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인항공기 시장·기술·법제도 실태분석 및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Market, Technology and Legal System of the UAV and its Useful Policies 원문보기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v.30 no.2, 2015년, pp.373 - 401  

박철순 (미래창조과학부,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인항공기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 산업과 기술 수준은 선진국보다는 뒤처지는 상황이며 관련 법제도의 정비도 미흡한 실정에 놓여 있다. 그러나 무인항공기 기술이 출현한 지 오래되지 않아 격차가 크지 않고 특히 우리나라가 강한 면모를 보이는 ICT 분야와 연관성이 크다는 측면에서 무인항공기 분야는 전략적으로 육성할만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 관련 기술, 시장, 법제도 등의 현황 및 실태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정책적으로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무인항공기 기술이 발달하고 그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한 법체계의 조화와 정책적 대응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였다. 무인항공기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을 규제하는 법규의 중요성이 매우 큰 것이 사실이지만 한편으로 지나친 규제가 기술의 발달을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시장과 사회의 정체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특히 무인항공기와 같은 새롭고 유용한 기술 분야의 경우 관련 법과 제도를 신속하게 정립하고 정책적으로도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그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요컨대 무인항공기 산업 육성과 국민안전 및 사생활 보호를 동시에 도모하기 위해 규제 완화와 강화 사이의 적절한 수준의 제도 개선 및 정책적 지원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AV(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technology has been undergoing rapid progress, accompanied with a growth in the market. However, domestic industry standards and technology lag behind such progress happening on the international scene, and in particular in developed countries. Related regu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술이 출현한 지 오래되지 않아 격차가 크지 않고 특히 우리나라가 강한 면모를 보이는 ICT 분야와 연관성이 크다는 측면에서 전략적으로 선택과 집중을 할 만한 분야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 관련 기술, 시장, 법제도 등의 현황 및 실태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정책적으로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3) 이제 무인항공기 운용자들은 타인의 사생활 노출에 의한 정신적·신체적 충격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드론의 사전적 의미는? 2) 무인항공기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조종을 통해 비행하는 항공기를 말하는데3) 드론(Dron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4)드론의 사전적 의미로는 ‘벌이 왱왱거리는 소리’ 또는 ‘낮게 윙윙거리는 소리’이다. 우리나라 항공법(제2조)에서도 항공기에 조종사가 탑승하지 아니하고 원격조종 또는 자동으로 비행할 수 있는 항공기를 ‘무인항공기’로 정의하고 있다.
어떠한 측면에서 무인항공기 분야가 전략적으로 육성할만하다고 판단되는가? 무인항공기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 산업과 기술 수준은 선진국보다는 뒤처지는 상황이며 관련 법제도의 정비도 미흡한 실정에 놓여 있다. 그러나 무인항공기 기술이 출현한 지 오래되지 않아 격차가 크지 않고 특히 우리나라가 강한 면모를 보이는 ICT 분야와 연관성이 크다는 측면에서 무인항공기 분야는 전략적으로 육성할만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 관련 기술, 시장, 법제도 등의 현황 및 실태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정책적으로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무인항공기는 어떠한 산업적 특성을 가지는가? 무인항공기 산업은 그 특성상 기존의 항공기 산업과 많은 부분에서 특징을 공유5)하고 있는데 오히려 그 발전 속도와 파급효과가 더 클 수 있다.6) 이러한 산업적 특성을 기반으로 전세계적으로 무인항공기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 산업과 기술 수준은 선진국보다는 뒤처지는 상황이며 관련 법제도의 정비도 미흡한 실정에 놓여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선이, "무인항공기 결함에 대한 제조물책임의 적용 연구",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0권 제1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5년 6월. 

  2. 김선이, "무인항공기의 사생활 침해에 대한 법적 대응 : 미국 정책.입법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9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4년 12월. 

  3. 김성배, "한국적 전략 무인항공기 개념과 개발 방향", 항공산업연구 제64권, 세종대학교 항공산업연구소, 2003. 

  4. 김종복, "국내 상업용 민간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법제화 고찰",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8권 제1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3년 6월. 

  5. 김종복, "군용 무인항공기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공군 본부 '첨단무기 발전과 항공우주의 건설의 법적 쟁점 세미나' 발표자료(2011.11). 

  6. 김중수, "드론의 활용과 안전 확보를 위한 항공법상 법적 규제에 관한 고찰", 법학논총 제39권 제3호, 2015년 9월. 

  7. 김중욱.송복섭, "무인항공기(UAV) 산업에서의 IT융합", 정보과학회지 제31권 제1호, 2013년. 

  8. 신홍균, "무인항공기를 둘러싼 국제법상 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6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1년 12월. 

  9. 안효정 외, "민간 무인항공기시스템 인증체계 현황 및 관련 규정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42권 제10호,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10. 이영진, "무인항공기의 발전과 국제법적 쟁점",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6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1년 12월. 

  11. 이현동, "한국 드론산업은 저공비행", 한국경제, 2015년 11월 28일. 

  12. 채상우, "엄격한 규제, 꽃피기도 전에 저무는 국내 드론 산업", 이데일리, 2015년 6월 9일. 

  1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무인항공기의 활용현황 및 발전방안", 이슈리포트 2014-9호, 2014년 9월. 

  14. IRS Global, 창조경제 핵심사업으로 부상하는 드론(무인기) 관련 신사업 전략 모색을 위한 종합 분석, 2015년 2월. 

  15. Lee, Kang-Seok, Park Won-Tae and Im Kwang-Hyun, "A Study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Military UAV Rules in Korea",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8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3년 12월. 

  16. Teal Group Corporation, "Press Release: UAV Production will Total $93 Billion", 19 August 2015. 

  17. US Department of Defense, Unmanned Systems Integrated Roadmap FY2011-2036, 201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