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강담돔 (Oplegnathus punctatus)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e and Juveniles of Spotted Knifejaw, Oplegnathus punctatus원문보기
강담돔의 수정난을 부화시켜 사육하면서 난 발생 과정과 자치어 발달과정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구형의 무색 투명한 분리 부성란이었고, 1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난의 크기는 1.01~1.15 mm 범위였다 (평균 $1.08{\pm}0.10mm$, n=20). 사육수온은 $22.5{\sim}24.5^{\circ}C$ (평균 $23.0{\pm}0.05^{\circ}C$), 염분농도는 33.5~34.5‰ (평균 $34.0{\pm}0.05$‰)의 범위를 유지시켜 주었다. 난 발생 과정은 수정 25분 후에 난막과 난황이 분리되면서 배반이 형성되었다. 수정 후 55분에는 난할이 2개로 분리되어 2세포기에 달하였다. 수정 후 20시간 50분에는 배체가 머리 부분부터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의 난황자어는 전장 2.10~2.20 mm (평균 $2.15{\pm}0.07mm$, n=10)로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고, 난황과 유구는 부화 2일 후 흡수되었다. 부화 후 12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4.43~4.80 mm(평균 $4.62{\pm}0.26mm$)로 꼬리지느러미는 부채꼴 모양으로 발달하였고, 흑색소포는 소화관 위쪽으로 침착하였다.
강담돔의 수정난을 부화시켜 사육하면서 난 발생 과정과 자치어 발달과정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구형의 무색 투명한 분리 부성란이었고, 1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난의 크기는 1.01~1.15 mm 범위였다 (평균 $1.08{\pm}0.10mm$, n=20). 사육수온은 $22.5{\sim}24.5^{\circ}C$ (평균 $23.0{\pm}0.05^{\circ}C$), 염분농도는 33.5~34.5‰ (평균 $34.0{\pm}0.05$‰)의 범위를 유지시켜 주었다. 난 발생 과정은 수정 25분 후에 난막과 난황이 분리되면서 배반이 형성되었다. 수정 후 55분에는 난할이 2개로 분리되어 2세포기에 달하였다. 수정 후 20시간 50분에는 배체가 머리 부분부터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의 난황자어는 전장 2.10~2.20 mm (평균 $2.15{\pm}0.07mm$, n=10)로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고, 난황과 유구는 부화 2일 후 흡수되었다. 부화 후 12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4.43~4.80 mm(평균 $4.62{\pm}0.26mm$)로 꼬리지느러미는 부채꼴 모양으로 발달하였고, 흑색소포는 소화관 위쪽으로 침착하였다.
Morphological changes in eggs and larvae of spotted knifejaw, Oplegnathus punctatus were observed by cultivation of fertilized eggs to juvenile stage. Fertilized egg was demersal and transparent. The egg has one oil glouble and its size ranged 1.01~1.15 mm ($1.08{\pm}0.10mm$; $mean{\...
Morphological changes in eggs and larvae of spotted knifejaw, Oplegnathus punctatus were observed by cultivation of fertilized eggs to juvenile stage. Fertilized egg was demersal and transparent. The egg has one oil glouble and its size ranged 1.01~1.15 mm ($1.08{\pm}0.10mm$; $mean{\pm}SD$, n=20). Culture chambers were maintained $22.5{\sim}24.5^{\circ}C$ in water temperature and 33.5~34.5ppt in salinity. It took 25 mins from fertilization to the blastoderm stage, 55 mins to 2 cell stage and 20 hrs 50 mins to hatching. Newly hatched yolksac larvae ranged 2.59~3.02 mm ($2.81{\pm}0.25mm$, n=5) in total length, and mouth and anus were not still open. Yolk and oil globule were absorbed 2 days after hatching (DAH). Flexion larvae in 12 DAH ranged 3.02~3.07 mm TL ($3.04{\pm}0.04mm$), and the caudal fin grew to fan-shaped, melanophores appeared on top of digestive canal.
