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균주로 발효시킨 프레쉬 치즈의 항리스테리아 활성
Antilisterial activity of fresh cheese fermented by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1 no.4, 2015년, pp.407 - 418  

임은서 (동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은우 (동의대학교 생명응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백김치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paracasei BK57의 항균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의 배양 조건을 검색하고, BK57 유산균으로 프레쉬 치즈를 제조한 후 균주의 활성과 유산 및 박테리오신 생산량을 측정하여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569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최대의 균 증식과 항균 물질 생산량은 pH 6.0으로 조정한 MRS broth에서 $37^{\circ}C$, 24시간 동안 호기적인 조건으로 배양했을 때 나타났다. 하지만, 효모추출물(2.0%)을 첨가한 전유 내에서 생성된 항균물질의 양과 유산균의 증식률은 MRS broth에서 보다는 다소 낮았다. 우유 내에서 L. monocytogenes의 저해율은 BK57 균주의 생균과 배양 상등액에 의해 높게 나타났으나, 유산균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에 의한 저해율은 우유 보다는 BHI broth 내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BK57 균주로 발효시킨 프레쉬 치즈를 $4^{\circ}C$$15^{\circ}C$에서 6일간 저장하는 동안 유산균수, 유산 생성량 및 박테리오신 활성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제조 직 후 프레쉬 치즈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L. monocytogenes ($10^5CFU/ml$)의 균수는 각각의 온도대에서 6일 이내에 최소 15% 이상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BK57 균주를 발효유제품 제조에 이용할 경우 리스테리아균을 제어할 수 있는 생물학적 보존제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focused on establishing the optimal conditions to enhance the production of antilisterial substances by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isolated from Baikkimchi. In addition, the growth and in situ lactic acid and bacteriocin production of this strain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manu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백김치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paracasei BK57의 항균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의 배양 조건을 검색하고, BK57 유산균으로 프레쉬 치즈를 제조한 후 균주의 활성과 유산 및 박테리오신 생산량을 측정하여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569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최대의 균 증식과 항균 물질 생산량은 pH 6.
  • 강산이나 단백질 분해효소에 대해 저항성이 있고 유해균에 대한 항균력을 발휘하는 프로바이오틱 균주를 가공 식품 제조 과정 중에 이용하거나, 우리가 섭취하여 체내에 유입되었을 때에도 유산균의 생존율이 높아서 박테리오신의 항균활성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보(Lim, 2014)에서 프로바이오틱의 기본 요건을 일부 충족하고, H. pylori ATCC 43504,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569 및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706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한 바 있는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균주를 치즈 제조용 스타터로 활용하기 위하여 배양용 액체배지와 우유 배지 내에서의 유산균수, 유산 및 박테리오신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우유 배지에서 실험 균주의 증식과 항균물질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실험 균주로 치즈를 제조한 후 저장하는 동안 항균물질의 생성량과 L.
  • 본 연구에서는 치즈 내 리스테리아균을 제어할 수 있는 유산균의 항균물질 생산을 배양 조건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유산균의 증식 및 유산과 박테리오신 생산량이 초기 균수, 배지 초기 pH, 공기 조성, 배양시간 및 온도와 염 농도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비록 우유 배지 내에서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이제까지 밝혀진 많은 생리활성 중에서 유산균은 식품에 오염된 식중독균 제어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위장 질환의 원인균인 Helicobacter pylori의 증식을 억제시켜 위염이나 위암 발생 위험을 낮추고, 대장 내 각종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장내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 Vuyst and Leroy, 2007). 이들의 항균활성은 발효과정 중 생성되는 유기산, 디아세틸, 과산화수소 및 박테 리오신 등에 기인하며, 이러한 항균 물질에 의해 식품 내 부패 균이나 식중독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사멸시켜 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Lindgren and Dobrogosz, 1990).
박테리오신은 어떤 물질인가? 박테리오신은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광범위한 pH나 온도에서도 비교적 안정하며, 장내 균총에는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효 과를 나타내는 등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로서미 FDA에 의해 식품첨가물로 사용이 허가된 물질이다(Gälvez et al., 2007).
유산균의 항균활성 메커니즘은? 이제까지 밝혀진 많은 생리활성 중에서 유산균은 식품에 오염된 식중독균 제어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위장 질환의 원인균인 Helicobacter pylori의 증식을 억제시켜 위염이나 위암 발생 위험을 낮추고, 대장 내 각종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장내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 Vuyst and Leroy, 2007). 이들의 항균활성은 발효과정 중 생성되는 유기산, 디아세틸, 과산화수소 및 박테 리오신 등에 기인하며, 이러한 항균 물질에 의해 식품 내 부패 균이나 식중독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사멸시켜 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Lindgren and Dobrogosz,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bbasiliasi, S., Ramanan, R.N., Ibrahim, T.Z.T., Mustafa, S., Mohamad, R., Daud, H.H., and Ariff, A.B. 2011.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and culture condition on the production of bacteriocin-like inhibitory substances (BLIS) by Lactobacillus paracasei LA07, a strain isolated from budu. Biotechnol. Biotechnol. Eq. 25, 2652-2657. 

