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 개선 연구
A Study on Enhancement Methods of Level of Service Analysis for Pedestrian Sidewalk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3 no.1, 2015년, pp.29 - 39  

김응철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최은진 (인천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  양주영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현재 보행자도로의 LOS분석 방법은 한국도로용량편람(2013)의 보행자시설편에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용량편람에서 제시하는 보행자도로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LOS를 산출할 경우, 분석지점의 대부분이 A수준으로 산출되어 현실적인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9년 조사된 '서울시 유동인구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하는 보행자도로의 MOE를 적용하여 LOS기준의 적정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개선되어진 LOS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의 개선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표준인체치수의 최신화, 보행점유공간의 여유폭 고려, Fruin과 Hall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LOS의 정성적인 정의를 활용하여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기준의 적용결과 종전의 보행자도로 LOS판단 기준보다 합리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보행자도로에 관한 현실적이고 다양한 계획 설계 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level of service(LOS) analysis methods for pedestrian sidewalks are provided in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KHCM, 2013). However, conventional methods provided in the KHCM produce most of pedestrian sidewalks' LOS as level A, indicating that existing analysis methods are unable to re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새롭게 제안된 기준은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에 대한 정성적인 정의와 Hall(1966)의 인간 간격에 관한 연구, Fruin(1991)의 보행자관련 행동 특성 연구를 고려하였다. 개인공간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거리를 서비스 수준 산정 시 보행자간 이격거리 기준 값을 반영함으로써 보행공간에 대한 보행자의 정성적 평가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1990년대의 표준인체치수를 최신화하였고, 보행자 점유공간에 여유폭을 적용한 점유공간 개념의 개발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 기존문헌과 유동인구 조사 자료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해본 결과, 현재 기준으로는 현실적인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기 힘들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을 재조정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2007)는 기존의 KHCM(MLIT, 2001)이 제공하는 보도의 서비스 수준의 기준이 보행량에 따른 통행상태를 연계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미흡한 부분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따라서 토지의 이용특성에 따른 보도 설계 서비스 수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용도지역과 보도의 기능에 따라 서비스 수준을 ‘양호’, ‘보통’, ‘미흡’ 세 가지로 구분하고 이에 상응하는 유효 보도폭 값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KHCM(MLIT, 2013)과 HCM(TRB, 2010)에서 제시한 보행자 도로의 서비스 수준 분석 방법론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서울시 10,000개 지점의 보행자 도로를 대상으로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대상 지점은 2009년에 실시된 서울시 유동인구조사사업 중 ‘평일/주말 유동인구조사’의 결과로 간선도로, 세가로, 주거지역 등을 대상으로 측정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점유면적에 대한 서비스 수준 분석 기준이 KHCM(MLIT, 2013)과 HCM(TRB, 2010)의 기준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개선된 서비스 수준 분석 기준의 적용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HCM 및 HCM을 이용하여 서비스 수준을 분석한 지점을 대상으로 새로운 기준을 적용하여 다시 보행자 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KHCM(MLIT, 2013)과 Highway Capacity Manual(Transportation Research Board:TRB, 2010)에서 제시하는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론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행자 기존의 보행자도로 서비스 분석 방법론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효과척도와 그 기준을 재조정할 시 보행교통류율 보다 점유공간을 효과척도로 사용하는 것이 보행환경에 대한 정성적인 고려가 가능한 방안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효과척도로 점유공간의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 분석 기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보행자도로의 실질적인 서비스 수준을 산출하는 것이다. 2009년 조사된 서울시 10,000 지점의 보행량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기존 한국 KHCM(MLIT, 2013)과 HCM(TRB, 2010)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서비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분석지점의 대부분이 서비스 수준 A로 판단되어 서비스 수준의 평가 기준이 현실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본 절에서는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 분석을 위한 새로운 효과척도로 점유공간의 기준을 재조정해보고자 한다. 점유공간의 기준을 재설정하기 위해서는 보행자간의 간격,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의 폭, 그리고 보행자의 인체치수가 매우 중요한 변수이므로 3가지 변수를 바탕으로 점유공간의 기준을 재설정하고자 한다.
  • (2006)의 연구에서는 보행자-차량 혼용도로에서의 서비스 수준 분석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기존의 보행자 도로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 수준 분석 방법이 보차혼용도로의 여러 가지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로 시공간점유량(Time-Space Occupancy Volume: TSOV)의 개념을 적용한 점유면적 산정방법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해 시공간점유량을 산출하기 위한 여러 가지 파라미터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공간점유량을 산출하여 서비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보행교통류율과 밀도에서는 모두 A 수준으로 분석된 결과가 A,B,F 수준으로 분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수준의 정성적인 정의를 KHCM(MLIT, 2013)을 비롯한 다양한 연구로부터 결정하고 이를 Hall의 연구에서 제시한 개인 간의 간격거리와 함께 고려함으로서 서비스 수준별 보행자간 간격차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론에서 적용하는 효과척도 및 그 기준의 적정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Figure 4 와 같이 기준보행자 양측에 다른 보행자가 있을 경우를 가정하고 양측보행자의 절반 폭(각 28.5cm)을 합한 59cm를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공간의 안전성 쾌적성 제고를 위한 평가방법론은 어디서 제공하는가 보행공간의 안전성 쾌적성 제고를 위해서는 운영 중이거나 계획 중인 보행자도로의 설계 및 운영 상태를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를 위한 평가방법론은 현재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MLIT, 2013)의 보행자시설편에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KHCM의 분석방법론에 따라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분석할 경우, 분석지점의 대부분이 A수준으로 분석되어 현실적인 서비스 수준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Lee S.
보행공간의 안전성 쾌적성 제고를 위해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보행공간의 안전성 쾌적성 제고를 위해서는 운영 중이거나 계획 중인 보행자도로의 설계 및 운영 상태를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를 위한 평가방법론은 현재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MLIT, 2013)의 보행자시설편에서 제공하고 있다.
보행이란 무엇인가? 보행은 인간의 가장 기초적인 교통수단으로 각종 활동을 비롯하여 도시 시설의 이용을 위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교통발전에서도 보행은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위상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Fruin J. J. (1991),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Metropolitan Association of Urban Designers and Environment(New York, USA), 21-76. 

