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이 정상인 성인에서 골다공증과 갑상선호르몬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Osteoporosis and Thyroid Hormone in euthyroid adul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2, 2015년, pp.1137 - 1144  

윤현 (한려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류은진 (한려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부 종합검진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골다공증이 갑상선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G시의 일개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20세 이상의 지역주민 1,117명(남자 636, 여자 481)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연령과 성별을 보정하였을 때, 갑상선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에 대한 평균값은 정상군(${\geq}-1g/cm^2$)이 $1.61{\pm}0.07{\mu}IU/m{\ell}$, 골감소증군(-1 >, ${\geq}-2.5g/cm^2$)이 $1.82{\pm}0.08{\mu}IU/m{\ell}$, 골다공증군(< $-2.5g/cm^2$)이 $3.14{\pm}0.27{\mu}IU/m{\ell}$로 T-score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p<0.001). 또한 성별과 FBS를 보정하였을 때, 유리타이록신(free thyroxine)에 대한 평균값은 정상군이 $1.30{\pm}0.01ng/d{\ell}$, 골감소증군이 $1.22{\pm}0.01ng/d{\ell}$, 골다공증군이 $1.13{\pm}0.04ng/d{\ell}$로 T-score가 감소할수록 감소하였다(p<0.001). 결론적으로 갑상선기능이 정상인 성인에서 T-score의 감소는 갑상선 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를 증가시키고, 유리 타이록신(free thyroxine)를 감소시킨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osteoporosis on thyroid hormone in health check-up examinees. The study subjects were 1,117 adults, 20 years and over (636 males, 481 females), who underwent a health package check-up at the general hospital G from January to December, 2011. After adjusting for 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갑상선호르몬과 골다공증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명백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고, 갑상선기능이 정상인 성인을 대상으로 갑상선 호르몬과 골다공증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수검자 중 갑상선기능이 정상인 성인을 대상으로 골다공증이 갑상선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종합건강검진을 실시한 대상자들의 검진자료를 이용하여 갑상선기능이 정상인 20세 이상 성인의 골다공증과 갑상선호르몬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TSH와 FT4에 대한 관련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정상군에 비하여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에서 FT4의 평균값이 감소하였고, TSH의 평균값이 증가하였다.
  •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G시의 일개 종합 검진센터에 내원하여 종합검진을 받았던 20세 이상의 일반 시민들 중 본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었던 1,3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종합 건강검진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참여가 자율이고, 원하는 경우 언제라도 철회가 가능하며, 질문지와 건강검진 결과는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과 자료의 익명성 보장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여 서면 동의서를 받았다. 이들 중 자료가 미비하거나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갑상선 질환 등의 기왕력이 인정되는 자와 갑상선호르몬(TSH, FT4)의 수치가 정상범위(TSH,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SH가 갑상선 기능 이상 유무를 알아내기 위한 일차적 선별 방법으로 쓰이는 이유는? TSH는 실제 임상에서 갑상선의 상태가 안정된 환자에서 갑상선기능의 이상 유무를 알아내기 위한 일차적인 선별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혈 중 갑상선호르몬의 생리학적 효과를 나타내어주는 가장 예민하고 특이한 지표이기 때문이다[2]. 혈 중 TSH의 정상수치는 0.
TSH와 FT4의 관계는 어떠한가? FT4는 TSH와 FT4는 서로 역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T4의 생성과 생리학적인 활동에 대하여 서로 보충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갑상선 기능 항진증 및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같은 갑상선 기능이상은 관상동맥, 근골격계, 신경계, 호흡기계, 위장관계, 요로․생식기계, 정서적인 반응 등 신체의 전체적으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6-9]
TSH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갑상선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TSH는 실제 임상에서 갑상선의 상태가 안정된 환자에서 갑상선기능의 이상 유무를 알아내기 위한 일차적인 선별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혈 중 갑상선호르몬의 생리학적 효과를 나타내어주는 가장 예민하고 특이한 지표이기 때문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ranley. L. R, Ramzi. S. C and Vinay. K, "Pathologic Basis of Disease, 3rd ed. Philadelphia", WB Saunder, pp.1203, 1984 

