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영양섭취상태 및 정신건강상태: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 Adults depending on Household Food Security: Based on the 2008-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0 no.1, 2015년, pp.30 - 40  

양윤정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food security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older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2008-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들 연구는 대부분 아동, 청소년, 성인, 출산 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노인 대상의 연구는 적었으며, 국내에서 식품안정성에 따른 정신건강상태를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식품 및 영양소 섭취상태, 정신건강상태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4,451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정성에 따른 인구 사회학적 특성, 식품 및 영양소 섭취상태 및 정신건강상태를 살펴보았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가구 내 식품안정성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에 따라 식품안정성군을 분류하였을 때, 식품확보가 안정한 secure군은 1,418명(31.
  • 본 연구는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식품안정성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과 정신건강상태를 살펴보았다. 대상자의 식품안정성은 미국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II(NHANES III)에서 사용된 가구 내 식품 불충분 조사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secure, mildly insecure, moderately insecure, severely insecure군의 비율은 각각 3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기준 전체 노인 중 빈곤선 미만에 있는 노인은 몇%인가? 8%로 예측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4). 전체 노인 중 빈곤선 미만에 있는 노인의 비율이 2011년 48.8%로(Kim 등 2012)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빈곤 노인의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4,451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정성에 따른 인구 사회학적 특성, 식품 및 영양소 섭취상태 및 정신건강상태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4,451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정성에 따른 인구 사회학적 특성, 식품 및 영양소 섭취상태 및 정신건강상태를 살펴보았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가구 내 식품안정성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에 따라 식품안정성군을 분류하였을 때, 식품확보가 안정한 secure군은 1,418명(31.9%), mildly insecure군은 2,396명(53.8%), moderately insecure군은 488명(11.0%), severely insecure군은 149명(3.3%)이었다.
식품안정성은 무엇인가? 식품안정성은 ‘모든 사람들이 활기차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그들의 식이 필요량과 식품 선호도를 만족시킬수 있는 충분하고 안전한 영양가 있는 식품을 사회심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법으로 항상 확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in the United Nations 2002; Wunderlich & Norwood 2006; Kim 등 2008).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빠른 경제발전으로 인해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영양섭취가 향상되어 왔으나, 여전히 소득 계층에 따라 식생활이 양적, 질적으로 차이를 보이며, 특히 노인에서 식품불안정성의 비율이 다른 생애주기 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Shim 등 2008; Kim 등 2009; Jung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aimo K, Briefel RR, Frongillo EA, Olson CM (1998): Food insufficiency exist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Am J Public Health 88(3): 419-426 

  2. Berkowitz SA, Gao X, Tucker KL (2014): Food-insecure dietary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poor longitudinal glycemic control in diabetes: results from the Boston Puerto Rican Health study. Diabetes Care 37(9): 2587-2592 

  3. Carter KN, Kruse K, Blakely T, Collings S (2011): The association of food security with psychological distress in New Zealand and any gender differences. Soc Sci Med 72(9): 1463-1471 

  4. Chinnakali P, Upadhyay RP, Shokeen D, Singh K, Kaur M, Singh AK, Goswami A, Yadav K, Pandav CS (2014): Prevalence of household-level food insecurity and its determinants in an urban resettlement colony in north India. J Health Popul Nutr 32(2):227-236 

  5. Dewing S, Tomlinson M, le Roux IM, Chopra M, Tsai AC (2013): Food insecurity and its association with co-occurring postnatal depression, hazardous drinking, and suicidality among women in peri-urban South Africa. J Affect Disord 150(2): 460-465 

  6. Dixon LB, Winkleby MA, Radimer KL (2001): Dietary intakes and serum nutrients differ between adults from food-insufficient and food-sufficient families: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J Nutr 131(4): 1232-1246 

  7. Drewnowski A, Darmon N (2005): Food choices and diet costs: an economic analysis. J Nutr 135(4): 900-904 

  8. Facchini LA, Nunes BP, Motta JV, Tomasi E, Silva SM, Thume E, Silveira DS, Siqueira FV, Dilelio AS, Saes MO, Miranda VIA, Volz PM, Osorio A, Fassa AG (2014): Food insecurity in the Northeast and South of Brazil: magnitude, associated factors, and per capita income patterns for reducing inequities. Cad Saude Publica 30(1): 161-174 

  9.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in the United Nations (2002):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01,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in the United Nations, Rome, pp.2-12 

  10. Franklin B, Jones A, Love D, Puckett S, Macklin J, White-Means S (2012): Exploring mediators of food insecurity and obesity: a review of recent literature. J Community Health 37(1): 253-264 

  11. Frongillo EA (1999): Validation of measures of food insecurity and hunger. J Nutr 129(2): 506S-509S 

  12. Hong SA, Kim K (2014): Factors contributing to participation in food assistance programs in the elderly population. Nutr Res Pract 8(4): 425-431 

  13. Jung SH (2011): The Korean development strategy: Trajectories of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 1961-2010. J Econ Geographical Soc 14(4): 453-466 

  14. Kendall A, Olson CM, Frongillo EA (1996): Relationship of hunger and food insecurity to food availability and consumption. J Am Diet Assoc 96(10): 1019-1024 

  15. Kim K, Hong SA, Kim MK (2008): Nutritional status and food insufficiency of Korean population through the life-course by education level based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41(7): 667-681 

  16. Kim K, Hong SA, Kwon SO, Oh SY (2011): Development of food security measures for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4(6): 551-561 

  17. Kim K, Kim MK, Shin YJ (2008):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food security. J Prev Med Public Health 41(6): 387-396 

  18. Kim K, Kim MK, Shin YJ (2009):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Health Soc Welf Rev 29(2): 268-292 

  19. Kim MK, Kim TW, Woo SH, Lee SH (2012): Poverty statistics yearbook, Korea Institute Health and Social Affairs, Sejong, pp.85-91 

  20. Kwon SO, Oh SY (2007): Associations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 measure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low income elderly. Korean J Nutr 40(8): 762-768 

  21. Lee JS, Frongillo EA (2001a): Factors associated with food insecurity among U.S. elderly persons: importance of functional impairment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56(2): S94-S99 

  22. Lee JS, Frongillo EA (2001b): Nutritional and health consequences are associated with food insecurity among U.S. elderly persons. J Nutr 131(5): 1503-1509 

  23. McIntyre L, Williams JV, Lavorato DH, Patten S (2013):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in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are an outcome of child hunger. J Affect Disord 150(1): 123-129 

  24. Monsivais P, Drewnowski A (2007): The rising cost of low-energy-density foods. J Am Diet Assoc 107(12): 2071-2076 

  25. Payab M, Motlagh AR, Eshraghian M, Rostami R, Siassi F (2014): The association of family food security and depression in mothers having primary school children in Ray-Iran. J Diabetes Metab Disord 13(1):65 

  26. Seligman HK, Bindman AB, Vittinghoff E, Kanaya AM, Kushel MB (2007):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diabetes mellitus: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1999-2002. J Gen Intern Med 22(7): 1018-1023 

  27. Seligman HK, Laraia BA, Kushel MB (2010):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among low-income NHANES participants. J Nutr 140(2): 304-310 

  28. Shim JS, Oh K, Nam CM (2008): Association of household food security with dietary intake-Based on the third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II). Korean J Nutr 41(2): 2288-3886 

  29. Statistics Korea (201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opulation.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 [cited December 15, 2014] 

  3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p25-419 

  31. Wunderlich GS, Norwood JL (2006): Food insecurity and hunger in the United States: An assessment of the measure. Panel to Review U.S. Department of Agriculture's Measurement of Food Insecurity and Hunger,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pp.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