  2. Aguilar, C., Vanegas, C., and Klotz, B. 2011. Antagonistic effect of Lactobacillus strains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J. Dairy Res. 78, 136-143. 

  3. Avonts, L., Van Uytven, E., and De Vuyst, L. 2004. Cell growth and bacteriocin production of probiotic Lactobacillus strains in different media. Int. Dairy J. 14, 947-955. 

  4. Balciunas, E.M., Martinez, F.A.C., Todorov, S.D., De Melo Franco, B.D.G., Converti, A., and De Souza Oliveira, R.P. 2013. Novel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bacteriocins: A review. Food Control 32, 134-142. 

  5. Benkerroum, N. and Sandine, W.E. 1988. Inhibitory action of nisin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J. Dairy Sci. 71, 3237-3245. 

  6. Buyong, N., Kok, J., and Luchansky, J.B. 1998. Use of a genetically enhanced, pediocin-producing starter culture,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MM 217 to control Listeria monocytogenes in Cheddar cheese. Appl. Environ. Microbiol. 64, 4842-4845. 

  7. Cleveland, J., Montville, T.J., Nes, I.F., and Chikindas, M.L. 2001. Bacteriocins: safe, natural antimicrobials for food 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71, 1-20. 

  8. Coelho, M.C., Silva, C.C.G., Ribeiro, S.C., Dapkevicius, M.L.N.E., and Rosa, H.J.D. 2014. Control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resh cheese using protective lactic acid bacteria. Int. J. Food Microbiol. 191, 53-59. 

  9. De Vuyst, L., Callewaert, R., and Crabbe, K. 1996. Primary metabolite kinetics of bacteriocin biosynthesis by Lactobacillus amylovorus and evidence for stimulation of bacteriocin production under unfavourable growth conditions. Microbiol. 142, 817-827. 

  10. De Vuyst, L. and Leroy, F. 2007.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production, purification, and food applications. J. Mol. Microbiol. Biotechnol. 13, 194-199. 

  11. Elli, M., Zink, R., Reniero, R., and Morelli, L. 1999. Growth requirements of Lactobacillus johnsonii in skim and UHT milk medium. Int. Dairy J. 9, 507-513. 

  12. Farias, M.E., De kairuz, M.N., Sesma, F., Palacios, J., De Ruiz Holgado, A.P., and Oliver, G. 1999.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the bacteriocin enterocin CRL35 during goat cheese making. Milchwissenschaft 54, 30-32. 

  13. Fox, P.F. 1989. Proteolysis during cheese manufacture and ripening. J. Dairy Sci. 72, 1379-1400. 

  14. Galvez, A., Abriouel, H., Lopez, R.L., and Omar, N.B. 2007. Bacteriocin-based strategies for food biopr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120, 51-70. 

  15. Galvez, A., Omar, N.B., and Abriouel, H. 2008. Application of bacteriocins in the control of foodborne pathogenic and spoilage bacteria. Crit. Rev. Biotechnol. 28, 125-152. 

