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0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비만과 부갑상샘호르몬의 관련성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근거하여
The association of abdominal obesity, obesity and parathyroid hormone in Korean adults (aged≥50 year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1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6, 2015년, pp.3882 - 3888  

이규수 (한려대학교 방사선학과) ,  윤요상 (한려대학교 방사선학과) ,  윤현 (한려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자료인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5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이 PTH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 참여자수는 8,518명이었고, 이중 50세 이상 성인 3,305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PTH 평균값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연령, 성별, SBP, DBP, 25(OH)D)를 보정 후, 정상군 (BMI, < $23.0kg/m^2$; $66.25{\pm}0.89ng/dL$)에 비하여 과체중군(BMI, $23.0-24.9kg/m^2$; $67.83{\pm}1.07 ng/dL$), 비만군(BMI,${\geq}25.0kg/m^2$; $70.71{\pm}0.94ng/dL$)의 PTH 평균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3), Non-abdominal obesity군($66.63{\pm}0.74ng/dL$)에 비하여 Abdominal obesity군($69.30{\pm}0.80ng/dL$)의 PTH 평균값이 증가하였다(p=0.017). 결론적으로 비만과 복부비만은 PTH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nd Parathyroid hormone (PTH) in adults aged 50 or older (n=3,305) using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which represents national data in Korea. Key study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비만의 증가와 관상동맥 및 심혈관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50대 이상의 한국 성인에서 비만과 부갑상선호르몬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5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관련성의 연구 결과로는? 본 연구는 2011년도에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2차년도의 자료[12]를 이용하여 실시한 5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정상 군에 비하여 비만 군에서 부갑상선 호르몬의 평균값과 고 부갑상선 호르몬군의OR값이 증가하고 복부비만이 아닌 군에 비하여 복부비만 군에서 부갑상선 호르몬의 평균값과 고 부갑상선 호르몬군의 OR값이 증가한다는 결과이다.(Table 3,4)
부갑상선호르몬의 기능은? 부갑상선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는 부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뼈에서 칼슘의 유출을 증가시켜 혈중 칼슘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부갑상선호르몬은 신장 근위세뇨관에서 D-1α-hydroxylase의 합성을 증가시켜 일광과 식이섭취를 통해 섭취된 비타민 D를 신장에서1,25-dihydroxyvitamin D[1,25(OH)D2]로 전환시키고,1,25(OH)D2는 위장관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칼슘 농도를 적절히 유지하는 기능과 위장관에서 칼슘과 같이 증가한 혈중 인을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6] 부갑상선호르몬은 혈중 칼슘량이 감소하면 뼈에서 칼슘을 유출시키는 기능을 하지만, 부갑상선호르몬을 매일 저용량으로 투여할 경우 뼈에 동화작용을 나타내어서 뼈의 양을 증가시키고, 조골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고[7], 관상동맥질환 및 좌심실비대와 같은 심혈관계 합병증발생에도 영향을 준다.
부갑상선호르몬이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부갑상선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는 부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뼈에서 칼슘의 유출을 증가시켜 혈중 칼슘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부갑상선호르몬은 신장 근위세뇨관에서 D-1α-hydroxylase의 합성을 증가시켜 일광과 식이섭취를 통해 섭취된 비타민 D를 신장에서1,25-dihydroxyvitamin D[1,25(OH)D2]로 전환시키고,1,25(OH)D2는 위장관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칼슘 농도를 적절히 유지하는 기능과 위장관에서 칼슘과 같이 증가한 혈중 인을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 W. Haslam, W. P. James. "Obesity". Lancet, Vol.366, No.9492, pp.1197-209, 2005.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05)67483-1 

  2. WHO Expert Consultation.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Vol.363, pp.157-163, 2004.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03)15268-3 

  3. R. H. Eckel. "Obesity: Mechanisms and Clinical Management",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3. 

  4.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8. Annu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 Republic of Korea. 

  5. WHO.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on obesity.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6. J. Silver, R. Levi. "Regulation of PTH synthesis and secretion relevant to the management of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in chronic kidney disease", Kidney. Int, Suppl.95, S8-S12,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523-1755.2005.09501.x 

  7. R. L. Jilka, R. S. Weinstein, T. Bellido, P. Roberson, A. M. Parfitt, et, al. "Increased bone formation by prevention of osteoblast apoptosis with parathyroid hormone", J Clin Invest, Vol.104, pp.439-446, 1999. DOI: http://dx.doi.org/10.1172/JCI6610 

  8. I. D. Boer, I. Gorodetskaya, B. Young, C. Y. Hsu, G. M. Chertow. "The severity of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in chronic renal insufficiency in GFR-dependent, race-dependent, and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J. Am. Soc. Nephrol, VOL.13, pp.2762-2769, 2002. DOI: http://dx.doi.org/10.1097/01.ASN.0000034202.91413.EB 

  9. F. N. Saleh, H. Schirmer, J. Sundsfjord, R. Jorde. "Parathyroid hormone and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Eur. Heart. J, Vol.24, pp.2054-2060, 2003. DOI: http://dx.doi.org/10.1016/j.ehj.2003.09.010 

  10. M. L. Melamed, J. A. Eustace, L. Plantinga, B. G. Jaar, N. E. Fink, et, al. "Changes in serum calcium, phosphate, and PTH and the risk of death in incident dialysis patients: A longitudinal study", Kidney Int, Vol.70, pp.351-357, 2006. DOI: http://dx.doi.org/10.1038/sj.ki.5001542 

