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각적 혁신성향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제품 광고의 수용자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udience effect of advertisements of IoT products across different levels of sensory innovativene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145 - 152  

차혜영 ,  염동섭 (목원대학교 광고홍보언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개인적 특성 변수인 감각적 혁신성향이 사물인터넷 제품 광고에 대한 수용자 효과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 제품 광고 3편을 선정하여 남 여 대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감각적 혁신성향이 높은 소비자들이 낮은 소비자들에 비해 광고 속 제품태도와 지각된 유용성을 더욱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구현된 제품 광고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실증연구 되었다는 점과 신기술 구현 광고의 실행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소비자 혁신성 변인들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udience effect of advertisements of IoT products across different levels of sensory innovativeness. For the study, a total of 128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ree advertisements of IoT products were selected.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배경으로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제품 광고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구체 적으로 광고 수용자들의 심리적 특성 변인인 감각적 혁신성향에 따라 사물인터넷 제품 광고의 수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기술·공학적 관점의 연구에서 탈피하여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제품 광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수용자들의 효과를 알아본다는 차별성이 존재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기술·공학적 관점의 연구에서 탈피하여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제품 광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수용자들의 효과를 알아본다는 차별성이 존재한다.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감각적 혁신성향에 따라 사물 인터넷 제품 광고에 대한 수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최대 광고 포털 사이트인 TVCF[18]를 통해 사물인터넷 제품을 광고하고 있는 총 3편의 광고를 선정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 이런 배경으로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제품 광고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구체 적으로 광고 수용자들의 심리적 특성 변인인 감각적 혁신성향에 따라 사물인터넷 제품 광고의 수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신기술이 구현된 브랜드나 제품에 대한 인구 통계학적, 소비심리 특성에 대한 연구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이라는 혁신적 기술이 적용된 제품 광고에 대해 소비자들의 개인적 특성 변수인 감각적 혁신성향에 따른 광고태도, 제품태도,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3. 소비자들의 감각적 혁신성향에 따라 사물 인터넷 제품 광고 속 제품에 대한 지각된 속성(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2. 소비자들의 감각적 혁신성향에 따라 사물 인터넷 제품 광고 속 제품태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즉, 감각적 혁신성향의 고·저에 관계없이 광고에 대한 태도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각적 혁신성향의 정의? 혁신채택에 대한 소비자들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감각적 혁신성향은 외부자극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감각적으로 신기하고 다양한, 강한 경험을 추구하고자 하는 성향으로 정의되고 있다[5]. 대체로 감각적 혁신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새로운 것에 대해 관심이 많고 깊은 사고를 하지 않으며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물인터넷 기술이 구현된 광고들의 예시? 이런 추세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구현된 광고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패밀리 허브’ 광고를 보면 냉장고 안 식재료 관리와 주문은 물론 요리 레시피를 텍스트와 이미지로 보여주기도 하고 요리 과정을 음성으로 듣고 쉽게 따라할 수 있게 해준다. 그뿐만 아니라 일정관리, 날씨정보, 음악, 동영상 재생 등다양한 기능으로 가족들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감각적 혁신성향에 따라 사물 인터넷 제품 광고에 대한 수용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자료의 수집 단계? 자료의 수집은 다음과 같은 2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 어졌다. 먼저 1단계에서는 사물인터넷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설명한 후, 본 연구를 위해 선정한 광고영상 3편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이후 2단계에서는 광고영상을 통해 시청한 사물인터넷 제품 광고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10월 16일 ∼ 10월 19일까지 4일간 진행되었으며, 조사대상은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들로 총 150부가 배포되었으나 응답이 완료되지 않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22부를 제외하고 128부가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 H. Lee & S. H. Cho. (2015). Study of Relation Between Consumers' Advertisement Attitude and Need for Cognition for IoT-Implemented Advertisement.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6(1), 165-172. 