  2. Hall E. T. (1966), The Hidden Dimension, Garden City(New York, USA). 

  3. Ji O. S., Koo Y. S., (2008), A Study on Satisfaction for Pedestrian Environment, Gyeonggi Research Institute. 

  4. Kim J. H., Oh Y. T., Son Y. T., Park W. S. (2002), A Study on Estimating Level-of-Service for Pedestrian Facilities, J. Korean Soc. Transp, 20(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49-156. 

  5. Kim S. H., Kim K. J., Choi K. J. (2006), Research on LOS Estimation Standard in the Mixed Traffic Street, J. Korean Soc. Transp, 24(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63-71. 

  6. Kim S. M. (2012), The Study on the Level of Service Standard Evaluation With the Walkway Through the Pedestrian Conflicting Analysis, The University of Seoul. 

  7. Kim Y. S., Choi J. S. (2007), Evaluation of Sidewalk Level of Service Considering Land Use Patterns, J. Korean Soc. Transp, 25(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83-93. 

  8. Lee S. H. (2012), Improvement of Analysis Method for Pedestrian LOS on Sidewalk in Seoul, J. Korean Soc. Transp, 30(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15. 

  9. Lim J. S., Oh Y. T. (2002), Estimation of Pedestrian Capacity for Walkway, J. Korean Soc. Transp, 20(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91-99.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612-626. 

  11. Park Y. C. (2002), The Measurement of Pedestrian Speed, Density, and Travel Volume, Journal of the Institute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Jeonju University, 8(1), 189-197. 

  1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0), Survey of Movement of Pedestrian in Seoul. 

  13. Size Korea (2010), 6th Size Korea Anthropometric Report. 

  14.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10), Highway Capacity Manual, TRB, Ch4, Ch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