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MZ 주변 훼손지의 생태복원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Degraded Environments Near DMZ in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1, 2015년, pp.135 - 151  

이상훈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이상혁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이솔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최재용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MZ is considered as an ecologically sensitive landscape and one of the highest biodiversity reg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re have been, albeit the significant value, increased interests in developing this region for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tourism and commemorative events. As this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토양환경, 식물 생장, 생육환경 및 경관의 자연성 등과 더불어 복원 재료도 친환경적인 자재와 자생 식물종이 이용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DMZ 주변 훼손지의 생태복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복원지의 생태적 건강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훼손지의 토양, 식생과 생육지 및 경관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인자이면서, 실무자가 현장에서 손쉽게 평가할 수 있는 인자를 평가지표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우선순위가 낮게 평가된 항목들에 대해서도 평가의 중요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채택을 하였다. 복원가능성(rehabilitation probability) 의 평가는 복원사업을 수행하기 이전에 실시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판단되어 복원사업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 목적인 본 연구의 최종 결과물에서는 배제시키는 것으로 정하였다.
  • 본 연구는 DMZ 주변 훼손지의 생태복원을 실효성 있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기존의 복원사업들은 외형적인 부분의 복구를 위주로 복원의 성패를 평가하고 있어서 생태적인 가치가 높고 특수성이 인정되는 지역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생태적이고 경관생태적인 측면에서의 평가요소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 지표의 예로 비탈면 녹화공법 평가지표 (MLTMA, 2009)를 들 수 있다. 이 평가표는 국토해양부에서 2009년 개발된 지표로 현장 시험 시공을 통하여 그 현장에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되는 지표들은 도로 비탈면 녹화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평가대상이 식생과 토양에만 한정되어 있고, 평가에 대한 기준이 과학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태복원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에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DMZ 주변 훼손지의 생태복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복원지의 생태적 건강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훼손지의 토양, 식생과 생육지 및 경관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인자이면서, 실무자가 현장에서 손쉽게 평가할 수 있는 인자를 평가지표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MZ 주변은 훼손이 많이 되어 있는데, 이 지역의 모니터링 및 관리의 한계는? , 2009). 해당지역의 특성상 접근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훼손지나 복원사업지의 중장기 모니터링이 제한되어 관련 자료의 객관화 및 정량화에 어려움이 있고, 세부적인 훼손 현황 파악과 복원 사업의 체계적인 관리 방안 마련에도 한계가 있다(Kim et al., 2010).
우리나라 산림지역 복원사업 결과가 모두 성공적이지 않았던 이유는? 생태복원보다 좀 더 일반적인 산림지역 복원사업의 경우, 비탈면 복원, 식생 복원, 백두대간 생태축 연결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 걸쳐서 시행되고 있지만, 모든 결과가 성공적이지는 않았다. 그 이유로는 독립적인 복원 사업의 시행과 주변으로부터의 지속적인 훼손 및 오염과 같은 사업 설계에서의 한계점도 있지만, 생태계 유형간 상호 연계성이나 산림파편화, 서식처의 기능과 다양성 등에 대한 고려를 하지 못해 완전한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복원 환경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You et al., 2009; Kim et al.
외국에서 생태복원사업 평가 방법으로 사용하는 서식지 평가절차의 문제점은? 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등에서 생태복원사업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식지 평가절차(Habitat Evaluation Procedure, HEP) (Schamberger & Krohn, 1982)는 생태복원을 서식지 중심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인근 지역 개발 가능성이나 경관의 연결성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생태복원의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Ro,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adshaw A. D. and J. Chadwick. 1980. The restoration of land. Oxford: Blackwell. 

  2. Bradshaw A. D. 1984. Ecological principles and land reclamation practice. Landscape Planning, 11: 35-48. 

  3. Choi SR and Park EJ. 2010. Research on estimating the conservation values of major resources in the Korean DMZ and its vicinity.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 Gyeonggi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4. Choo KY. 2007. The role of the local community for the value, conservation and rationale management of DMZ, A series of DMZ: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future task. Seoul: DMZ Peace Forum, Saengtaejipyeong. (in Korean) 

  5. KEI. 2009. Research on Fundamental Scheme for establishing DMZ Eco.Peace Park to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6. Ki K and Kim J. 2012. Monitoring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nge for four years (2007-2010) after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Nakdonggang(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5): 707-718. (in Korean) 

  7. Kim CH.Kim KG.Choi YE.Kim SS and Shin JR. 2010. Study of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DMZ area - Focusing on the Donghae Bukbu Lin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6): 63-74. (in Korean) 

  8. Kim IH.Ahn DM.Lee JY.Kim CK and Kim SJ.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munity involvement program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Baekdudaegan - pilot project of alpine vegetable garden in Anbandaegi, Gangneung. Proceeding of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p. 39-45. (in Korean) 

  9. Kim GG and Cho DK. 2004. The principles of natural environment & ecological restoration. Seoul: Academybook. pp. 63. (in Korean) 

  10. KTO. 2008. Plan for utilizing Peace & Life Zone as tourism resource to Korea Tourism Organization(KTO). (in Korean) 

  11. Lee HY.Ban SH and Oh CH. 2009.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ized plant ratio in Civilian Control Zone. Proceeding of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1): 84-86. (in Korean) 

  12. ME. 2009.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undamental strategy for constructing DMZ Eco and Peace Park to Ministry of Environment(ME). (in Korean) 

  13. MLTMA. 2009. Engineering instructions on the greening system for road-slope to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A). (in Korea) 

  14. MSPA. 2011. Integrated development plan for the border area to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MSPA). (in Korean) 

  15. NIER. 2012. Ecological survey near DMZ -Ecological survey over the northern region of Civilian Control Line to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16. Ro BH. 2010. How to evaluate the success of ecological restoration? - Focussing on goal setting and habitat evaluation, Environment Forum, 14(10): 1-8. (in Korean) 

  17. SER. 2004. Science and Policy Working Group,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SER). Restoration & Management Notes, 16: 46-50. 

  18. Schamberger M. and W. B. Krohn. 1982. Status of the habitat evaluation procedures. US Fish & Wildlife Servicem, US Fish & WIldlife Publications,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19. Shin H?Yi M?Lee C?Sung J?Kim K?KwonY?Kim S?An J?Heo T and Yoon J. 2014.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ational DMZ Native Botanic Garden.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7(4): 293-308. (in Korean) 

  20. Sohn KW. 2009. Peaceful approach to the use of DMZ - Critical review and practical promotion plan to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Chuncheon. (in Korean) 

  21. You B.Jeon G.Shim J and Jang H. 2009. Application on environment-friendly vegetation countermeasures in expressway. Korean Geo-Environmental Conference 2009, p. 58-6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