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흉곽확장저항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흉곽가동범위와 최대흡기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st Expansion Resistance Exercise on Chest Expansion and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0 no.1, 2015년, pp.15 - 21  

김창범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최종덕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chest expansion resistance exercise (CERE) and breathing retraining (BRT) on stroke patients' chest expansion and maximal inspiratory pressure(MIP), thereby intending to present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enhancing their respiratory functions.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BRT와 CERE가 뇌졸중 환자의 흉곽확장과 MIP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여,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호흡기능 증진을 목적으로 중재 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CERE와 BRT가 흉곽확장과 MIP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저하는 일반적인 증상이며, 그에 따른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지만 임상에서는 간과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기반으로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증진을 위한 중재를 시행할 때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CERE군과 BRT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CERE군이 BRT군에 비하여 더 큰 향상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흡근의 근력과 흉곽확장 정도가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증명하는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인 편마비 뇌졸중 환자들은 마비측의늑간근, 복부근육과 횡경막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약화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Przedborski등, 1988; Sutbeyaz, 2010), 가벼운 운동 중에도 가쁜 숨을 쉬며, 정상적이지 못한 호흡 패턴을 가지고 있다(Nebahat등, 2004). 더불어 호흡근의 기능부전과 운동장애점수(motor disability scores)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고 증명되었다(Khedr등, 2000).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호흡근의 근력과 흉곽확장 정도가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증명해 주었으며, 흉곽확장의 증가는 호흡기능이 향상되었음을 반증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감소의 주요 원인은? Teixeira-Salmela등(2005)은 동일한 연령대의 정상인에 비하여 뇌졸중 환자들의 호흡근력과 하복부 활동력의 감소를 보인다고 하였다.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감소는 손상 초기 6개월 동안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그 이후로 운동 손상의 정도에 따라 심각한 기능 감소를 보이며, 이러한 호흡기능의 주요 원인은 근약화, 저긴장성, 그리고 체간근의비협응으로 인한 흉곽확장의 운동제한이다(Annoni등, 1990).또한 흉곽가동범위의 감소로 인하여 폐의 탄력성 역시 제한되며, 그로 인해 호흡기능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Fugl-Meyer 등, 1983).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국소부위 폐쇄 또는 출혈에 의하여발생되며, 인지장애, 언어장애, 감각장애, 운동장애 등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를 발생시키는 질환 중 하나이다 (Mercier 등, 2001). 뇌졸중 환자들은 움직임 감소와 비대칭적 신체정렬 등의 이유로 폐용량 및 흉곽의 움직임 감소 등이 발생하며, 그 결과로 인하여 원활한 산소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활동 시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기 힘들어진다(O’Sullivan와 Schmitz,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dler S, Dominiek B, Math B. PNF in practice(4th ed). Heidelberg. Springer. 2014. 

  2. Annoni JM, Ackermann D, Kesselring J. Respiratory function in chronic hemiplegia. IntDisabil Stud. 1990;12:78-80. 

  3. Celli BR. The clinical use of upper extremity exercise.Clin Chest Med. 1994;15:339-47. 

  4. Fugl-Meyer AR, Linderholm H, Wilson AF. Restrictive ventilatory dysfunction in stroke: its relation to locomotor function. Scand JRehabil Med Suppl. 1983;9:118-24. 

  5. Hauge BN. Diaphragmatic movement and spirometric volume in patients with ankylosingspondilitis.Scandinavian Journal of Respiratory Diseases.Scand J Respir Dis. 1973;54(1):38-44. 

  6. Jennifer A, Prasad SA. Physiotherapy for respiratory and cardiac problems(4th ed). England. Elsevier.2008. 

  7. Jones A, Dean E, Chow C. Comparison of the oxygen cost of breathing exercise and apontaneous breathing in patients with stable COPD. Physical therapy. 2003;83(5):424-31. 

  8. Khedr E, Shinawy O, Khedr T, et al. Assesment of corticodiaphragmatic pathway and pulmonary function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Eur J Neurol. 2000;7:509-16. 

  9. Lanza FC, Camargo AA, Archija LR, et al. Chest Wall Mobility Is Related to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Lung Volumes in Healthy Subjects. Respir Care. 2013;58(12):2107-12. 

  10. Leelarungrayub D, Pothongsunun P, Yankai A, et al. Acute clinical benefits of chest wall-stretching exercise on expired tidal volume, dyspnea and chest expansion in a patient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ingle case study. J BodywMovTher. 2009;13(4):338-43. 

  11. Mercier L, Audet T, Hebert R, et al. 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2001;32(11):2602-08. 

  12. NebahatSezer, NiluferKutay, OrduSerap, et al. Cardiopulmonary and metabolic responses to maximum exercise and aerobic capacity in hemiplegic patients. Funct Neurol. 2004;19(4): 233-8. 

  13. O'Sullivan SB, Schmitz TJ. Physical Rehabilitation(5th ed). Philadelphia.F.A. Davis. 2007. 

  14. Ozgocmen S, Ardicoglu O. Reduced chest expansion in primary fibromyalgia syndrome. YonseiMed J. 1999;40:90-1. 

  15. Przedborski S, Brunko E, Hubert M, et al. The effect of acute hemiplegia on intercostal muscle activity.Neurology. 1988;38:1882-4. 

  16. Roth EJ, Noll SF. Stroke rehabilitation. 2. Comorbidities and complications. Arch Phys Med Rehabil. 1994;75:S42-6. 

  17. Seo KC, Cho MS.The Effects on the Pulmonary Function of Normal Adult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Respiration Pattern Exercise. J PhysTher Sci. 2014;26: 1579-82. 

  18. Susan E, Bockenhauer DO, Haifan Chen DO, et al. Measuring Thoracic Excursion: Reliability of the Cloth Tape Measure Technique. JAOA. 2007;107: 191-5. 

  19. Sutbeyaz ST, Koseoglu F, Inan L, et al.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mproves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tolerance in subjec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Rehabil. 2010;24(3):240-50. 

  20. Teixeira-Salmela LF, Parreira VF, Britto RR, et al. Respiratory pressures and thoracoabdominal motion in community-dwelling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1974-78. 

  21. Troosters T, Casaburi R, Gosselink R, et al.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Crit Care Med. 2005;172:19-38. 

  22. Voss DE, Ionta MK, Meyers BJ.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s and Techniques. Philadelphia. Harper & Row.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