  2. Y. W. Cho, "Clinical Implication of Serum TSH Concentr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Vol.22, No.2, pp.87-94, 2007 DOI: http://dx.doi.org/10.3803/jkes.2007.22.2.87 

  3. Watofsky. L and Dicky. R. A, "The evidence for anarrower thyrotropin reference range",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90, No.9, pp.5483-5488, 2005 DOI: http://dx.doi.org/10.1210/jc.2005-0455 

  4. Baloch. Z, Carayon. P, Conte-Devolx. B, Demers. L. M, Feldt-Rasmussen. U, et al., "Guidelines Committee, National Academy of Clinical Biochemistry. Laboratory medicine practice guidelines. Laboratory support for th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thyroid disease", Thyroid, Vol.13, No.1, pp.123-126, 2003 

  5. Nicoloff. J. T and Spencer. C. A, "The use and misuse of the sensitive thyrotropin assay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71, No.3, pp.553-558, 1990 DOI: http://dx.doi.org/10.1210/jcem-71-3-553 

  6. Bernadette. B, Emiliano. A. P, Serafino. F, Carmela. C, Maria. N, et al., "Endogenous Subclinical Hyperthyroidism Affects Quality of Life and Cardiac Morphology and Function in Young and Middle-Aged Patient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85, No.12, pp.4701-4705, 2007 

  7. Caroline. S. F, Michael. J. P, Ralph. B. D, Joanne. M. M, Ellen. W. S, et al., "Relations of Thyroid Function to Body Weight: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Observations in a Community-Based Sampl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68, No.6, pp.587-592, 2008 DOI: http://dx.doi.org/10.1001/archinte.168.6.587 

  8. Empson. M, Flood. V. M, Eastman. C. J and Mitchell. P, "Prevalence of thyroid disease in an older Australian population", Internal Medicine Journals, Vol.37, No.7, pp.448-455,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445-5994.2007.01367.x 

  9. Michael. J. K, Daniel. E. F, Lucy. A. M, Jiang. H, Paul. K. W, et al., "Serum cholesterol in young men and subsequent cardiovascular diseas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28, No.5, pp.313-318, 1993 DOI: http://dx.doi.org/10.1056/NEJM199302043280504 

  10. K. W. Oh, "Diabetes and osteoporosis", Korean Diabetes Journal, Vol.33, pp.169-177, 2009 DOI: http://dx.doi.org/10.4093/kdj.2009.33.3.169 

  11. Avioli. L. V, "The osteoporotic syndrome Detec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4th ed", Orlando, FL: Academic press, 2000. 

  12. M. S. Kim and J. O. Koo,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habits and bone density risk factors between normal and risk women living in the seoul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13, No.1, pp125-133, 2008 

  13. Metz. J. A, Anderson. J. B and Gallagher. Jr. P. N, "Intakes of calcium, phosphorus, and protein and physical activity level are related to radial bone mass in young adult wome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58, pp.537-542, 1993 

  14. Amato. G, Mazziotti. G and Sorvillo. F, " High serum osteoprotegerin levels in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effect of medical treatment", Bone, Vol.35, No.3, pp.785-791, 2004 DOI: http://dx.doi.org/10.1016/j.bone.2004.04.021 

  15. Persani. L, Terzolo. M, Asteria. C, Orlandi. F, Angeli. A and Beck-Peccoz. P, "Circadian variations of thyrotropin bioactivity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primary hypothyroidism",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80, pp.2722-2728, 1995 DOI: http://dx.doi.org/10.1210/jc.80.9.2722 

  16. Scobbo. R. R, von Dohlen. T. W, Hassan. M and Islam. S, "Serum TSH variability in normal individuals: the influence of time of sample collection", West Virginia Medicine Journal, Vol.100, pp.138-142, 2004 

  17. Konno. N and Morikawa. K, "Seasonal variation of serum thyrotropin concentration and thyrotropin response to 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in patients with primary hypothyroidism on constant replacement dosage of thyroxine",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54, pp.1118-1124, 1982 DOI: http://dx.doi.org/10.1210/jcem-54-6-1118 