  16. Ganzel, M., Weber, S., and Hammes, W. 1999. Effect of ecological factors on the inhibitory spectrum and activity of bacteriocins. Int. J. Food Microbiol. 46, 207-217. 

  17. Giraffa, G., Picchioni, N., Neviani, E., and Carminati, D. 1995. Production and stability of an Enterococcus faecium bacteriocin during Taleggio cheesemaking and ripening. Food Microbiol. 12, 301-307. 

  18. Henning, S., Metz, R., and Hammes, W.P. 1986. Studies on the mode of action of nisin. Int. J. Food Microbiol. 3, 121-134. 

  19. Hicks, S.J. and Lund, B.M. 1991. The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cottage cheese. J. Appl. Bacteriol. 70, 308-314. 

  20. Hole, H., Nilssen, O., and Nes, I.F. 1991. Lactococcin A, a new bacteriocin from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otein and its gene. J. Bacteriol. 173, 3879-3887. 

  21. Hugas, M., Garriga, M., Pascual, M., Aymerich, M.T., and Monfort, J.M. 2002. Enhancement of sakacin K activity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in fermented sausages with pepper or manganese as ingredients. Food Microbiol. 19, 519-528. 

  22. Klaenhammer, T.R. 1988. Bacteriocins of lactic acid bacteria. Biochimie 70, 337-349. 

  23. Klaenhammer, T.R. 1993. Genetics of bacteriocin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ra. FEMS Microbiol. Rev. 12, 39-85. 

  24. Kucerova, K., Korbova, I., Horackova, S., Svirakova, E., and Plockova, M. 2009. Influence of enterococci and Lactobacilli on Listeria. Czech. J. Food Sci. 27, 12-17. 

  25. Leroy, F. and De Vuyst, L. 1999. The presence of salt and a curing agent reduces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bacillus sakei CTC 494, a potential starter culture for sausage ferment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5, 5350-5356. 

  26. Leroy, F. and De Vuyst, L. 2000. Sakacins. In Naidu, A.S. (ed.), Natural food antimicrobial systems, pp. 589-610. CRC Press LLC, Boca Raton, USA. 

  27. Leroy, F. and De Vuyst, L. 2005. Simulation of the effect of sausage ingredients and technology on the functionality of the bacteriocin-producing Lactobacillus sakei CTC 494 strain. Int. J. Food Microbiol. 100, 141-152. 

  28. Lim, S.M. 2014.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antimicrobial substance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Baikkimchi. J. Kor. Soc. Appl. Biol. Chem. 57, 621-630. 

  29. Lindgren, S.E. and Dobrogosz, W.J. 1990. Antagonistic ac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n food and feed fermentations. FEMS Microbiol. Rev. 87, 149-163. 

  30. Maisnier-Patin, S., Deschamps, N., Tatini, S.R., and Richard, J. 1992.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Camembert cheese made with a nisin-producing starter. Lait 72, 249-263. 

  31. Malini, M. and Savitha, J. 2012. Heat stable bacteriocin from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 isolated from locally available cheese: An in vitro study. J. Biotechnol. Pharm. Res. 3, 28-41. 

  32. Martinez, F.A.C., Balciunas, E.M., Salgado, J.M., Gonzalez, J.M.D., Converti, A., and De Souza, Oliveira, R.P. 2013. Lactic acid properties, applications and production: A review. Trends Food Sci. Tech. 30, 70-83. 

  33. Mataragas, M., Metaxopoulos, J., Galiotou, M., and Drosinos, E.H. 2003. Influence of pH and temperature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L124 and Lactobacillus curvatus L442. Meat Sci. 64, 265-271. 

  34. McAuliffe, O., Hill, C., and Ross, R.P. 1999.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cottage cheese manufactured with a lacticin 3147-producing starter culture. J. Appl. Microbiol. 86, 251-256. 

  35. Meghrous, J., Huot, M., Quittelier, M., and Petitdemange, H. 1992. Regulation of nisin biosynthesis by continuous cultures and by resting cells of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Res. Microbiol. 143, 879-890. 