Morphological changes in eggs and larvae of spotted knifejaw, Oplegnathus punctatus were observed by cultivation of fertilized eggs to juvenile stage. Fertilized egg was demersal and transparent. The egg has one oil glouble and its size ranged 1.01~1.15 mm ($1.08{\pm}0.10mm$; $mean{\pm}SD$, n=20). Culture chambers were maintained $22.5{\sim}24.5^{\circ}C$ in water temperature and 33.5~34.5ppt in salinity. It took 25 mins from fertilization to the blastoderm stage, 55 mins to 2 cell stage and 20 hrs 50 mins to hatching. Newly hatched yolksac larvae ranged 2.59~3.02 mm ($2.81{\pm}0.25mm$, n=5) in total length, and mouth and anus were not still open. Yolk and oil globule were absorbed 2 days after hatching (DAH). Flexion larvae in 12 DAH ranged 3.02~3.07 mm TL ($3.04{\pm}0.04mm$), and the caudal fin grew to fan-shaped, melanophores appeared on top of digestive cana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강담돔은 단기간 양식을 목표로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어종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Kim, 2007), 돌돔에 이어 해상가두리 양식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자치어기 형태 발달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담돔의 수정난을 부화시켜 사육하면서 난 발생 과정 및 자치어의 발달 단계별 형태 변화를 조사하였다.
제안 방법
부화 직후의 자어는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 원형수조 (100 ×50 ×80 cm)에 수용하여 지수식으로 사육하였고, 에어레이션으로 산소를 공급시켜 주었다.
성숙한 암컷 3마리는 복부를 압박하여 채란하였고, 수컷 2마리의 복부를 압박하여 채정한 뒤 건식법으로 인공수정 시켰다.
05‰)의 범위를 유지시켜 주었다. 난 발생 과정 관찰을 위해 수정란 20개를 무작위로 채취하여 실체현미경 (Nikon SMZ18, Japan)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난의 크기는 0.01 mm까지 측정하였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 원형수조 (100 ×50 ×80 cm)에 수용하여 지수식으로 사육하였고, 에어레이션으로 산소를 공급시켜 주었다. 자치어의 먹이는 난황 흡수 후부터 부화 후 12일까지 로티퍼 (Brachionus rotundiformis)를 mL당 10~15개체 공급하였고, 12일부터 25일까지 알테미아 (Artemia sp.)를 공급하였으며, 25일부터 배합 사료 (Lovelarva, Japan)를 혼합 공급하였다.
자치어의 형태발달은 부화 직후부터 1일마다 10마리씩 마취제 (MS-222, Ethyl 3-aminobenzoate methanesulfonate, Sigma Aldrich Co., St. Louis, USA)를 이용하여 마취시킨 후 어체의 각 부위를 만능투영기 (Nikon JP V-12B, Japan)로 0.01 mm까지 측정 및 관찰하였다. 형태발달 단계는 Kendall (1984)에 따라 구분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어는 2002년 5월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에 위치한 한산도와 추봉도 연안에서 정치망에 어획된 어미 (전장 24.5~26.7 cm, 평균 25.7±0.91 cm) 5개체를 산소비닐 포장하여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이론/모형
01 mm까지 측정 및 관찰하였다. 형태발달 단계는 Kendall (1984)에 따라 구분하였다.
성능/효과
부화 후 1일째 난황자어는 전장 2.44~3.60 mm (평균 3.02±0.82 mm)로 항문이 열렸고, 유구와 등 쪽에 침착되었던 흑색소포와 꼬리자루의 황색소포는 다소 감소하였다.
수정 후 18시간에는 심장이 분화하기 시작하였고, 이포가 출현하였으며, Kuffer’s vesicle이 소실되었다.
수정 후 13시간 40분에는 근절이 8개로 증가하였고, 눈에는 렌즈가 형성되었으며, Kuffer’s vesicle이 나타났다 (Fig. 1M).
1N). 수정 후 16시간 30분에는 근절이 16~17개로 증가하였고, 유구 주위에는 난황물질이 과립상으로 존재하였으며, 유구에는 나뭇가지 모양의 흑색소포가 5개로 증가하였다 (Fig. 1O).
1P). 수정 후 20시간 50분에는 꼬리가 난황으로부터 분리되었고, 이 시기의 근절 수는 27개로 증가하였으며, 심장박동수는 1분당 29~32회였다. 배체는 머리 부분부터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하였다 (Fig.
부화 후 18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8.71~8.94 mm (평균 8.83±0.16 mm)로 막으로 된 배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분리되 었고, 꼬리지느러미는 정미 형태로 발달하였으며, 줄기가 뚜렷하게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23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2.2~12.6 mm (평균 12.4±0.28 mm)로 막으로 되었던 지느러미는 모두 분리되었다.
