heavy Metals in Soils', Blackie, Glasgow, London, 94 p. 

  28. Pendias, A.K., 2011, Trace Elements in Soils and Plants, CRC Press, Boca Raton, London, New York, 285-286, 356 p. 

  29. Pierzynski, G.M., Sims, J.T., and Vance, G.F., 1994, Soils and Environmental Quality, CRC Press, Inc., Boca Raton, 230-231 p. 

  30. Son, J.H., Roh, H., Lee, S.Y., Kim, S.K., Kim, G.H., Park, J.K., Yang, J.K., and Chang, Y.Y., 2009, Stabiliz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Paddy Soils near Abandoned Mine with Steel Slag and CaO, J. Soil Groundw. Environ., 14(6), 78-86. 

  31. Sylvia, D.M., Fuhrmann, J.J., Hartel, P.G., and Zuberer, D.A., 2005,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Soil Microbiology (Shin, H.D., Choi, C.H., Kwon, O.S., Song, H.G., Yang, S.R., Oh, G.H., and Lee, E.S., Trans.), Pearson Education, Inc and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Co., 80 p. 

  32. Tessier, A., Campbell, P.G.C., and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Anal. Chem., 51(7), 844-851. 

  33. Wahid, P.A. and Kamalam, N.V., 1993, Reductive dissolution of crystalline and amorphous Fe(III) oxides by microorganisms in submerged soil, Biol Fertil Soils, 15, 144-148. 

  34. Wenzel, W.W., Kichbaumer, N., Prohaska, T., Stingeder, G., Lombi, E., and Adriano, D.C., 2001, Arsenic fractionation in soils using an improved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Analytica Chimica Acta, 436, 309-323. 

  35. Wu, Z., Ren, H., McGrath, S.P., Wu, P., and Zhao, F., 2011, Investigating the contribution of the phosphate transport pathway to arsenic accumulation in rice, Plant Physiol., 157, 498-508. 

  36. Yun, S.W., Kang, S.I., Jin, H.G., Kim, H.J., and Yu, C., 2011, Leaching characteristics of arsenic and heavy netals and stabilization effects of limestone and steel refining slag in a reducing environment of flooded paddy soil, J. Agric. Life Sci., 45(6), 251-2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