  36. Ong, L., Henriksson, A., and Shah, N.P. 2006. Development of probiotic Cheddar cheese contain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Lb. casei, Lb. paracasei and Bifidobacterium spp. and the influence of these bacteria on proteolytic patterns and production of organic acid. Int. Dairy J. 16, 446-456. 

  37. Parente, E., Brienza, C., Ricciardi, A., and Addario, G. 1997. Growth and bacteriocin production by Enterococcus faecium DPC1146 in batch and continuous culture. J. Ind. Microbiol. Biotechnol. 18, 62-67. 

  38. Parente, E. and Hill, C. 1992. A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two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J. Appl. Bacteriol. 73, 290-298. 

  39. Parente, E. and Ricciardi, A. 1999. Production, recovery and purification of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Appl. Microbiol. Biotechnol. 52, 628-638. 

  40. Rattanachaikunsopon, P. and Phumkhachorn, P. 2010. Lactic acid bacteria: their antimicrobials compounds and their uses in food production. Ann. Biol. Res. 4, 218-228. 

  41. Rilla, N., Martinez, B., and Rodriguez, A. 2004. Inhibition of 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train in Afuega'l Pitu cheese by the nisin Z producing strain Lactococcus lactis IPLA 729. J. Food Protect. 67, 928-933. 

  42. Ross, R.P., Morgan, S., and Hill, C. 2002. Preservation and ferment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Int. J. Food Microbiol. 79, 3-16. 

  43. Ryan, M.P., Rea, M.C., Hill, C., and Ross, P.R. 1996. An application in Cheddar cheese manufacture for a strain of Lactococcus lactis produing a novel broad-spectrum bacteriocin, lacticin 3147. Appl. Environ. Microbiol. 62, 612-619. 

  44. Sahl, H.G. and Bierbaum, G. 1998. Lantibiotics: bio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uniquely modified peptides from Grampositive bacteria. Ann. Rev. Microbiol. 52, 41-79. 

  45. Sarantinopoulos, P., Leroy, F., Leontopoulou, E., Georgalaki, M.D., Kalantzopoulos, G., Tsakalidou, E., and De Vuyst, L. 2002. Bacteriocin production by Enterococcus faecium FAIR-E 198 in view of its application as adjunct starter in Greek Feta cheese making. Int. J. Food Microbiol. 72, 125-136. 

  46. Schillinger, U., Geisen, R., and Holzapfel, W.H. 1996. Potential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s and bacteriocins for the biological preservation of foods. Trends Food Sci. Tech. 7, 158-164. 

  47. Stecchini, M.L., Aquili, V., and Sarais, I. 1995. Behavior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Mozzarella cheese in presence of Lactococcus lactis. Int. J. Food Microbiol. 25, 301-310. 

  48. Suskovic, J., Kos, B., Beganovic, J., Pavunc, A.L., Habjanic, K, and Matosic, S. 2010. Antimicrobial activity - The most important property of probiotic and starter lactic acid bacteria. Food Technol. Biotechnol. 48, 296-307. 

  49. Vignolo, G.M., De Kairuz, M.N., De Ruiz, Holgado, A.A.P., and Oliver, G. 1995. Influence of growth conditions on the production of lactocin 705,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casei CRL 705. J. Appl. Bacteriol. 78, 5-10. 

  50. Villani, F., Salzano, G., Sorrentino, E., Pepe, O., Marino, P., and Coppola, S. 1993. Enterocin 226 NWC, a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alis 226, active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J. Appl. Bacteriol. 74, 380-387. 

  51. Wee, Y.J., Kim, J.N., and Ryu, H.W. 2006.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lactic acid and its recent applications. Food Technol. Biotechnol. 44, 163-172. 

  52. Yang, R., Johnson, M.C., and Ray, B. 1992. Novel method to extract large amounts of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58, 3355-3359. 

  53. Zalan, Z., Hudacek, J., Stetina, J., Chumchalova, J., and Halasz, A. 2010. Production of organic acids by Lactobacillus strains in three different media. Eur. Food Res. Technol. 230, 395-4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