16 mm)로 막으로 된 배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분리되 었고, 꼬리지느러미는 정미 형태로 발달하였으며, 줄기가 뚜렷하게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각 지느러미별 줄기 수는 등지느러미가 13개, 뒷지느러미 5개로 증가하였고, 가슴지느러미 7개, 꼬리지느러미는 8개가 형성되었다. 흑색소포는 주상악골 상부와 아가미 뚜껑 및 몸의 정중앙 부분에 반점 모양으로 침착되어 있었다.
부화 후 26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3.5~14.1 mm (평균 13.8±0.42 mm)로 등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연조가 16개로 증가하였고, 배지느러미가 연조 5개로 증가하였으며, 뒷지느러미 연조가 10개로 증가하였다.
부화 후 35일째 치어는 전장 21.5~24.8 mm (평균 23.2±2.33 mm)로 등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극조 10개, 연조 18개로 증가하였고, 뒷지느러미는 연조 12개로 증가하였으며, 가슴지느러미 줄기 수는 17개로 증가하였다.
각 지느러미별 줄기 수는 등지느러미가 극조 5개 연조 16개로 증가하였고, 배지느러미는 극조 1개 연조 4개였으며, 뒷지느러미는 극조 3개 연조 7개로 증가하였다. 꼬리지느러미 줄기 수는 16개로 증가하였고, 가슴지느러미는 13개로 증가하였다. 꼬리 기저부분에는 6개의 반점 모양 흑색소포가 침착되었고, 두부와 몸통 중앙부분까지 반점 모양의 흑색소포가 침착되었다 (Fig.
42 mm)로 등지느러미의 줄기 수는 연조가 16개로 증가하였고, 배지느러미가 연조 5개로 증가하였으며, 뒷지느러미 연조가 10개로 증가하였다. 꼬리 기저부분에 침착된 6개의 반점 모양 흑색소포는 소실되었고, 두부와 몸통 중앙부분에 침착된 흑색소포는 진하게 착색되었으며, 등과 배, 뒷지느러미에는 반점 모양의 흑색소포가 침착되었다. 이 시기의 항문은 41.
그러나 강담돔과 돌돔 (Go and Kim, 1992; Hwang, 2000)은 유구에 나뭇가지 모양의 흑색소포를 가진다는 점에서 다른 해산어류의 난과 차이를 보였다. 유구가 소실되는 시기를 비교했을 때 강담돔이 부화 후 8일째에 소실되었고, 돌돔은 부화 후 6일째에 소실되어 다소 차이를 보였다.
부화 후 2일째 전기자어는 전장 2.69~3.70 mm (평균 3.20±0.71 mm)로 난황이 모두 흡수되었고, 입이 열리기 시작하였으며, 막지느러미에 나타났던 흑색소포는 소실되었다.
부화 후 4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3.16~3.90 mm (평균 3.53±0.52 mm)로 꼬리자루에 침착되었던 나뭇가지 모양의 흑색 소포는 소실되었고, 몸통 아래 부분과 소화관 위쪽에 넓게 분포하였다.
부화 후 8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4.21~4.50 mm (평균 4.36±0.21 mm)로 몸통 아래 부분에 막으로 된 지느러미는 항문을 기준으로 나누어졌으며, 유구는 모두 소실되었다.
28 mm)로 막으로 되었던 지느러미는 모두 분리되었다. 각 지느러미별 줄기 수는 등지느러미가 극조 5개 연조 16개로 증가하였고, 배지느러미는 극조 1개 연조 4개였으며, 뒷지느러미는 극조 3개 연조 7개로 증가하였다. 꼬리지느러미 줄기 수는 16개로 증가하였고, 가슴지느러미는 13개로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온에 따른 강담돔의 수정란이 부화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수온에 따른 부화 소요시간을 비교해 보면 강담돔은 수온 22.5~24.5°C (평균 23.0±0.05°C)에서 20시간 50분, Kim (2007)에 따르면 수온 22.0°C에서 36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 돌돔은 수온 20.
강담돔의 주 서식지는 어디인가?
강담돔 (Oplegnathus punctatus)은 농어목 (Perciformes) 돌돔과 (Oplegnathidae) 돌돔속 (Oplegnathus)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에는 강담돔과 돌돔, O. fasciatus 2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남해안과 제주도, 일본 중부이남 및 동중국해 연안에서식하고 있다 (Kim et al., 2005).
강담돔이란 무엇인가?
강담돔 (Oplegnathus punctatus)은 농어목 (Perciformes) 돌돔과 (Oplegnathidae) 돌돔속 (Oplegnathus)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에는 강담돔과 돌돔, O. fasciatus 2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남해안과 제주도, 일본 중부이남 및 동중국해 연안에서식하고 있다 (Kim et al.
