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과 식행동 및 나트륨 급원식품 섭취빈도 조사
Survey on Nutrition Knowledge, Food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of Sodium Intake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1, 2015년, pp.12 - 19  

박희옥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명선 (가천대학교 글로벌헬스케어경영학과) ,  손춘영 (동남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proper dietary behaviors and improving sodium intake status by investigating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s, and food intake frequency related to sodium in 398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Gyeonggi-do and Incheon. Female students sh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의 대학생들은 불규칙한 식사와 가공식품, 인스턴트 식품 섭취 증가로 열량섭취와 나트륨의 섭취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 인천지역 소재 대학에 다니는 대학생 398명을 대상으로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과 식행동 및 나트륨 급원식품 섭취빈도를 조사 분석하고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대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나트륨 섭취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과 식행동 및 나트륨 급원식품의 섭취빈도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나트륨 섭취 상태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트륨의 주요 급원식품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사람들의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이유는 김치, 장류, 생선, 젓갈류 등의 소금함량이 높은 전통음식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Kim & Paik 1987),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나트륨의 주요 급원식품으로 김치, 면류 및 만두류, 국 및 탕류, 찌개 및 전골류의 순으로 보고하였다(Song et al 2013). 또한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보고에서는 중년층은 짠 맛 선호도가 높거나, 식탁염 첨가, 국물 섭취가 많은 반면, 젊은 층은 외식이나 배달음식의 섭취가 많고, 특히 라면을 비롯한 인스턴트 식품, 레토르트 식품, 스낵 등의 가공식품으로 인한 나트륨 섭취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Lim HY 2001; Park et al 2008).
나트륨 과잉섭취는 어떤 문제점을 야기하는가? 특히 개인의 식품선택과 관계가 깊은 맛에 대한 기호도는 음식의 섭취량에 영향을 주게 되며, 식습관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rewnoski A 1997). 특히 짠맛의 기호도가 높은 사람들의 나트륨 과잉섭취는 고혈압, 위암 및 골다공증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Chobanian & Hill 2000), 나트륨의 과잉섭취가 질병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0)에서는 식이관련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준으로 나트륨의 목표섭취량을 2,000 mg/day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우리 국민의 1일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2007년 이후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2010년에는 나트륨 섭취량이 4,878 mg/day으로 기준치의 2∼3배를 초과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OHW & KCDC 2011).
대학생들의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수준이 저염 섭취 식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는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이 높을수록 저염섭취 식행동으로의 변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며, 따라서 저염섭취를 위한 영양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잘못된 나트륨 섭취 문제를 해결하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나트륨 급원 식품 섭취빈도에서도 영양지식 수준이 우수한 경우, 저염 섭취군(50.7%)이 고염섭취군(36.7%)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이 저염섭취 식행동의 실제적인 식품선택과 섭취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EJ, Noh HY, Chung JY, Paik HY (2010) The effect of zinc status on salty taste acuity, salty taste preference,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in Korean young adults. Korean J Nutr 43: 132-140. 

  2. Bae YJ, Jun YS, Choi YH, Choi MK (2006) Comparative evaluation of meal variety in Korean adults by age groups. J East Asian Soc Life 16: 387-398. 

  3. Baek SH, Kim EJ (2007) Analysis of weight maintenance behavior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Nutr 12: 150-159. 

  4. Chobanian AV, Hill M (2000)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orkshop on sodium and blood pressure.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evidence. Hypertention 35: 858-863. 

  5. Choi KS, Shin KO, Chung KH (2008) Comparison of the dietary patter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BMI) of college women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89-1598. 

  6. D'Elia L, Rossi G, Ippolito R, Cappuccio FP, Strazzullo P (2012) Habitual salt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Am J Clin Nutr 31: 489-498. 

  7. Drewnoski A (1997) Taste preference and food intake. Annu Rev Nutr 17: 237-253. 

  8. Kim DH, Beik GY (2005) A study on the eating-out behavior of city workers(I)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ating-out behavior-. Korean J Food & Nutr 18: 241-253. 

  9. Kim KY, Ahn GY, Kim KW (2004) Analysis of dietary habits, eating disorder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by weight control attempt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r Study of Obesity 13: 248-257. 

  10. Kim YS, Paik HY (1987) Measurement of Na intake in Korean adult females. Korean J Nutr 20: 341-349. 

  11. Ko MS (2007)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inity Nutr 12: 259-271. 

  12. Lee MS, Kwak CS (2006) The compositi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 11: 39-51. 

  13. Lim HY (2001) A study on the food intak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urinary excre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Pusan. Korean J Nutr 33: 647-659.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10) 

  15.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2008) Compositi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13: 1-12. 

  16. Seymour M, Hoar SL, Huang Y (1997) Inappropriate dieting behaviors and related lifestyle factors in young: Are college students different. J Nutr Educ 29: 21-26. 

  17. Shin AS, Roh SB (2000) Patterns and preference of eating out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179-189. 

  18. Shin EK, Lee HJ, Ahn MY, Son SM, Lee YK (2010) Estimation of sodium intake of adult female by 24-hour urine analysis, dietary record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Korean J Nutr 43: 1-7. 

  19. Song DY, Park JE, Shin JE, Lee JE (2013)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46: 72-85. 

  20. Takachi R, Inoue M, Shimazu T, Sasazuki S, Ishihara J, Sawada N, Yamaji T, Iwasaki M, Iso H, Tsubono Y, Tsugane S (2010) Consumption of sodium and salted foods in related to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 The Japan public health center-based prospective study. Am J Clin Nutr 91: 456-464. 

  21. Yon MY, Lee YN, Kim DH, Lee JY, Koh EM, Nam EJ, Shin HY, Kang BW, Kim JW, Heo S, Cho HY, Kim JI (2011)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16: 473-487. 

  22. Yoon JS, Lee MJ (2013) Calcium status and bone mineral density by the level of sodium intake in you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8: 125-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