  11. Z. Lagunova, A. C. Porojnicu, R. Vieth. "Serum 25-Hydroxyvitamin D Is a Predictor of Serum 1,25-Dihydroxyvitamin D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Pediatric diabetes, Vol.141 No.1, pp.112-117, 2011. DOI: http://dx.doi.org/10.3945/jn.109.119495 

  12.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1), 20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3.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o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 

  14.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ding obesity and o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 

  15. H. C. Hong, S. W. Kim, T. H. Kim, I. H. Cha, J. H. Ahn, et, al, "Successful Localization of Distant Metastasis in Parathyroid Carcinoma Using Intra-operative Parathyroid Hormone Assay", Endocrinol. Metab, Vol.26, No.1, pp.92-96, 2011. DOI: http://dx.doi.org/10.3803/EnM.2011.26.1.92 

  16. Y. E. Kim.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frailty syndrome", Journal of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Vol.26, No.1, pp.3-12, 2007. 

  17. E. Hagstroom, P. Hellman, T. E. Larsson, E. I, Lars. B, J. Sundstroom, et, al. "Plasma Parathyroid Hormone and the Risk of Cardiovascular Mortality in the Community", Circulation, Vol.119, pp.2765-2771, 2007. DOI: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8.808733 

  18. L. L. Schierbeck, T. S. Jensen, U. Bang, G. Jensen, L. Kober, et, al. "Parathyroid hormone and vitamin D-markers for cardiovascular and all cause mortality in heart failure",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 Vol.13, pp.626-632, 2011. DOI: http://dx.doi.org/10.1093/eurjhf/hfr016 

  19. V. M. Brandenburg, M. G. Vervloet, N. Marx. "The role of vitamin D in cardiovascular disease: From present evidence to future perspectives", Atherosclerosis, Vol.225, No.2, pp.253-263, 2012. DOI: http://dx.doi.org/10.1016/j.atherosclerosis.2012.08.005 

  20. S. B. Wang, Y. C. Cho. "Body Mass Index and Subsequent Risk of Hypertension, Hyperglyc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in Health Checkup Examine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2, No.6, pp.2677-2684, 2011. 

  21. S. Y. Lee, H. S. Park, D. J. Kim, J. H. Han, S. M. Kim, et, al.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Vol.75, No.1, pp.72-80, 2007. DOI: http://dx.doi.org/10.1016/j.diabres.2006.04.013 

  22. F. L. Brancati, N. Y. Wang, L. A. Mead, K. Y. Liang, M. J. Klag. "Body weight patterns from 20 to 49 years of age and subsequent risk for diabetes mellitus: the Johns Hopkins Precursors Study", Arch. Intern. Med, Vol.159, No.9, pp.957-963, 1991. DOI: http://dx.doi.org/10.1001/archinte.159.9.957 

  23. E. E. Calle, M. J. Thun, J. M. Petrelli, C. Rodriguez, C. W. Jr. Heath.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a prospective cohort of U.S. adults", N. Engl. J. Med, Vol.341, No.15, pp.1097-1105, 1999. DOI: http://dx.doi.org/10.1056/NEJM199910073411501 

  24. B. H. Goodpaster, S. Krishnaswami, H. Resnick, D. E. Kelley, C. Haggerty, et, al. "Association between region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both type 2 diabete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elderly men and women", Diabetes Care, Vol.26, No.2, pp.372-379, 2003. DOI: http://dx.doi.org/10.2337/diacare.26.2.372 

  25. S. H. Suk, R. L. Sacco, B. Boden-Albala, J. F. Cheun, J. G. Pittman, et, al. "Abdominal obesity and risk of ischemic stroke", Stroke, Vol.34, No.7, pp.1586-1592, 2003.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075294.98582.2F 

  26. S. H. Lee, S. M. Kim, H. S. Park.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children", 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Vol.23, No.8, pp.785-791, 2013. DOI: http://dx.doi.org/10.1016/j.numecd.2012.04.013 

  27. W. Saliba, O. Barnett-Griness, G. Rennert.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the increase in serum 25(OH)D levels in response to vitamin D supplementation", Osteoporosis international: a journal established as result of cooperation between the European Foundation for Osteoporosis and the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of the USA, Vol.24, No.4, pp.144-1454, 2013. DOI: http://dx.doi.org/10.1007/s00198-012-2129-0 

  28. G. E. Nam, D. H. Kim, K. H. Cho. "Estimate of a predictive cut-off value for serum 25-hydroxyvitamin D reflecting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olescent", Nutrition research, Vol.32, No.6, pp.395-402, 2012. DOI: http://dx.doi.org/10.1016/j.nutres.2012.05.002 

  29. S. A. Shapses, E. J. Lee, D. Sukumar, R. Durazo-Arvizu, S. H. Schneider. "The Effect of Obes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25-Hydroxyvitamin D in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Vol.98, No.5, pp.E886-E890, 2013. DOI: http://dx.doi.org/10.1210/jc.2012-3369 

  30. A. Guasch, M. Bullo, A. Rabassa, A. Bonada, D. D. Castillo, F. Sabench, J. Salas-Salvado. "Plasma vitamin D and parathormone are associated with obesity and atherogenic dyslipidemia: a cross-sectional study", Cardiovasc Diabetol, Vol.11, pp.149, 2012. doi: 10.1186/1475-2840-11-149. DOI: http://dx.doi.org/10.1186/1475-2840-11-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