참고문헌 (20)
Blaxter, J.H.S. 1974. The early life history of fish. Spring-Verlag Berlin, Heidelberg, 765pp.
Byun, S.G., S.H. Lee, J.H. Hwang, K.H. Han, K.W. Kang, J.D. Kim, Y.C. Kim and B.I. Lee. 2009. Embryonic and Larva Development of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Dev. Reprod., 13: 281-289. (in Korean)
Go, J.L. and Y.U. Kim. 1992. Embryonic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e and juveniles of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Temminck et Schlegel). PhD thesis, Pukyong Nat. Univ., 32: 29-45. (in Korean)
Han, H.K., D.Y. Kang, S.B. Hur and C.Y. Jeon. 2001. Effects of Salinity on Spontaneous Maturation and Induced Spawning in Seabass, Lateolabrax japonicus. Kor. J. Aquacult., 14: 213-220. (in Korean)
Han, K.H. and Y.U. Kim. 1997. The early life history of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 Development of egg, larvae and juveniles. Bull. Yeosu Nat. Fish. Univ., 11: 105-117. (in Korean)
Hwang, H.K. 2000.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of aquacultur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p. 13-16. (in Korean)
Hwang, H.K., J.U. Lee, S.G. Yang, S.C. Kim and K.M. Kim. 2005. Water Temperature and Food on Growth and Survival of Parrot Fish Larvae, Oplegnathus fasciatus. Kor. J. Aquacult., 18: 13-18. (in Korean)
Ishiguro, N. and M. Nishida. 1998. A tailless spotted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lacking the caudal fin. Japan. J. Ichthyol., 45: 43-45.
Jeong, K.S., S.M. Kim, I.C. Bang, S.Y. Kim and W.K. Lee. 1998. Induced Spawning of Striped Knife-Jaw, Oplegnathus fasciatus by Manipulating Water Temperature and Photoperiod. Kor. J. Aquacult., 11: 141-149. (in Korean)
Kakizawa, Y., K. Kamishikiryo, M. Shirato, S. Maehara, H. Fuji and S. Iesato. 1980. The tooth development of the Parrot Perch, Oplegnathus fasciatus, (family Oplegnathidae, Teleostei). J. Nihon Univ. School of Dentistry, 4: 211-226.
Kawabe, K. and J. Kimura. 2007. Broodstock rearing and egg-taking from spotted parrot fish Oplegnathus punctatus in Chichijima, Ogasawara Islands, Southern Japan. Aqua. Sci., 55: 135-136.
Kendall, A.W. Jr., E.H. Ahlstrom and H.G. Moser. 1984. Early life history stages of fishes and their characters. In: Moser, H.G. et al. (eds.), Ontogeny and Systematics of Fishes. Am. Soc. Ichthyol. Herpetol., Spec. Publ., 1: 11-22, Allen Press, Lawrence, KS.
Kim, B.H. 1998. Sex differentiation and Gonad development of th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Jeju Univ., pp. 1-32. (in Korean)
Kim, G.J. 2007.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seed and practical culture of Oplegnathus punctatus. Masan Regio. Mari. Affair. Port Admin., pp. 44-52. (in Korean)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Seoul, 360pp. (in Korean)
Kim, S.Y., I.C. Bang and S.M. Kim. 2000. Sexual Maturation Inducement of Striped Knife-Jaw, Oplegnathus fasciatus by Manipulating Environmental Condition. Korean J. Ichthyol., 12: 46-53. (in Korean)
Kwun, H.J. and J.K. Kim. 2010. Occurrence of Natural Hybrid between Oplegnathus fasciatus and Oplegnathus punctatus from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 Ichthyol., 22: 201-205. (in Korean)
Lee, C.K., S.B. Hur, S. Park and B.G. Kim. 1997. Qualities of spawned eggs during the spawning period i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e. Kor. J. Aquacult., 10: 463-472. (in Korean)
Lee, W.O., K.H. Kim, J.M. Back and M.Y. Song. 2013.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Zacco koreanus (Pisces: Cyprinidae). Korean J. Ichthyol., 25: 200-207. (in Korean)
Park, J.M., J.K. Cho, K.H. Han, N.R. Kim, H.K. Hwang, K.M. Kim, J.I. Myeong and M.H. Son. 2014. Early life history of the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from Korea. Dev. Reprod., 18: 13-23. (in Korea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