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물인터넷이 구현된 광고의 소비자 인지욕구에 따른 광고태도 연구
Study of Relation Between Consumers' Advertisement Attitude and Need for Cognition for IoT-Implemented Advertisement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6 no.1, 2015년, pp.165 - 172  

이지화 (Dept. of New Media Advertising Promotion, Hansung University) ,  조세홍 (Dept. of Multimedia Engineering, Hansu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구현된 광고에서 사용자요인인 소비자의 인지욕구에 따라 어떠한 광고 효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사물인터넷 광고에 대한 간단한 사전교육 이후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 동영상과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욕구가 높은 소비자의 경우 인지욕구가 낮은 소비자보다 더 긍정적인 광고태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사물인터넷이 구현된 광고에 있어서 소비자의 인지욕구에 따라 다른 광고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know the effect of advertisement according to consumer's need for cognition in the advertisement which is realized technique of the Internet of Things(IoT). The researchers distributed questionnaires and video advertisement, which is realized by using IoT techno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에 대하여 인지욕구에 따른 소비자의 태도가 광고태도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연구에 대한 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광고태도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강미선(2003)의 연구에서는 광고에 대하여 소비자의 경험에 대하여 형성하고, 이러한 광고태도가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Mackenzie and Lutz(1986)의 연구에서는 광고태도가 상표태도에 인과 매개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의 광고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 미미하게 이루어지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구현된 광고에 대한 연구로서 인지 욕구라는 변인을 넣어 소비자의 광고태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인지욕구란 ‘인지적 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있고, 즐기는 경향을 보이는 안정적인 개인차‘를 말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연구 참가자들은 사물인터넷 기술이 구현된 광고물을 보고 평가하였다. 실험물은 'EPIC Semiconductors Internet of Things’ 이라는 영상을 유튜브에서 발췌하여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시사점에는 첫째, 사물인터넷 기술 관련된 선행연구가 드물었던 국내에서 현재 각광받고 있는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라는 것에 큰 의의를 둔다.
  •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에 대하여 인지욕구라는 변인이 광고를 접하는 소비자들의 광고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인지욕구에 따라 소비자들의 광고태도가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지욕구가 높은 소비자의 경우 사물인터넷이 구현된 광고에 대한 광고태도가 더 긍정적일 것이라는 가설을 예상해볼 수 있다.
  • 또한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광고들은 현재의 한정된 매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 양과 영향력이 더 다양한 분야로 현실적으로 커져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에 대한 실험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광고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광고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실증적인 연구가 미미한 실정임을 알 수 있으며, 공학적인 측면의 연구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사용자요인 중 인지욕구라는 변인을 넣어 사물인터넷이 구현된 광고에 대한 광고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았다.
  • 인지욕구에 따른 소비자 광고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지욕구가 높은 사람의 경우 인지욕구가 낮은 사람에 비하여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에 대한 소비자 광고태도가 좋을 것이라 예측하여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어떠한 광고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 가설 : 사물인터넷 기술로 구현된 광고에 대한 인지욕구가 높은 경우 인지욕구가 낮은 경우보다 광고태도가 더 긍정적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물인터넷 기술은 어떠한 요소로 나눌 수 있는가? 사물인터넷은 판단할 수 있는 뇌와 귀, 기억, 입으로 구분되며, 뇌는 판단방식인 빅데이터 분석, 귀는 주위의 반응을 전달하는 센서, 기억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함축하자면 사물인터넷 기술은 데이터, 클라우드, 센서 총 3가지 요소로 나눌 수 있으며, 향후 IT 및 ICT산업에서 선구적인 기술로 예측되었다[4]. 첨단 IT산업의 핵심 기술로 사물인터넷이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 사물인터넷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2013년 초부터 점차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럽이라는 어플리케이션은 어떠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가? 시럽에 등록되어 있는 매장을 지날 때 매장에 해당되는 이벤트 및 무료 쿠폰과 쇼핑정보가 소비자의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전송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및 광고와 유사한 형태로 뉴미디어의 강점인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소비자에 따라 맞춤형 광고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사물인터넷이란 무엇인가? 1999년 캐빈 어쉬던(Kevin Ashton)이 최초로 사용한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IFFF, 3GPP, ITU 등과 같은 다양한 표준화 단체에서 ‘사물이나 디바이스가 인터넷에 연결되면서 추가적인 가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 이라고 정의하였다[5]. ‘가트너’는 향후 ‘1년간 큰 영향을 미칠 10대 전략기술’ 중 하나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였으며, 기존의 인터넷 개념을 넘어선 차세대 인터넷 패러다임으로 주목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Lee, Moo Shin, Affect of interactivity, need for cognition and multitasking, 2012 

  2. Lee, Moo Shin, Jeong, Se-Hoon, Mobile Ad Interactivity, User Need for Cognition, and Multitasking Effects.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pp. 86-115, 2013 

  3. Kim Joog Gyoo,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Advertisement based on Augmented Reality of Smart phone on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pp. 24-35. 2013 

  4. S.J. Pyun, H.H. Jin, Y.H. Jung, J.S. Yim, (2014). The Internet of Things, The Huge Connection Surpass over Cloud and Big Data, Future Window Publishing Co.. 

  5. Lee Seong Hoon, Lee Dong Woo, A Study on Internet of Things in IT Convergence Perio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pp. 267-271. 2014 

  6. Sin Dong Hee, Jung Jae Yeol, Gang Seong Hyeon, Internet of Things Trends and prospects, Korea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pp. 32-46, 2013 

  7. Lee Seung Yeon, Influences of Interactive Ads' Participation Types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Focu sing on Perceived Interactivity of Interactive Film Ads,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011 

  8. Cacippo. J. T, Petty. R. E, The Need for Cognit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2 

  9. Choi Myung Il, Kim Dae Wook, Park Sung Bok, Impacts of Humorous Radio Advertising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Humorous and Moderating Effect of Need for Cognition,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pp. 138-162, 2011 

  10. Kim yo han, Moderating Effects of Conclusion Explicitness and Need for Cognition on Responses to Comparative Advertising, Advertising Research, pp. 35-59,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