  2. Etnews (2017. 12. 5) http://www.etnews.com/201012100121 (accessed December 5, 2017) 

  3. AD TREND MAGAZINE (2017. 12. 5) https://www.adic.or.kr/journal/column/show.do?ukey367949 (accessed December 5, 2017) 

  4. Banronbodo.com (2017. 12. 5) http://www.banronbodo.com/news/articleView.html?idxno482 (accessed December 5, 2017) 

  5. Arnett, J. (1994). Sensation seeking: A new conceptualization and a new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2), 289-296. 

  6. Zuckerman, M. (1979). Sensation seeking: Beyond the optimal level of arousal. 1979. https://books.google.co.kr/books?hlko&lr&idO7rDBAAAQBAJ&oifnd&pgPP1&dqM.+Zuckerman,+Sensation+Seeking:+Beyond+the+Optimal+Level+of+Arousal,+Lawrence+Erlbaum+Associates,+Hillsdale,+NJ,+1979.&otsctzbGEP8BW&sigsZFgyBrAVI47D7nWr9ct-JIDVdY#vonepage&qM.%20Zuckerman%2C%20Sensation%20Seeking%3A%20Beyond%20the%20Optimal%20Level%20of%20Arousal%2C%20Lawrence%20Erlbaum%20Associates%2C%20Hillsdale%2C%20NJ%2C%201979.&ffalse 

  7. Eysenck, S., & Zuckerman, M. (1978).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seeking and Eysenck's dimensions of personality.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69(4), 483-487. 

  8. Hirschman, E. C. (1980). Innovativeness, novelty seeking, and consumer crea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3), 283-295. 

  9. Foxall, G. R. (1988). Marketing new technology: Markets, hierarchies, and user­initiated innovation. Managerial and Decision Economics, 9(3), 237-250. 

  10. S. H. Kim & J. Y. Kang. (2005). Effect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on Benefits Sought and Importance in Attributes of Durable Goods: Emphasis on Consumer Innovativeness, Social Sensitivity, and Consumer Knowledge. Korean Marketing Review, 20(4), 209-226. 

  11. H. S. Jung & J. Y. Shin. (2012). Investigating the Roles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 Advertising Respons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6), 133-160. 

  12. Midgley, D. F., & Dowling, G. R. (1978).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4), 229-242. 

  13. Y. S. Park & H. N. Chae. (2011). The Influ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Customer Innovativeness Focused on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Need for Intelligenc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18(3), 55-81. 

  14. Hoffmann, S., & Soyez, K. (2010). A cognitive model to predict domain-specific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3(7), 778-785. 

  15. J. G. Park. (2013) New Media Adoption Theory. Seoul: Communicationbooks. 

  16. H. J. Kim. (2011). Dual Path Impacts of the Consumer Innovativeness in the New Products Adoption Situ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8), 187-197. 

  17. Davis, F. D.(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 acceprance of infomation technolog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Quarterly, 13(3), 319-340. 

  18. TVCF (2017. 12. 5) http://www.tvcf.co.kr (accessed September 10, 2017) 

  19. J. E. Lee. (2016). How Does Customer Innovativeness Enhance Continued Use of Smartphone? : The Mediating Role of Benefit Sought and Commitment. Master's Degre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B. H. Yang. (2005). An Integrated Model of Attitudes toward Wireless Marketing. Advertising Research, 68, 139-163. 

  21. B. C. Kim. (2007). The Antecedents of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Mobile Advertising. Advertising Research, 75, 35-59. 

  22. D. S. Youm. (2017).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Using Mobile Social Network Games on the Game Attitude,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the Gam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453-459. 

  23. D. S. Youm. (2016). Structural analysis between use motives, perceived usefulness and advertisement effect of mobile LBA(Location Based Advertising).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7(2), 271-293. 

  24. S. B. Chang & D. S. Youm. (2017). A Study on the Audience Effect on Wearable Device: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8(6), 73-101. 

  25. B. J. Cho & J. S. Lee. (2016). Adoption Factors of Smart Watch : Focusing on Moderate Effects of Innovation Resistance.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93, 111-136. 

  26. Bhattacherjee, A., & Premkumar, G. (2004). Understanding changes in belief and attitude toward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heoretical model and longitudinal test. MIS quarterly, 28(2), 229-2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