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밸런스 패드와 모래에서의 균형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balance pad and sand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1 no.1, 2016년, pp.45 - 52  

송귀빈 (영남이공대학교 물리치료과) ,  박은초 (대구대학교대학원 재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balance pad and sand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METHODS: Sixty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Balance Pad group(BPG, N = 20), a Sand group (SG, N = 20) and a Hard Ground group (HGG, N =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밸런스 패드와 모래지면과 같은 불안정한 지면을 활용한 다양한 체성감각의 입력과 고유수용성감각기 자극이 균형능력과 보행능력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불안정면을 제공하는 도구인 밸런스 패드와 모래지면의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불안정한 지면을 활용한 다양한 체성감각의 입력과 고유수용 성감각기 자극이 균형능력과 보행능력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불안정면을 제공하는 도구인 밸런스 패드와 모래지면의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밸런스 패드, 모래 그리고 단단한 지면에서 균형 운동을 실시한 후 세 군에서 균형능력과 보행 능력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대칭적 자세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뇌졸중 발병 후 가장 일반적인 특징인 운동성의 감소는 좌우 불균형을 초래하고 비대칭적인 자세를 갖게한다. 그리고, 비대칭적 자세는 중심을 유지하는 능력을 감소시키고, 정위반응, 평형반응에 영향을 주어 자세조절능력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Ikai et al, 2003). 이러한 균형 및 자세조절의 어려움은 이동 능력의 결함, 섬세한 상지 기능 수행에 방해를 가져오고 보행과 일상생활에 장애를 주게 된다(Carr와 Shepherd, 1985).
뇌졸중 발병 후 가장 일반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뇌졸중 발병 후 가장 일반적인 특징인 운동성의 감소는 좌우 불균형을 초래하고 비대칭적인 자세를 갖게한다. 그리고, 비대칭적 자세는 중심을 유지하는 능력을 감소시키고, 정위반응, 평형반응에 영향을 주어 자세조절능력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Ikai et al, 2003).
최근 불안정면 제공 도구로 사용되는 것과 장점은 무엇인가? 주로 이용되고 있는 불안정면 제공 도구로는 슬링, 발란스보드, 평균대, 스위스 볼, 흔들림 경사판이 이용되고 있다(Cho, 2011). 또한 최근 불안정면을 제공하는 도구로 모래지면이 이용되고 있는데, 모래지면은 보행 매트와 같이 불안정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다른 도구들과는 달리 보다 넓고 다양하며 연속적인 불안정한 지지면을 제공함으로써 하지의 근 활성도 및 균형능력의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낙상 시 충격을 완화 할 수 있어 낙상에 의한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고 매우 유동적이고 가변적이기 때문에 정해진 형태를 갖고 있지 않아서 인체의 체성감각에 다양한 자극을 제공한다(Kwak, 2003). 이러한 모래지면의 특성은 불안정한 지지면으로 활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하였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WH, Jeong MK, Kim CK. The Training Effect of Balance Pad in Strok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8; 32(2): 803-11. 

  2. Anderson K, Behm DG. Trunk muscle activity increases with unstable squat movements. Can J Appl Physiol. 2005;30(1): 33-45. 

  3. Bae SC, Kim KJ, Yoon HI. The Effects of the Balancing Training on the Unstable Surface for the CVA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aedic manual therapy. 2001; 7(2): 5-22. 

  4. Bang DH, Shin WS, Noh HJ, et al. Effect of unstable surface training on walking ability in stroke patients. J Phys Ther Sci. 2014; 26(11): 1689-91. 

  5. Bayouk JF, Boucher JP, Leroux A. Balance training following stroke: effects of fask-oriented exercise with and without altered sensory input.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06; 29(1): 51-9. 

  6. Berg KO, Wood-Dauphinee SL, Williams JI.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y Canada. 1989; 41(6):304-11. 

  7. Berg KO, Maki BE, Williams JI.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on, Arch Phy Med Rehabil. 1992; 73(11): 1073-80. 

