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화재감지 및 소화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Fire Detector and Sprinkler Head in Apartment House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9 no.1, 2015년, pp.38 - 44  

이채원 (가천대학교 대학원 소방방재공학과) ,  손봉세 (가천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일반적으로 설치하는 열감지기와 스프링클러헤드의 작동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 대책을 제시한 연구이다. 2010년 인구주택 조사에 의하면, 공동주택은 전체 주거시설의 71.6%이며 최근 7년간 소방방재청의 화재통계 자료에 의하면, 매년 전체 화재의 약 25.0%, 인명피해는 46.4%가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에 대한 개선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화재원인과 특성을 파악하였고, 국내 공동주택의 대표적인 평형을 대상으로 가상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가상화재시뮬레이션의 시나리오는 기존 공동주택에 설치된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 최근에 설치가 요구되는 주거전용 스프링클러헤드와 연기감지기의 작동시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기존 공동주택에 설치된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는 감지 및 작동시간이 늦어 조기화재진압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주거전용 스프링클러헤드와 연기 열복합형감지기로 교체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공동주택 중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설치가 제외된 층에도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공동주택 안전관리의 효율화를 위하여 선진국과 같이 원격으로 주거공간의 소방시설을 점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ed the problems and their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fire detectors and sprinkler heads installed at apartment houses. According to a census on population and housing in 2010, apartment houses account for 71.6% of the total housing facilities. And by fire statist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공동주택의 화재 통계자료 분석, 가상화재시뮬레이션, 화재시스템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 확보에 필요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면적 660 m2를 초과하고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개 이상인 주택 중 소방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스프링클러소화설비가 설치대상인 아파트를 중심으로 화재안전성능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기존의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는 어떤 조치가 필요한가? 가상화재시뮬레이션의 시나리오는 기존 공동주택에 설치된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 최근에 설치가 요구되는 주거전용 스프링클러헤드와 연기감지기의 작동시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기존 공동주택에 설치된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는 감지 및 작동시간이 늦어 조기화재진압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주거전용 스프링클러헤드와 연기 열복합형감지기로 교체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공동주택 중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설치가 제외된 층에도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
가상화재시뮬레이션의 시나리오는 무엇으로 선정했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에 대한 개선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화재원인과 특성을 파악하였고, 국내 공동주택의 대표적인 평형을 대상으로 가상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가상화재시뮬레이션의 시나리오는 기존 공동주택에 설치된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 최근에 설치가 요구되는 주거전용 스프링클러헤드와 연기감지기의 작동시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기존 공동주택에 설치된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는 감지 및 작동시간이 늦어 조기화재진압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주거전용 스프링클러헤드와 연기 열복합형감지기로 교체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ousing Act" (2014).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uilding Act Enforcement Decree" (2014).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adastral Statistical Annual Report" (2013). 

  4. The Financial News, 'Shen-zhen' city of apartment,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0050279 (2003). 

  5.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ational Fire Data System", http://nfds.go.kr/fr_pos_0001.jsf (2014). 

  6. Korea Consumer Agency, "Case Analysis of Electric Pad Accident in 2012", http://www.kca.go.kr/brd/m_32/view.do?seq1535&multi_itm_seq4 (2013). 

  7. Korean Fire Protection Association (KFPA), "Analyze Special Building Fire", http://www.kfpa.or.kr/data/pdf/02_02/02_2013_01.pdf, p.32 (2013). 

  8. H. S. Jo, "Performance Based Design 1", pp. 226-246 (2006). 

  9. Y. G. Kwon, B. S. Son, H. P. Lee and D. M. Lee, "The Mechanics of Fire for PBD" (2012). 

  10. Statistics Korea,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0). 

  11.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GSA) and performed at Building and Fire Research Laboratory (BFRL)" (1991).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enter for Underground fire and Environment research), "Underground Fire and Environment Research Report" (2008). 

  13.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NFPA 72 : National Fire Alarm and Signaling Code"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