  18. Bertoli. A, Fusco. A and Andreoli. A, "Effect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and Obesity on Whole-Body and Regional Bone Mineral Content", Hormone research, Vol.57, No.3, pp.79-84, 2002 DOI: http://dx.doi.org/10.1159/000057956 

  19. Weryha. G, Dassa. Y and Weryha. B, "Bone loss and fracture risk in thyroid diseases", Monographies, Vol.78, No.2, pp.114-118, 2011 

  20. Morris. M. S,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thyroid-stimulating hormone in its reference range and bone status in postmenopausal American women", Bone, Vol.40 No.4, pp.1128-1134, 2007 DOI: http://dx.doi.org/10.1016/j.bone.2006.12.001 

  21. K. W. Oh, E. J. Yun and E. S. Oh, "Relationship between serum thyroid stimulating hormone levels and serum osteoprotegerin level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healthy men ",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66, No.6, pp.609-616, 2004 

  22. W. Y. Lee, K. W. Oh and E. J. Rhee, "Relationship between Subclinical Thyroid Dysfunction and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Archives of medical research, Vol.37 No.4, pp.511-516, 2006 DOI: http://dx.doi.org/10.1016/j.arcmed.2005.09.009 

  23. Chobanian. A. V, Bakris. G. L, Black. H. R, Cushman. W. C, Green. L. A, et al.,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Vol.42, No.6, pp.1206-1252, 2003 DOI: http://dx.doi.org/10.1161/01.HYP.0000107251.49515.c2 

  24. Genuth. S, Alberti. K. G, Bennett. P, Buse. J, Defronzo. R, Kahn. R, et al., "Follow-up report on the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a publication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Vol.22, No.2, pp.71-80, 2004 DOI: http://dx.doi.org/10.2337/diacare.26.11.3160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study group on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Geneva, Switzerland, 1994 

  26. Hak. A. E, Pols. H. A, Visser. T. J, Drexhage. H. A, Hofman, et al., "Subclinical hypothyroidism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and myocardial infarction in elderly wome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32, pp.270-278, 2000 

  27. Irwin. K, and Kaie. O, "Thyroid Hormone and the Cardiovascular System",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44, No.7, pp.501-509, 2001 DOI: http://dx.doi.org/10.1056/NEJM200102153440707 

  28. Joseph. G, Hollowell. N. W, Staehling. W. D, Flanders. W, Harry Hannon. E. W, et al., "Serum TSH, T, and thyroid antibodies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1998 to 199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87, No.2, pp.489-499, 2002 

  29. Baqi. L, Payer. J and Killinger. Z, "Thyrotropin versus thyroid hormone in regulating bone density and turnover in premenopausal women", Endocrine regulations, Vol.44, No.2, pp.57-63, 2010 DOI: http://dx.doi.org/10.4149/endo_2010_02_57 

  30. Simonet. W. S, Lacey. D. L, Dunstan. C. R, Kelly. M, Chang. M. S, et al., " Osteoprotegerin; a novel secreted protein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bone density", Cell, Vol.89, pp.309-319, 1997 DOI: http://dx.doi.org/10.1016/S0092-8674(00)80209-3 

  31. H. A. Shin and A. S. Om, "The Correlation between Dietary Intakes of Calcium and Vitamin D and Osteoporosis,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Korean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technology, Vol.27, No.2, pp.17-23, 2009 

  32. Hollowell. J. G, Staehling. N. W, Flanders. W. D, Hannon. W. H, Gunter. E. W, et al., "Serum TSH, T4, and thyroid antibodies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1988-1994): neonatal health and nutrition xamination survey (NHANES III)", Clinical Endocrinology., Vol.87, pp.489-499, 2002 

  33. Pop. V. J, Kuijpens. J. L, van Baar. A. L, Verkera. G, van Son. M. M, et al., "Low maternal free thyroxine concentrations during early pregnancy are associated with impaired psychomotor development in infancy", Clinical Endocrinology, Vol.50, pp.149-155, 1999 

  34. Y. R. Kim, H. S. Nam and T. Y. Lee, "The Bone Density Level of Korean Men Aged 60 Years and Over, and Its Relevant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4, No.3, pp.1180-1190,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3.1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