  8. Berg KO, Wood-Dauphinee SL., Wil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5; 27(1): 27-36. 

  9. Carr JH. Shepherd RB.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1985; 65: 175-80. 

  10. Carter JM, Beam WC, McMahan SG, et al. The effects of stability balltraining on spinal stability in Sedentary individuals. J Strength Cond Res. 2006; 20(2): 429-35. 

  11. Cheng PT, Wu SH, Liau MY, et al.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its effect on fall preven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2): 1650-54 

  12. Cho MJ. Do unstable surface facilitate proprioception input?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analysis study. Master's Degree.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1. 

  13. Franklin DW, Osu R, Burdet E, et al. Adaptation to stable and unstable dynamics achieved by combined impedance control and inverse dynamics model. J Neuro physiol. 2003; 90(5): 3270-82. 

  14. Granacher U, Gollhofer A, Strass D. Training induced adaptations in characteristics of postural reflexes in elderly men. Gait Posture. 2006; 24(4): 459-66. 

  15. Gruber M, Gollhofer A.(2004). Impact of sensorimotor training on the rate of force development and neural activation. Eur J Appl Physiol. 2004; 92(1-2): 98-105. 

  16. Ikai T, Kamikubo T, Takenhara I. Dynamic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 J Phys Med Rehabil. 2003; 82: 463-69. 

  17. Jang YS, Baek JY, Oh MH, et al. The Effect of Dual Task Performance on the Trunk Control Ability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12; 16(2): 311-31. 

  18. Jeong TG. The Effects of Sensorimotor Training on Balance and Muscle Activation During Gait in Older Adults. Master's Degree. Eulji University. 2009. 

  19. Jung KS. Effects of the Weight Shifting Training on an Unstable Surface on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Balance, and Proprioception in the Persons with Stroke. Master's Degree. Sahmyook University, 2009. 

  20. Kim MC, Han SK, Oh HJ.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y by a Kind of Ground During Balance Exerci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 13(10): 4598-4603. 

  21. Kwak HS. A case study of the application of sand-box play therapy on children with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 Master's Degre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3. 

  22. Lee JY, Kim YS, Kim JS, et al. The Effects of Balance in Stroke Patients after Exercise. Journal of Rehabilitation Science. 2010; 28: 27-38 

  23. Lee KJ, Lee SW, Lee SW, et al. The Effect of Low Extremity Strengthening Enhanced Gait Mat Training on Unstable Surface on Gait Parameter and Low Extremity Strength in elderl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1; 50(4):419-35. 

  24. Nashner LM, McCollum G. The Organization of human postural movements: A formal basis and experimental synthesis. Behar Brain Sci. 1985; 8(1): 135-50 

  25. Park YH, Kim YM, Lee BH. An Ankle Proprioceptive Control Program Improves Balance, Gait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J Phys Ther Sci. 2013; 25(10): 1321-4. 

  26. Sackley CM, Baguly BI.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with balance performance monitor: two single case studies. Clinical Rehabilitation. 1993; 7: 189-95. 

  27.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3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28. Smania N, Picelli A, Gandolfi M, et al. Rehabilitation of sensorimotor integration deficits in balance impairment of patients with stroke hemiparesis: a before/after pilot study. Neurol Sci. 2008; 29(5):313-9. 

  29. Taube W, Gruber M, Beck S, et al. Cortical and spinal adaptations induced by balance training: Correlation between stance stability and corticospinal activation. Acta Physiol. 2007; 189(4):347-58. 

  30. Tung FL, Yang YR, Lee CC, et al. Balance outcomes after additional sit-to-stand training in subjects with stroke: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0;24(6):533-542. 

  31. Van Uden CJ, Besser, MP. Test-retest reliability of temporaland spatial gait characteristics measured with an instrumented walk way system (GAITRite). BMC Musculoskelet Disord. 2004: 5: 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