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제 기법을 이용한 찰갑의 보존처리 - 김해 진영 2지구 출토품의 보존처리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Scale Armor Using Duplication Techniqu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Excavated Artifact from Jinyoung 2-Area, Gimhae -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1 no.1, 2015년, pp.75 - 86  

김동민 (한국문화재재단) ,  박중혁 (한국문화재재단) ,  조현경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남철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찰갑은 매납 이후 부식으로 약화되고 토압에 의해 각 소찰들이 흐트러진 상태로 출토된다. 따라서 출토 즉시 현장 보존처리를 통해 출토 당시의 모습 그대로 실내로 옮겨져야 하며, 실내 보존처리에서는 단단한 지지층으로 보강하여 바닥에 놓여 진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보존처리 후 실견이 불가능한 바닥면에 대해서는 실측과 사진촬영 등을 통해 자료를 남기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자료만으로 유물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김해 진영 2지구' 출토 찰갑의 보존처리에서는 바닥면에 대한 자료화 방법으로 실측, 사진촬영 이외에 복제를 통해 실견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갑은 토압에 의해 좌우로 찌그러져 정확한 형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였는데, 개별 지판을 복제한 후 하나로 합쳐 매장 당시의 원형대로 복원하여 실물자료를 확보하였다. 찰갑의 보존처리에서 새로이 복제 기법을 적용하여 육안으로는 관찰이 어려웠던 바닥면과 경갑에 대한 실물자료를 확보하게 됨으로써, 유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갑옷의 구조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cale Armor is usually excavated in a scattered form weakened by corrosion after its burial. Therefore, they should be brought into the indoor in a safe environment for the on-site conservation treatment as it was excavated. They should be placed on a stable support with a reinforced base in th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대형 유물인 찰갑이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지 못하여 불가피하게 바닥면에 지지층을 만들어 주어야할 경우 실측과 사진촬영 이외에 보다 효과적으로 자료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해진영 2지구’에서 출토된 찰갑을 대상으로 보존처리 과정에서 시행된 복제 기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 함안 도항리 마갑과 연천 무등리 유적 찰갑 등 일부 유적에서는 수습 단계에서부터 진행된 보존처리 덕분에 출토 당시의 원형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되어 구조, 형태 등 유물의 가치를 규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기존에 시행된 찰갑 및 마갑의 대표적인 보존처리 사례들을 살펴 봄으로써 보존처리 기술과 방법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고 기존 사례의 보존처리 방향과 문제점을 먼저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찰갑과 같은 대형 유물이나 손상이 심하여 독립적으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유물의 단점은 무엇인가? 유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직접 유물을 확인 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하지만 찰갑과 같은 대형 유물이나 손상이 심하여 독립적으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유물은 바닥을 지지층에 고정한 채 한쪽면만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인 보존처리 방법이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면에 대해서는 사진, 도면을 활용할 수밖에 없어 유물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최근 연천 무등리 출토 찰갑의 경우와 같이 바닥면 관찰을 위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보존처리를 실시한 사례가 있으나, 실제 분리를 위해서는 유물의 상면을 보강하고 뒤집는 등의 작업이 필수적이며 이 과정 중에 발생 가능한 손상을 완전히 막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찰갑은 어떻게 출토되는가? 찰갑은 매납 이후 부식으로 약화되고 토압에 의해 각 소찰들이 흐트러진 상태로 출토된다. 따라서 출토 즉시 현장 보존처리를 통해 출토 당시의 모습 그대로 실내로 옮겨져야 하며, 실내 보존처리에서는 단단한 지지층으로 보강하여 바닥에 놓여 진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출토 당시부터 보존처리자의 참여에 의한 과학적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최대한 안전하게 수습되고 보존되게 해야하는 이유는?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되는 금속유물은 대부분 부식되어 매우 약화된 상태로 확인된다. 따라서 출토 당시부터 보존처리자의 참여에 의한 과학적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최대한 안전하게 수습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yun, S.M., Park, G.J., and Lim, S.H., 2009, A Study on Replication of Relics by Contact and Non-contact Methods. The Journal of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53-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okcheon Museum, 2009, Ancient Korean Armour. (in Korean) 

  3. Catherine Sease, 1987, A Conservation Manual for the Field Archaeologist. Institute of Archae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4. David Warkinson, Virginia Nwal., 2001, First Aid for Finds. The Museum of London. 

  5. Ham,C.H., 2011, Report on the Field Conservation of Archeological Relics from Andong Tomb. Conservation of Archeological Relics from Andong Tomb, Gildu-ri, Goheu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Cultural Heritage. 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J.S., 2005, Study on Surface Lacquering Process of the 5th Century armor Excavated Hapcheon Okjeon Tumbs. The Graduate School Yong-in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won, H.N., Lee, J.M., Ryu, D.W., Kim, M.H., Youn, J.E., Ham, C.H., and Yang, S.E., 2012, A Study of the On-Site Collection and Conservation of Armour, excavated from Mudeung-ri, Yeoncheon. Present and Future Prospects of Field Techniques in Archaeological Object Conservatio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60-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G.H., Cho, N.C., Kim, N.Y., Lee, H.Y. and Choi, M.G., 2009, Analysis of Components and Surface Treatments of Scale Amour. The Series of Academic Research of Busan Museum 30: Scale Amour Excavated from the Mout around Dongnaeeupse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san Museum, 51-70. (in Korean) 

  9.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2010, Excavation Report on the Destination for Waterworks(Daegok Dam) Project in Ulsan Area(4), 149-153. (in Korean) 

  10. Wi, K.C., 1996, Scientific Conservation of Horse Armour From Dohang-ri Site, Hama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7, 27-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