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과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가치 탐색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Value Building about Korean Traditional Science Knowledg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1, 2015년, pp.143 - 157  

이지혜 (이화여자대학교) ,  신동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과학 지식의 과학 교육 가능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한국 전통 과학을 소재로 과학적 개념, 역사적 지식, 문화적 경험 등이 포함된 실험과 그룹 활동, 탐방을 포함한 5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주제는 역법, 앙부일구의 원리, 과학자 장영실, 한국의 고대 자연 기록, 경복궁 탐방 등이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프로그램 전후 인식 조사, 수업 관찰 자료, 수업 활동 자료, 면담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한국 전통 과학에 대한 인식은 문화적 범주 내에서 과학적 요소를 찾는 수준을 넘어서서 자연 과학으로서의 한국 전통 과학 가치로 변해갔다. 또한, 우리 전통 과학에 대한 기대감을 과학적, 실용적, 정서적 측면에서 표현했는데, 한국 전통과학의 실용적, 정서적 측면들이 학생들에게는 비과학적 측면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서양 과학과 한국의 TSK와의 관계를 통해 과학에 대한 세계관을 드러냈는데 크게 다섯가지로 분류되었다.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한국 전통 과학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국 전통 과학의 과학적 가치에 대해서는 혼란스러움을 나타냈다. 학생들은 우리가 배우고 있는 과학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고찰하고 과학 교육자들은 그것을 세심하게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아울러 우리가 한국의 TSK에 대한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고, 한국 TSK에 대한 학문적, 과학교육적인 심층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science education using Korean TSK(Traditional scientific knowledge).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five Korean TSK units including science concepts, historical knowledge and cultural experience and applied them to 10th graders. The fiv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특한 시각과 사상을 내포한 과학들 중에서 우리가 과학으로 인식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즉 모든 문화권마다 자신들의 독특한 시각과 사상을 내포한 과학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20세기 이후 사용되기 시작한 “현대 과학”, “표준 과학”, “서양 과학”, “전통 과학”(conventional), "공식 과학” 등의 용어 중 우리가 “과학”이라고 인식하는 내용은 “western modern science" 또는”white male science“의 약어에 해당된다(Snively & Corsiglia, 2001).
과학은 무엇인가? 라틴어 "scientia"에서 기원한 과학은 박식이나 통찰과 같은 광범위한 이해력이나 생존에 관한 지식을 의미한다(Snively & Corsiglia, 2001). 과학은 인류가 축적해 온 지적 유산의 한 흐름으로, 학문으로서 과학의 출발과 발달 과정을 돌아봤을 때 인간을 둘러싼 자연과 사회, 이성과 감성의 혼합체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 사상과 세계관을 가진 토착민 학생은 학교 과학 교육에서 WMS를 접했을 때 무엇을 겪는가? 비서구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과학 문화의 충돌로 인한 갈등과 세계관을 연구한 외국의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부터 본 연구의 필요성도 찾을 수 있다. 전통적 사상과 세계관을 가진 토착민 학생 들은 학교 과학 교육에서 WMS를 접했을 때 인지적, 심리적인 갈등과 혼란을 겪는다. 그러나 해방 이후 한꺼번에 서구 가치를 도입하여 학교 교육의 기본 틀을 잡고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WMS 위주의 교육을 받아온 우리 학생들은 한국 전통 과학이 오히려 낯설기 때문에 이들이 겪는 갈등은 외국의 선행 연구에서와 다를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len, N. J., & Crawley, F. E. (1998). Voices from the bridge: Worldview conflicts of Kickapoo student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11-132. 

  2. Choi, J. (1999).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cientific perspectives for cultural heritages through the science field trip of Hwasong fortres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 Choi, J., & Pak, S. (2004).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cientific perspectives on historical heritages through the science field trip of Hwaso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5), 930-936. 

  4. Choi, S. (2004). An analysis on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for science by the research activities visiting the royal tomb. Masters thesis, Suw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5. Choi, Y., Lee, W., Chung, W., Kim, Y., Moon, J., Bang, K., & Kim, K. (2006). A study of inquirying methods in traditional science of the Orient. Jour. Sci. Edu, 29, 109-147. 

  6. Elkana, Y. (1981). A programmatic attempt at an anthropology of knowledge. In E. Mendelshohn & Y. Elkana (Eds.), Science and culture: Anthropological and historical studies of the sciences(pp. 1-77). Dordrecht, The Netherlands: Reidel. 

  7. Glasson, G. E., Mhango, N., Phiri, A., & Lanier, M. (2010). Sustainability science education in Africa: Negotiating indigenous ways of living with nature in the third spa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 125-141. 

  8. Kang, J., & Go, Y. (2001).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perspectives through the science field trip folk villages in Jeju-do.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Journal of Education Science, 3(2), 1-24. 

  9. Kang, S. (2003). The intellectual tradition and worldview of Eastern and Western Medication. Scientific thought, 47, 2-23. 

  10. Kang, Y., & Lee, J. (2008). Effects of early childhood HPS activities developed from Korean traditional living science them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8(4), 5-34. 

  11. Kawagley, A. O., Norris-Tull, D., & Norris-Tull, R. A. (1998). The indigenous worldview of Yupiaq culture: Its scientific nature and relevance to the practice and teaching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33-144. 

  12. Kearney, M. (1984). World view. Novato, CA: Chandler & Sharp. 

  13. Kim, G., Kim, H., Na, I., Moon, J., Park, J., Bae, W., Song, S., Shin, D., Lee, Moon., Im, J., Jeon, S., & Jeon, Y. (2005). Korean 12 scientific technician. Paju: Haenamu Publication Co. 

  14. Kim, J., & Lee, M. (2008). The development of science learning materials based on Korean folklo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2(2), 175-182.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Meteorological records from ancient Korea including astronomical and seismological records from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eou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ublication Co. 

  16. Lee, G. (2000). The case study of common science subject instruction through science field trip to Jinju Fortres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7. Lee, H. (2004). Design and implementaion of a web courseware for learning angbuilgu sundial.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Lee, J. (1999). An analysi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pen-ended investigation into cultural assets through the science field trip in Young-nung.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Lee, M. (2003). The possibility of science education using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2(2), 211-225. 

  20. Lee, M. (2007).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scientific cultural properties focusing Cheomseongdae and Chukugi.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1(1), 51-60. 

  21. Lee, Y., Lee, H., Lee, S., & Ha, H. (2003). A study on the application to the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using history of science and ancient astronomical instrument.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14(2), 219-243. 

  22. Lemmer, M., Lemmer, T. N., & Smit, J. J. A. (2003). South African students' views of the uive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5), 563-582. 

  23. Moon, J. (2006). Science travel of our history. Seoul: Dongasia Publication Co. 

  24. Ogawa, M. (1986). Toward a new rationale of science education in a non-western society.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2), 113-119. 

  25. Oh, I. (2000). Introducing of traditional science to science subject matter.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6. Park, S. (1991). On the introduction of modern Western science to Korea during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Goundation Publication Co. 

  27. Shumba, O. (1999).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science teachers' orientation to traditional culture and beliefs concerning science instructional ideol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3), 333-355. 

  28. Snively, G., & Corsiglia, J. (2001). Discovering indigenous scienc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5(1), 6-34. 

  29. Waldrip, B. G., & Taylor, P. C. (1999). Permeability of students' worldviews to their school views in a non-western developing coun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3). 289-303. 

  30. Yi, M. (2012). A science cultural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stronomy in East Asia.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12(2), 159-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